- 영문명
- Aesthetics and Politics in Euripides’ the Trojan Women
- 발행기관
- 한국영미어문학회
- 저자명
- 홍은숙(Eun-Sook Hong)
- 간행물 정보
- 『영미어문학』영미어문학 제100호, 167~18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searches for the origin of sociogenesis of today’s rising discourses from Greek Tragedy in order to ruminate the violence of today’s imperial ambitions. As Greek Tragedy represents the social backgrounds of the days, the politics of demos is realized in aesthetic virtual realms. The evolution process from Primary Epic and Choral Lyric Poetry to Tragic Drama is based on the social backgrounds of the ancient Greeks. As the political system was changed to democracy due to the rise of demos, Tragedy represented the social imaginary for the first time. Aesthetics and politics of Tragedy made possible by these social phenomena led the audience of Dionysos Theatre to reflexive thinking and political participation, which contributed to the foundation of discourses in Agora.
Euripides participated in politics not by going in to public service but by writing tragedies. Homeric Trojan myths and Thucydides’ The History of the Peloponnesian War are the textual origin of The Trojan Women, which is a sort of political allegory telling the history of BC 5 by the Trojan myths of BC 8.
Crossing over between present and past, and between myths and history, Euripides poses political problems of his times. Making Cassandra become persuasive by foretelling the tragedies of the Archaean warriors, Euripides warns the imperial ambitions transcending the ages. He, furthermore, gets the naudible, the invisible, and the unsayable in the primary epics to be the audible, the visible, and the sayable such as Cassandra in The Trojan Women by ecreating the myths. In this way, aesthetic and politics are interwoven in Euripides’ tragedy.
목차
Ⅰ. 서론: 사회적 배경의 변화와 예술 양식의 변화
Ⅱ. 비극에 표상된 미적 가상세계에서의 정치
Ⅲ. 에우리피데스의 신화 재창조와 정치 참여
Ⅳ. 『트로이의 여인들』에서의 신화기술과 역사기술
Ⅴ. 결론
인용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페인의 대지』와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에 나타난 헤밍웨이의 인본주의적 개인주의 연구
- 『마지막 한잔』 : 상징계의 분열과 타락한 주체
- 영어교육 광고에 나타난 원어민과 내국인의 이미지 분석 연구
- 폴 멀둔(paul Muldoon)의 초기시
- 『오로라 리』에 나타난 19세기 영국 중산층의 여성교육
- TEE 인증 연수 프로그램 교과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존 바스의 『염소 소년 자일스』
- Strategies Appearing in Peer Response through CMC in EFL Writing
- 자동인형, 경험, 그리고 새로운 재현기술의 가능성 - 포우의 「소모된 인간」
- Representation of Social Justice
- 라클라우의 적대와 급진적 민주주의
- A Post-feminist and Evolutionist Reading of A Doll’s House
- 에우리피데스의 『트로이의 여인들』에 나타난 미학과 정치학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NEW
- AI 기반 언어 학습에서 개인차가 긍정적 정의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동기적 자아 체계, 그릿, 즐거움을 중심으로
- 생성형 AI를 활용한 영어 콘텐츠 개발 아이디어톤 설계 및 실행연구: 퀘스트 기반 학습을 중심으로
- Language Style Awareness Through Film Dialogue: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EFL Learner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