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Analysis of Potential for Tourism Commercialization of Korean Dolmen as World Cultural Heritage
- 발행기관
- 한국상품학회
- 저자명
- 이영진(Lee, Young-Jin) 김지선(Kim, Ji-Sun) 서용제(Seo, Yong-Jae) 이훈(Lee, Hoon)
- 간행물 정보
- 『상품학연구』제29권 제2호, 1~1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3.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의 세계문화유산고인돌 유적지 관광 상품화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목적 수행을 위해 선행 연구를 통한 관광상품화 분석틀을 제안하였고, 한국 세계문화유산 중인지도 및 만족도가 낮은 고창, 화순, 강화 고인돌 유적지를 대상으로 관찰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 결과, 매력성은 고창고인돌이 가장 높았으며, 인프라 및 수용 태세는 강화, 고창, 화순 순으로 분석되었다. 주변연계성 측면에서 강화 고인돌은 주변 관광지 및 시설과의 연계성, 대중성이 높게 평가되었다. 지속가능성 관점에서는 고창고인돌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고인돌 유적의 전반적인 관광 상품화 가능성은 고창고인돌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으며, 다음으로 수도권에 위치하여 상품화 가능성은 높지만, 고인돌까지 접근성이 떨어지는 강화 고인돌, 접근성과 관광인프라가 미흡한 화순고인돌 순으로 분석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potential of tourism commercialization of dolmen relics, the world cultural heritage of Korea.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framework for the analysis of tourism commercialization was proposed through preliminary study, and observation survey was conducted on the dolmen relics of Gochang, Hwasun and Ganghwa which have not been recognized much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was low among the world cultural heritages of Korea. As a result of the survey, Gochang was ranked the highest as for attraction and regarding infrastruct wa and reception attitude, the evaluation was rated in the sequential order of Ganghwa, Gochang and Hwasun. Aspects of regional connectivity, Ganghwa dolmen was highly evaluated on the association with nearby tourist sites, facilities and popularity, etc. In the standphest of sustainability, Gochang dolmen was ranked the highest. In the potential of dolmen relic tourism commercialization, Gochang dolmen was ranked the highest, followed by Ganghwa dolmen which was low in accessibility even though it had high potential of commercialization by being located in capital region, and then Hwasun dolmen which had low accessibility and tourism infrastructur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및 조사 설계
Ⅳ. 국내 세계문화유산 고인돌의 관광 상품화 가능성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쾌락적 경험이 구매의도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이슈별 CSR 활동이 기업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축제 서비스스케이프가 정서적 이미지를 매개로 하여 지역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 공급사슬관리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글로벌 SCM에서의 위험관리 프레임웍에 관한 연구
- 명품 브랜드 요소와 명품 선호도 결정요인
- 디자인 차원 별 상대적 중요도를 통한 소비자 디자인 선호도에 관한 연구
-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국내 고인돌의 관광 상품화 가능성 분석
- 학원의 교육서비스품질이 전반적 고객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Performance Evaluation of Forecasting Models for Demand of Ductile Pipe
- 확장제품의 시장 진입순서에 따른 가격전략에 관한 연구
- Q 방법론을 적용한 문화예술상품 소비자 유형에 관한 연구
- 협력업체의 성과 및 구매기업의 신뢰가 주문량 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 라이센서 형태와 라이센시 속성에 따른 라이센싱 효과에 관한 연구
- 시스템 상품에서 요소별 차별화 및 소비자별 사용방식의 차이를 고려한 언번들링의 경제적 효과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리더십효능감과 선제적 행동의 관계와 LMX질의 매개효과
- 리더의 타인지향완벽주의가 수동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나르시시즘과 도덕면허의 직렬다중매개효과
- 직위 중심 리더십 역량 모델을 활용한 신임 경찰관의 리더십 역량 요구분석: Borich 모델 및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