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통합과 헌법
이용수 274
- 영문명
- Soziale Integration und Verfassung
- 발행기관
- 세계헌법학회 한국학회
- 저자명
- 이부하(Lee, Boo Ha)
- 간행물 정보
- 『세계헌법연구』世界憲法硏究 第16卷 第3號, 1~2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스멘트의 헌법이론은 “통합프로그램”의 방향으로 결정되어 있다. 이미 정해진 의미규정인 “통합질서”로 헌법을 정의한다. 스멘트는 헌법의 중점을 통합과정에 두고 있다. 또한 통합을 특정한 절차(형식적 통합) 또는 특정한 내용(사물적 통합)으로 구분한다. 형식적(인적 및 기능적) 요소 및 사물적 요소에 의해 통합이 촉진된다. 사물적 통합은 스멘트의 통합구상의 핵심이다. 스멘트에 의하면, 국가 통합으로서 정치적 통합의 성공은 정치적 통합의 근저에 있는 정치이전(以前)에 존재하는 사회 공동체의 존속에 좌우된다고 한다. 그런데 정치적 사회공동체의 형성은 다시금 헌법과 국가의 기능적 통합으로서 “헌법생활”을 필요로 한다. 통합과정은 각각의 전제조건인 모든 참여적 통합요소들로 구성된다. 헌법은 사회공동체형성적 가치를 명명함에 의해 통합요소들의 지위가치를 강조함으로써, 이러한 통합되는 효력을 지원할 수 있다. 국가와 헌법은 분명 사회통합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스멘트가 주장하는 바와 같이 모든 이해관계의 차이를 극복하고 하나의 통일된 통합과정은 국가조직에서 중요하다. 그러나 헌법이 모든 통합을 위한 만병통치약이 될 수는 없다. 분열이나 갈등의 문제들을 사회의 자율성에 의해 해결되도록 유도해야 한다.
영문 초록
Die von Smend als primärer Zweck des Staatlichen verstandene Einheitsbildung wird als Prozeß der Selbstgestaltung der Staat Angehörigen und als Ergebnis der politischen Willenseinigung gedeutet. Nach Hermann Heller besteht die Realität des Staates darin, dass das Wirken der Einzelnen um gemeinsamer Ziele willen faktisch koordiniert ist. Im Bereich des Seins stellte jeder Staat, unabhängig von normativen Regelungen, ein gesellschaftliches Ordnungsgefüge dar, in dem bestimmte Menschen einer Herrschaft unterstellt seien. Die Ordnung bestehe in der Willensvereinigung bestimmter Menschen zur realen Organisationseinheit. Die in der gesellschaftlichen Wirklichkeit vorhandene Handlungs- und Entscheidungseinheit tranformiere ihren Willen in eine Rechtsordnung als Sollensregelung. Carl Scmitts Staatstheorie kreist um die dem Staat wesensmäßig zugeordnete Funktion der Einheitsbildung. Der Staat ist substantielle Einheit. Der Zusammenhang zwischen Verfassung und Integrationsvorgang wird über den Staat hergestellt. Der Staat ist Bezugspunkt der Verfassung. Wesentlich für den Staat ist die Integration als sein Lenensprinzip. Die Verfassung muss dieses Moment aufgreifen, will sie ihrem Regelungsgegenstand Staat gerecht werden. Die Integration wird zum Sinnprinzip der Verfassung. Nach dem Konzept Smends stören daran zwei Aspekte: Zum einen würde sich dann als als grobe Scheidung zwischen Staat und Gesellschaft zeigen. Man kann diese Unterscheidung sicherlich als staatstheoretische aufrechterhalten, ohne sie mit einem Abbild der gesellschaftlichen Wirklichkeit gleichzusetzen. Zum anderen legt die Beschreibung des Staates als Mittel zur Zweckerfüllung ein bewusstes zweckrationales Moment nahe, was nach Smend ebenfalls an der staatlichen Wirklichkeit vorbeigeht, die sich als unbewusster, von objektiven Wertgesetzlichkeiten angeleiteter Vorgang darstellt.
목차
Ⅰ. 서 론
Ⅱ. 헌법의 통합적 효력과 법적 효력간의 관련성
Ⅲ. 스멘트의 국가학 및 헌법학에서 말하는 ‘헌법’과 ‘통합’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 Brief Review of the New Criminal Jury Trial System in Korea
- 신라(BC 57~AD 935)의 풍류도와 한철학
- 현 정부의 초.중등교육정책에 대한 헌법적 관점에서의 검토
- 헌법이란 행복한 세 발 자전거
- 지속가능한 국토이용 평가
- 사회통합과 헌법
- 상속세 및 증여세법의 헌법상의 문제에 관한 연구
- 라틴아메리카의 헌법재판제도
- 레퍼렌덤으로서의 헌법 제72조 국민투표
-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실현을 위한 공적 부양의 개선방안
- 프랑스 제24차 헌법개정의 특징과 주요 내용
- 2009년 개정 북한헌법에 대한 분석과 평가
- 영국의 선거제도 개혁논의와 다수제 민주주의
- 정치의 사법화의 세 가지 유형
- 헌법상 조세평등주의에 대한 연구
- 정당해산제도의 딜레마
- 리스본조약상 법적 행위와 그 제정 절차의 개혁
- 영국에서의 의회입법에 대한 사법적 통제
- 議院內閣制의 受容必要性과 條件에 관한 考察
- 인터넷 실명제에 관한 연구
- 미국의 아동대상 성범죄 관련 법률에 대한 입법론적 검토
- 근대 이후의 자유주의의 변용과 경제공법질서의 전개과정
- 이탈리아의 헌법재판제도
- 헌법상 장애인과 아동의 기본권보장과 그 개정방안
- 한정합헌결정은 합헌결정인가
- 노조전임자 임금지급 금지와 근로시간면제제도의 헌법적합성
- 憲法上夜間屋外集會禁止에 대한 違憲審査
- 인터넷 선거운동의 자유화에 관한 법적 연구
-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 언론관계법의 발전과 평가
- 헌법상 시장경제와 경제민주화의 상호관계
- 낳지 않을 자유와 자기결정
- 바람직한 대법관 인선기준
- 문화적 다양성의 합헌성
- 직원의 종교적 요구에 따른 사용자의 업무상 배려의무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