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헌법 제72조 국민투표의 법적 성격
이용수 263
- 영문명
- Distinction between Referendum and Plebiscite in Constitution Article 72
- 발행기관
- 세계헌법학회 한국학회
- 저자명
- 황도수(Hwang Do Soo)
- 간행물 정보
- 『세계헌법연구』世界憲法硏究 第16卷 第2號, 571~59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헌법 72조가 규정하는 국민투표에 관하여는 법문의 불명확성으로 인하여 그 법적성격에 대하여 많은 이론이 제기되고 있다. 헌법 제72조는 국민투표가 행해질 수 있다는 것에 대하여만 명확하게 밝히고 있을 뿐, 그 국민투표의 대상, 요건 내지 효력 등에 관하여는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열어 놓고 있기 때문이다. 이 글은 헌법 제72조 국민투표의 법적 성격을 논구함으로써 헌법 제72조 국민투표의 대상, 요건 내지 효력에 대한 올바른 해석을 행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는 이론을 수립하고자 시도하였다. 그 법적 성격을 이해하기 위하여 먼저 레퍼렌덤과 플레비시트를 구분하는 기준이 무엇인지에 관하여 검토하였는데, ‘법적 효과’를 기준으로 양자를 구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직접민주제도로서의 원래의 취지에 따라 국민투표의 결과에 대하여 ‘국가의사결정’이라는 ‘공권력 행사로서의 법적 효과’
가 부여된 국민투표를 레퍼렌덤이라고 하고, 그러한 법적 효과가 부여되지 아니하는 국민투표를 플레비시트로 이해하자는 것이다. 그리고 이처럼 레퍼렌덤과 플레비시트를 개념적으로 구분하는 논증 과정을 통하여 플레비시트가 갖는 법적, 현실적 위험성에 대하여 인식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우리 헌법 제72조 국민투표를 해석함에 있어서 가능하면 플레비시트로 운용될 가능성을 배제하는 방향으로 해석하어야 한다는 결론에도 이르렀다. 이러한 결론에 바탕하여 우리 헌법 제72조 국민투표가 레퍼렌덤으로 해석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영문 초록
Constitution Article 72 says, "The President may submit important policies relating to diplomacy, national defense, unification and other matters relating to the national destiny to a national referendum if he deems it necessary". It is based on that decisions by referendums are the most legitimate of all. Moreover, decisions in which popular participation is direct, as in referendums, produce more accurate expressions of their will than do decisions in which they participate only by electing others who make the decisions for therm, as in acts of parliaments and president. But Artilcle 72 does not provide the objects, conditions and legal effects of referendum clearly. It causes many interpretation problems. There are many arguments about the criteria which make a distinction between referendum and plebiscite. And many criteria are presented : institutionalized or not, compulsory or not, a vote of confidence or not, objects of referendums. There does not seem to be any clear or generally acknowledged line that can be drawn to distinguish the subject matter, theintent, or the conduct of a referendum from that of a plebiscite. This article tries to make distinction between referendum and plebiscite with the legal effects. Referendums have legally binding effects that the President observe rules made by referendums. But plebiscites have only factual effects of consultation as a matter of fact. So the word 'plebiscite' has tended to be applied to an ad hoc reference involving approval for a man or a regime. This article comes to a conclusion that Constitution Article 72 is related to referendum, not plebiscite.
목차
1. 서론
2. 헌법 제72조 국민투표의 법적 성격에 관한 논의
3. 레퍼렌덤과 플레비시트의 구분
4. 레퍼렌덤으로서의 헌법 제72조의 국민투표
5.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퍼블리시티권의 헌법적 보장에 관한 연구
- 한국의 지방선거개선방안
- 헌법상 근로자의 권리에 관한 연구
- 인터넷뉴스서비스사업자의 법적 책임에 관한 연구
- 日本에서 憲法上 自己決定權과 個人情報保護
- 공리주의 대 자연권
- 헌법상 교육기본권과 학교경영책임
- 헌법 제72조 국민투표의 법적 성격
-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근대 이후의 자유주의의 변용(1)
- 성년 후견제도와 인간존엄성의 보장
- 공직선거법 제47조의2 제1항의 위헌성
- 이주노동자권리협약에 규정된 권리들의 헌법적합성에 대한 검토
- 헌법개정을 위한 기본권 관련 쟁점에 관한 고찰
- 정치적 영역에서 여성참여를 높이기 위한 정당공천 여성할당제와 남녀평등
- 동성애 군인의 규제에 대한 헌법적 재조명
- 공동체주의적 관점에서의 헌법 고찰
- 제3기 헌법재판소의 정신적 자유권 관련 판결성향분석
- 계엄제도와 그 개선방안에 관한 고찰
- 대의민주주의에서 보통선거의 원칙과 투표율 제고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