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뇌졸중 환자의 기능회복에 대한 예측모델
이용수 126
- 영문명
- A Prediction Model for Functional Recovery After Stroke
- 발행기관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 저자명
- 원종임(Jong-im Won) 이미영(Mi-young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제17권 제3호, 59~67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Mortality rates from stroke have been declining. Because of this, more people are living with residual
disability. Rehabilit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functional recovery of stroke survivors. In stroke rehabilitation, early prediction of the obtainable level of functional recovery is desirable to deliver efficient care, set realistic goals, and provide appropriate discharge plan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redictors of functional outcome after stroke using inpatient rehabilitation as measured by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 total score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on data collected retrospectively from two-hundred thirty-five patients. More than moderat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FIM total scores at the time of hospital admission and FIM total scores at the time of discharge from the hospital. Significant predictors of FIM at the time of discharge were FIM total scores at the time of hospital admission, age, and onset-admission interval. The equation was as follows: expected discharge FIM total score = 76.12+.62x(admission FIM total score)-.38x(age)-.15x(on set-admission interva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FIM total scores at the time of hospital admission, age, and onset-admission interval are important determinants of functional outcom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통 환자들을 위한 한국어판 Northwick Park Neck Pain Questionnaire의 신뢰도와 타당도
- GMFM-88과 GMFM-66의 신뢰도와 타당도 비교
- 팔걸이 형태에 따른 편마비 환자의 보행 변수 및 비마비측 견갑대의 근활성도 변화
- 뇌졸중 환자의 기능회복에 대한 예측모델
- 균형능력 운동치료 시스템을 이용한 치료가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 만성 뇌졸중 환자의 기립 자세조절에 이중 과제가 미치는 영향
- 좌골신경가동화기법이 만성 요통 환자의 통증과 슬관절 신전근력에 미치는 영향
- 뇌졸중 환자 평가를 위한 Stroke Rehabilitation Assessment of Movement의 측정자간 신뢰도
- 어깨관절의 수동적 내회전 관절 가동범위의 측정 방법에 따른 신뢰도와 상완골두의 전방 활주 거리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 중증정신질환자가 이용하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인지행동치료가 조현병 환자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조현병 환자에게 적용한 그룹인지재활프로그램이 인지기능과 작업적 참여에 미치는 효과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Effect of Neck Stabilization Exercise with Reverse Plank Exercise on Neck Alignment and Muscle Function in University Students with Forward Head Posture
- Comparison of sternocleidomastoid (SCM) muscle thickness in college students with forward and normal posture: an ultrasound cross-sectional study
- The effect of shoulder muscle exercise therapy on functional level, grip strength and pain in patients with lateral elbow tendinopath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