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福祉型信託 導入을 통한 民事信託의 活性化
이용수 122
- 영문명
- The revitalization of the Civil Trust through the introduction of welfare type trust - With a Particular Emphasis on the trust for beneficiary in succession -
- 발행기관
- 한국재산법학회
- 저자명
- 최현태(Choi, Hyun-Tae)
- 간행물 정보
- 『재산법연구』財産法硏究 第27卷 第1號, 1~2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Ministry of Justice has prepared an entire amendment of the Trust Act in recent years. Even though the Trust Act was enacted in 1961 and revised somewhat since then, it has been applied infrequently. One of the biggest reasons why the Act has been rarely used would be the rigid rules incompatible with our reality. For this reason jurists and academia call for the amendment of the Trust Act from early. In the draft of the Act, it includes a concept of innovative system for invigoration of the Civil Trust. Articles 59 and 60 of the draft are the one reflected to the above concept and provide the Trust instead of a testament and the trust for beneficiary in succession, respectively. This paper, however, points out the subject matter of the latter, the trust for beneficiary in succession, in particular. The trust for beneficiary in succession defines a system that the next beneficiary acquires the right of the previous beneficiary, after the previous beneficiary dies. In this paper a relation with the civilly inheritance system in the trust for beneficiary in succession and a suitability are judged in particular. It is criticized as being not logically correct with the civil law and the fundamental of the law of inheritance, which benefit is allowed by the trust for beneficiary in succession. For Application of the trust for beneficiary in succession without a problem with the fundamental of the law of inheritance a construction of this Act is examined thoroughly.
목차
Ⅰ. 序論
Ⅱ. 複數受益權者를 前提로 한 受益者槪念의 分類
Ⅲ. 財産管理目的의 福祉型信託活用의 必要性
Ⅳ. 信託의 機能을 통한 福祉型信託의 活用可能性
Ⅴ. 繼續的遺贈의 代替機能으로서의 受益者連續信託
Ⅵ. 結論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화인민공화국 물권법(2007년)의 물권변동에 관한 연구
- Patents System and Negative Externalities of R&D
- 不動産 二重賣買에 관한 立法論的 考察
- 자동차사고 피해자의 합의 후 사정변경에 따른 손해배상금 산정시 부당이득반환과 기판력에 관한 판례연구
- 環境侵害의 留止請求
- 福祉型信託 導入을 통한 民事信託의 活性化
- 판례상 합의해지에 관한 화해
- 단체보험계약에 관한 소고
- 예금채권으로 된 압류금지채권에 대한 압류 및 상계에 관한 소고
- 민․상법의 통일적 법제도의 정비를 위한 조건
- 원시적 불능에 관한 민법 제535조의 개정에 관한 연구
- 부당이득에서 급부, 침해 그리고 단순한 이익의 귀속
- 아파트 분양 광고와 시공사의 법적 책임
- 다수당사자의 채권관계
- 유럽계약법상 신의성실의 원칙의 내용과 우리민법의 시사점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