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고학년의 읽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읽기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이용수 2,205
- 영문명
- Prediction of Reading Skills in Upper Elementary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김애화(Ae-Hwa Kim) 황민아(Mina Hwang)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13권 제1호, 1~2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3.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성공적인 읽기를 위해서는 다양한 지식과 기술 이 요구되며, 이러한 읽기관련변인들은 읽기 평가도구 및 교수 프로그램 개발에 중요한 시사점을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 읽기부진학생과 일반학생의 읽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읽기관련변인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초등학교 4~6학년 읽기부진학생 43명
과 일반학생 50명을 대상으로 읽기부진 진단검사, 읽기유창성 검사, 문장이해(단문이해, 복문이해)검사, 어휘지식 검사, 읽기이해점검 검사, 읽기이해질문 검사, 이야기 다시말하기 검사 등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읽기부진학생은 일반학생에 비해 모든 읽기검사에서 유의미하게 낮은 수행을 보였다. 둘째, 전체학생(읽기부진학생과 일반학생 포함)의 읽기능력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변인은어휘지식, 읽기이해점검, 읽기이해질문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읽기부진학생의 읽기능력을 가장많이 설명하는 변인은 어휘지식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반학생의 읽기능력을 가장 많이 설명하는
변인으로는 읽기이해점검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초등학교 고학년학생의 읽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학생의 읽기능력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이러한 결과가 읽기부진학생과 일반학생의 읽기지도에 시사하는 바를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implications for reading assessment and interv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fold: (1) to compare the reading abilities (i.e., reading fluency, sentence comprehension, vocabulary, comprehension monitoring, reading comprehension) of low-achieving students with those of normally-developing students, and (2) to examine the relative importance of multiple measures for the prediction of reading outcomes. Methods: A total of 93 students (43 low-achieving students and 50 normally-developing students) participated in a variety of tests
measuring reading fluency, sentence comprehension, vocabulary, comprehension monitoring, comprehension questioning, and story retelling. Result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on all measures. Second, the vocabulary, comprehension questioning, and comprehension monitoring test was strongly predictive of reading abilities. Specifically, vocabulary was the most predictable variable for the low-achieving students while the comprehension monitoring was the most predictable variable for the normally-achieving students. Discussion & Conclusion: Good predictors of reading outcomes vary depending on students’ reading abilities. Vocabulary was strongly predictive of reading abilities for low-achieving
students, while comprehension monitoring was strongly predictive of reading abilities for normally-achieving students. Instructional implications for practice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