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Correlation Between Response to Induction chemotherapy and Subsequent Radiotherapy in Previously Untreated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s of the Head and Neck

이용수  8

영문명
발행기관
대한방사선종양학회
저자명
Woo Yoon Park(박우윤) Seong Yul Yoo(류성렬) Kyong Hwan Koh(고경환) Chul Koo Cho(조철구) Young Hwan Park(박영환) Youn Sang shim(심윤상) Kyung Kyoon Oh(오경균) Yong Sik Lee(이용식)
간행물 정보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제8권 제2호, 207~212쪽, 전체 6쪽
주제분류
의약학 > 종양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0.12.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유도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후 종양 관해의 상호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1986년부터 1989년까지 원자력병원에서 소정의 충분한 유도화학요법과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받은 국소적으로 진행된 두경부 악성종양 환자 60예에 대한 후향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유도화학요법은 CDDP를 기본으로한 복합요법을 2내지 3회 시행한바, 20에에서 Bleomycin + CDDP(BP), 37예에서 5-FU+CDDP(FP), 그리고 3예에서 BP/FP의 교대요법을 시행하였으며, 방사선은 병소에 따라서 65Gy 내지 75GY 또는 그 이상을 조사하였다. 유도화학요법에 의한 종양의 관해율은 원발병소에서는 80%(48/60), 경부임파절에서는 79%(31/39)였으며, 약제, T-병기, 그리고 N-병기에 의한 통계적 유의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방사선조사 6개월후 원발부위에서는 67%(40/60)의 완전관해를, 경부임파절에서는 77%(30/39)의 완전관해를 보인바, 이를 유도화학요법에 의한 관해 유무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원발부위에서는 유도화학요법에 의한 관해(완전관해 또는 부분관해)를 얻었던 48예중 39예에서 완전관해를 얻었으나(81%), 관해를 얻지 못한 12예에서는 1예에서만이 방사선 치료에 의해 완전관해를 얻을 수 잇었으며(8%)(p<0.0005), 경부임파절에서는 유도화학요법에 의해 관해를 얻었던 32예중 28예에서 완전관해를 얻은 반면(90%), 관해를 얻지 못한 8예에서는 2예에서만이 방사선 치료에 의해 완전관해를 얻을 수 있었던바 (25%)(p<0.001),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한편 이를 원발부위, T-병기 그리고 N-병기에 따라 분석해본 결과, 특히 T-병기중 T3,4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으나 (p<0.0005), T1,2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0.3

영문 초록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ponse to induction chemotherapy and subsequent radiotherapy we analyzed the clinical records of 60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carcinoma of the head and neck retrospectively who had completed a full course(2~3 cycle) of induction chemotherapy and curative radiotherapy in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between 1986 and 1989. Chemotherapy was administered with CDDP+Bleomycin (BP)in 20, CDDP+5-FU(FP) in 37, and hybrid of BP and FP in three patients. Radiotherapy was given conventionally with a dose of 65 to 75 Gy or more over seven to eight weeks according to the size of lesion. Response rates following induction chemotherapy were 80% for the tumors and 79% for the nodes whereas complete response rates were 12% and 13%, respectively. Six months after radiotherapy 67% of the the tumors and 77% of the nodes achieved a complete response. Among the 48 tumor responders and the 31 nodal responders to chemotherapy. 39(81%) and 28(90%), respectively, achieves complete response ofter radiotherapy. Thus, whether or not the tumor and node respond to induction chemotherapy was predictive of the response to subsequent radiotherapy (p<0.0005 in tumor, p<0.0001 in node). By reanalyzing according to disease (p>0.3). Therefore the tumor of node's response to induction chemotherapy is a predictor for subsequent radiotherapy except in T1-t2 tumors, and complete response to radiotherapy can be expected despite the failure of induction chemotherapy in T1-T2 tumor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Woo Yoon Park(박우윤),Seong Yul Yoo(류성렬),Kyong Hwan Koh(고경환),Chul Koo Cho(조철구),Young Hwan Park(박영환),Youn Sang shim(심윤상),Kyung Kyoon Oh(오경균),Yong Sik Lee(이용식). (1990).Correlation Between Response to Induction chemotherapy and Subsequent Radiotherapy in Previously Untreated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s of the Head and Neck.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8 (2), 207-212

MLA

Woo Yoon Park(박우윤),Seong Yul Yoo(류성렬),Kyong Hwan Koh(고경환),Chul Koo Cho(조철구),Young Hwan Park(박영환),Youn Sang shim(심윤상),Kyung Kyoon Oh(오경균),Yong Sik Lee(이용식). "Correlation Between Response to Induction chemotherapy and Subsequent Radiotherapy in Previously Untreated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s of the Head and Neck."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8.2(1990): 207-2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