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마우스 말초신경계에 미치는 2, 3, 7, 8-tetrachlorodibenzo-p-dioxin (TCDD)의 영향에 대한 형태학적 분석

이용수  23

영문명
Morphological Analysis of the Effect of 2, 3, 7, 8-tetrachlorodibenzo-p-dioxin on the Peripheral Nervous System of Mouse
발행기관
대한해부학회
저자명
양희준(Hee Joon Yang) 이원영(Won Young Lee) 윤호(Ho Yoon) 길영천(Young Chun Gil) 박경아(Kyung Ah Park) 이혜연(Hye Yeon Lee)
간행물 정보
『대한해부학회지』제35권 제3호, 187~194쪽, 전체 8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2.06.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환경호르몬 중의 하나인 2, 3, 7, 8-tetrachlorodibenzo-p-dioxin (TCDD)는 사람과 여러 동물의 많은 장기와 계통에서 다양한 독성효과를 나타내는 물질로 알려져 있으나 말초신경계에 미치는 영향은 불명확하다. 이에 생쥐에 TCDD를 투여한 뒤 말초신경에서 나타나는 변화를 형태계측학적으로 분석하였다. 생후 4주 된 C57BL/6J 생쥐의 복강에 TCDD 40 μg/kg을 1회 주사하고, 1주, 4주, 16주 후에 척수의 넷째 허리분절, 넷째 허리척수신경절, 궁둥신경을 떼어 일반조직표본을 만들고, 궁둥신경의 일부는 전자현미경 표본을 만들어 관찰하였다. 척수와 척수신경절의 신경세포체의 형태 및 수, 궁둥신경의 축삭과 수초의 형태, 섬유의 수, 축삭과 수초의 넓이, 수초의 밀도, 궁둥신경 미세구조의 변화를 관찰하고, 척수신경절 세포 수, 궁둥신경 섬유의 수, 축삭과 수초의 넓이, 밀도의 변화를 형태계측학적으로 분석하였다. 척수 앞뿔 신경세포의 형태와 척수신경절 신경세포의 형태 및 수는 TCDD 투여군과 대조군에서 차이가 없었으며, 궁둥신경 축삭의 형태와 단면적도 두 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수초가 두터워진 섬유는 TCDD 투여군에서 더 많이 관찰되었고, 수초의 단면적은 TCDD 투여 후 4주군과 16주군에서 대조군보다 증가하였으며, 수초밀도는 모든 TCDD 투여군에서 대조군의 것보다 낮았다. 축삭의 미세구조는 TCDD 투여군과 대조군이 서로 차이가 없었으나, 수초의 미세구조는 TCDD 투여군에서 층판의 배열이 불규칙해지고 벌어지는 비정상적인 양상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TCDD는 신경 수초를 파괴하는 독성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수초의 층판 배열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Toxicity of TCDD on the peripheral nerve has not yet been clear even though there are many reports about its toxicity on various organs of human and other animals. This study was designed to clarify the effect of TCDD on the peripheral nerve by the morphometric and electron microscopic analysis. Fourty mg/kg of TCDD was injected to 4 week-old C57BL/6J mice intraperitoneally. At the 1st, 4th and 16th weeks after TCDD injection, the 4th lumbar segments of the spinal cord, the same level of spinal ganglia, and the sciatic nerves were taken. They were used for the light and electron microscopic examination and morphometric analysis. The nerve cell bodies of the anterior horn and the spinal ganglia did not show the difference between the TCDD-treated and control groups. Neuronal population of the ganglia of the TCDD-treated group did not differ from that of the control group. Unusually thickened myelin was frequently observed in the TCDD-treated groups, while axonal degeneration was not found in the sciatic nerves of both groups. The cross sectional area of myelin sheaths in the TCDD-treated group of all age was larg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Under the tra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he myelin of the TCDD-treated group showed that it lost the regular compact arrangement and its lamellar was disrupted. In conclusion, we suggest that TCDD slows down the nerve conduction velocity via the disruption of the myelin structure of the peripheral nerv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희준(Hee Joon Yang),이원영(Won Young Lee),윤호(Ho Yoon),길영천(Young Chun Gil),박경아(Kyung Ah Park),이혜연(Hye Yeon Lee). (2002).마우스 말초신경계에 미치는 2, 3, 7, 8-tetrachlorodibenzo-p-dioxin (TCDD)의 영향에 대한 형태학적 분석. 대한해부학회지, 35 (3), 187-194

MLA

양희준(Hee Joon Yang),이원영(Won Young Lee),윤호(Ho Yoon),길영천(Young Chun Gil),박경아(Kyung Ah Park),이혜연(Hye Yeon Lee). "마우스 말초신경계에 미치는 2, 3, 7, 8-tetrachlorodibenzo-p-dioxin (TCDD)의 영향에 대한 형태학적 분석." 대한해부학회지, 35.3(2002): 187-19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