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Outcome of LINAC Radiosurgery for a Cavernous Angioma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종양학회
- 저자명
- 홍세미(Semie Hong) 지의규(Eui Kyu Chie) 박석원(Suk Won Park) 김일한(Il Han Kim) 하성환(Sung Whan Ha) 박찬일(Charn Il Park)
- 간행물 정보
-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제21권 제2호, 107~112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종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 적: 혈관조영상 잠재혈관기형 중 하나인 해면상혈관종의 치료에 있어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정위방사선수술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2월부터 1997년 5월까지 서울대학교 병원에서 해면상혈관종으로 11명이 방사선수술을 받았다. 진단은 자기공명영상을 바탕으로 내려진 것이 8예였으며 3예에서는 조직학적으로 진단이 되었다.병변의 위치는 대뇌부 3예, 시상부 1예,뇌간 5예,소뇌 2예였으며 진단 당시의 임상증상은 뇌내출혈로 인한 신경학적 결손을 보인 환자가 9예였으며 2예에서는 경련을 나타내었다.선형가속기를 이용한 정위방사선수술의 선량의 중앙값은 회전중심점 선량의 80%를 기준으로 16 Gy(범위:14˜24 Gy)였다.11명의 환자 중 10예에서 추적 관찰이 가능하였다.
결 과: 49개월의 중앙추적 관찰기간 동안(범위:8˜73개월) 2예의 재출혈이 발생하였다. 1예는 정위방사선수술 시행 8개월 후에 재출혈이 일어났으며 1예는 정위방사선수술 64개월 이후에 재출혈이 발생하였다.정위방사선수술 후에 1예는 출혈의 증거 없이 신경학적으로 악화되었고 2예는 임상증상을 동반하지 않은채 T2 강조 자기공명영상에서 높은 신호강도가 나타났다.
결 론: 해면상혈관종에 대한정위방사선수술은 재출혈 방지에 효과가 있는것으로 생각되며 그 부작용 또한 크지 않았으나 재출혈에 대해서는 충분한 기간 추적관찰을 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o establish the role of stereotactic radiosurgery using a linear accelerator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cavernous angioma.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February 1995 and May 1997, 11 patients with cavernous angioma were treated withstereotactic radiosurgery using a linear accelerator. Diagnoses were based on the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 8 patients, and the histological in 3. The vascular lesions were located in the brainstem (5 cases), cerebellum (2 cases) thalamus (1 case) and cerebrum (3 cases). The clinical presentation at onset included previous intracerebral hemorrhages (9 cases) and seizures (2 cases). All patients were treated with a a linac-based radiosurgery. The median dose ofradiation delivered was 16 Gy ranging from 14 to 24 Gy,which was typically prescribed to the 80% isodose surface (range 50˜80%),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y of the lesion with a single isocenter. Ten patients were followed-up.
Results: The median follow-up was 49 months ranging from 8 to 73 months, during which time two patients developed an intracerebral hemorrhage, 1 at 8 months, with the other at 64 months post radiosurgery. One patient developed neurological deficit after radiosurgery, and two developed an edema on the T2 weighted images of the MRI surrounding the radiosurgical target.
Conclusion: The use of stereotactic radiosurgery in the treatment of a cavernous angioma may be effective in the prevention of rebleeding, and can be safely delivered. However, a longer follow-up period will be required.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Conceptual Source Design and Dosimetric Feasibility Study for Intravascular Treatment
- 진행된 두경부암에서 다분할 방사선치료
-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정위방사선 치료 시 GafChromic Film을 이용한 선량측정
- 자궁경부암의 방사선치료 시 자궁의 크기와 위치 변화
- 직장암에 대한 수술 전 동시병용 방사선-항암 화학요법
- Is the BRCA Germline Mutation a Prognostic Factor in Korean Patients with Early-onset Breast Carcinomas?
- 자궁경부암으로 수술 후 재발암의 방사선치료
- 해면상혈관종에 대한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고선량 정위방사선수술의 임상경험
- 간외 담도암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역할
- 유방암 환자의 삼문 조사 시 내외측 접면 조사야의 Posterior Edge의 어긋남의 교정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종양학분야 BEST
- 두피의 포도주색 모반에서 발생한 화농성 육아종: 증례 보고 및 문헌고찰
- Impact of adaptive radiotherapy on survival in locally advanced nasopharyngeal carcinoma treated with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 무릎관절의 미만형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에서 관절경을 이용한 육안적 활액막 전 절제술 후 방사선치료
의약학 > 종양학분야 NEW
- Dosimetric analysis of different whole brain radiotherapy treatment planning methods: three types of 3-dimensional versus hippocampal avoidant
- To irradiate or to wait: practical considerations when planning for stereotactic radiosurgery for kidney tumors using magnetic resonance-guided online adaptive radiotherapy
- Definitive radiotherapy for unresectable extrahepatic cholangiocarcinoma: is it time for an update?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