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rimary Orbital Lymphoma : A Retrospective Analysis of Results of Radiation Therapy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종양학회
- 저자명
- 김수산(Sussan Kim) 안승도(Seung Do Ahn) 장혜숙(Hyesook Chang) 김경주(Kyoung Ju Kim) 이상욱(Sang-Wook Lee) 최은경(Eun Kyung Choi) 김종훈(Jong Hoon Kim) 허주령(Jooryung Huh) 서철원(Cheol Won Suh) 김성배(Sung Bae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제20권 제2호, 139~146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종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2.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 적 : 원발성 안와 림프종으로 진단 받고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치료 반응, 재발 양상, 생존률 및 치료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1년 2월부터 2001년 4월까지 서울중앙병원에서 원발성 안와 림프종으로 진단 받고 방사선치료를 받은 3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성별분포는 남자가 18명, 여자가 13명이었다. 연령은 3세에서 73세까지 분포하였으며 중앙값은 44세였다. 원발 부위는 결막이 9명, 안검이 12명, 안와가 10명이었다. 병리학적 소견은 MALT (low-grade B-cell lymphoma of mucosa-associated lymphoid tissue type) 림프종이 28명, diffuse large B-cell 림프종이 1명, anaplastic large cell 림프종이 1명이었으며 lymphoblastic 림프종이 1명이었다. Ann Arbor staging에 따른 병기 분포를 살펴보면 1기가 31명으로 전부를 차지하였으며 각각 비장, 신장, 골수와 맥락얼기(choroid plexus)에 병변이 있었던 환자 4명은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전체 환자 중, 양측 안와 침범이 있는 환자는 6명이었다. 방사선치료는 결막과 안검 부위는 6∼16 MeV의 전자선을 이용하여 전방 1문 치료로 30 Gy/10 fractions을 조사하였고, 안와 부위는 4 MV, 6 MV의 광자선을 이용하여 쐐기를 이용한 전사방 2문 치료로 20∼28회에 걸쳐 총 40∼50.4 Gy를 조사하였다. 특히 결막과 안검 부위는 수정체를 보호하기 위한 납차폐물이 사용되었다. 항암화학요법은 12명의 환자에서 시행되었다. 중앙 추적 관찰기간은 53개월이었다.
결 과 : 전체 환자의 5년 생존율은 90.7%이었으며, 2명이 질병과 무관하게 폐렴과 비소세포성 폐암으로 사망하여 질병관련(cause-specific) 5년 생존율은 96.0%이었으며 5년 무병 생존율은 80.0%, 5년 국소제어율은 90.5%였다. 방사선치료를 받은 31명 모두가 치료 후 6개월 이내에 완전관해를 보여 완전관해율은 100%였다. 이 중 국소 재발은 방사선치료 후 16개월과 18개월에 2명의 환자에서 보였고 구제 방사선치료 후 모두 완전관해를 보였다. 2명이 조사영역 밖에서 재발하였고 lymphoblastic 림프종 환자가 방사선치료 후 18개월에 골수에서 재발하여 사망하였고 MALT 림프종 환자가 방사선치료 후 41개월에 폐에 재발하여 구제 방사선치료 후 완전관해를 보였다. 12명의 환자가 방사선치료 전에 항암화학요법을 받았으며 부분관해가 11명에서 나타났고 1명은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방사선치료 당시 시력이 있었던 29명 중 5명에서 방사선유발 백내장이 발생하였으며 2명에서 안구건조증이 발생하였다.
결 론 : 원발성 안와 림프종의 대부분이 MALT 림프종이었다. 방사선치료는 매우 좋은 치료 반응과 국소 제어율을 보였으며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국소 재발한 경우에도 방사선치료가 구제치료의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대부분의 환자에서 심각한 후유증을 보이지 않는 안전한 치료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Purpose : This study evaluated the treatment outcomes, patterns of failure, and treatment related complications of primary lymphoma patients who received definitive radiation 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undertaken for 31 patients with primary orbital lymphoma at the Asan Medical Center between February 1991 and April 2001. There were 18 males and 13 females with ages ranging from 3 to 73 years (median, 44 years). The involved sites were 9 conjunctivae, 12 eyelids and 10 other orbits. The histological types were 28 MALT lymphomas (low-grade B-cell lymphoma of mucosa-associated lymphoid tissue type), 1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1 anaplastic large cell lymphoma and 1 lymphoblastic lymphoma. The Ann Arbor stages were all IE (100%). Ann Arbor stage Ⅲ or Ⅳ patients were excluded from this study. Bilateral orbital involvement occurred in 6 cases. Radiation therapy was given with one anterior port of high energy electrons (6∼16 MeV) for the lesions located at the anterior structures like the conjunctivae or eyelids. Lesions with a posterior extension or other orbital lesions were treated with 4 or 6 MeV photons with appropriately arranged portals. In particular, lens blocks composed of lead alloy were used in conjunctival or eyelid lesions. Twelve patients received chemotherapy.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53 months.
Results : The 5-year overall, cause-specific, and disease-free survival was 91%, 96%, and 80%, respectively. The complete response rate 6 months after radiation therapy was 100%. Local recurrences were observed in 2 patients at 16 and 18 months after completion of radiation treatment. They were salvaged with additional radiation therapy. Two patients developed distant metastases. A MALT lymphoma patient with a lung relapse was successfully salvaged with radiotherapy, but the other lymphoblastic lymphoma patient with bone marrow relapse expired. There were no severe complications but 5 patients developed radiation-induced cataracts and 2 patients developed dry eye.
Conclusion : Most primary orbital lymphomas consisted of MALT lymphomas. Radiation therapy was a successful treatment modality for orbital lymphoma without any severe complications. In cases of local relapses, radiation therapy is also a very successful salvage treatment modality.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필름을 사용한 세기변조치료법에 대한 선량측정
- The Effect of Gingko Biloba Extract on Energy Metabolic Status in C3H Mouse Fibrosarcoma :Evaluated by in vivo 31P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 절제 불가능한 원발성 간암의 입체조형 방사선치료의 초기 임상 결과
- 조직 결손에 대한 투과선량 계산 알고리즘 보정
- 조직학적으로 확진된 두개내 배아종의 전보조화학요법 후 방사선치료의 성적
- 성문상부암의 방사선치료
- 다용도 팬톰에서 정위방사선수술기법의 선량 정확도 확인
- 원발성 안와 림프종의 방사선치료 성적에 관한 후향적 분석
- 전산화단층촬영모의치료장치를 이용한 배와위 두개척수 방사선치료 계획
- 송과체부 종양에서 시험적 방사선치료의 역할
- 방사선치료를 받은 근 침윤성 방광암의 예후 인자
- Ginkgo Biloba Extract가 C3H 마우스 섬유육종의 분할 방사선치료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종양학분야 BEST
- 두피의 포도주색 모반에서 발생한 화농성 육아종: 증례 보고 및 문헌고찰
- 무릎관절의 미만형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에서 관절경을 이용한 육안적 활액막 전 절제술 후 방사선치료
- Impact of adaptive radiotherapy on survival in locally advanced nasopharyngeal carcinoma treated with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의약학 > 종양학분야 NEW
-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제43권 제3호 목차
- Is there a role of radiotherapy for steroid-resistant thyroid eye disease?
- Technique and outcomes of high-dose-rate interstitial brachytherapy for lip and buccal mucosa cancer: emphasis on cosmetic result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