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생쥐 대동맥에서 혈관 내피세포 및 민무늬근육세포의 효과적 분리

이용수  105

영문명
An Effective Isolation of the Vascular Endothelial and Smooth Muscle Cells from the Mouse Aorta
발행기관
대한해부학회
저자명
김경곤(Kyung Gon Kim) 성언기(Eon-Gi Sung) 김주영(Joo-Young Kim)
간행물 정보
『대한해부학회지』제42권 제2호, 93~104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4.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특정 유전자들이 없는 생쥐 또는 정상적인 생쥐의 대동맥으로부터 각각 분리된 세포들을 이용하여 서로 비교분석하면 죽상경화증 등의 질병 기전을 밝히는 데 유용한 모델로 쓰일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4~6주된 C57BL/6J 정상 생쥐 대동맥에서 혈관 내피세포와 민무늬근육세포를 효과적으로 분리하는 방법을 확립하기 위해서, 바깥막만을 제거하여 내막과 중간막으로 구성된 대동맥조직을 얻었다. 이 조직을 제1형 또는 제2형 아교질분해효소용액으로 처리하여 각각에서 분리된 내피세포와 민무늬근육세포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들 세포의 성장 양상은 도립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내피세포의 표지자인 CD31과 민무늬근육세포의 표지자인 α-smooth muscle actin은 공초점현미경으로 검경하였고, 효소용액의 종류에 따른 이들 세포의 분리 효과는 전체세포 수 중각 표지자에 양성반응을 보인 세포 수를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제1형 아교질분해효소용액으로 분리된 내피세포들은 배양 10일에 배양용기의 70~80%를 세포들이 덮었고, 제2형 아교질분해효소용액의 경우 40~50%가 세포들로 덮였다. 민무늬근육세포들은 배양 13일에 제1형 및 제2형 아교질분해효소용액 모두에서 배양용기의 70~80%가 세포들로 덮였다. 제1형 아교질분해효소용액으로 분리된 세포 중 CD31 양성반응인 내피세포의 백분율은 91.1±2.865%**였고, 제2형 아교질분해효소용액을 처리한 경우는 86.4±3.641%였다(**p⁄0.05, n=5). α-smooth muscle actin 양성반응인 민무늬근육세포의 백분율은 제1형 아교질분해효소용액을 사용하였을 경우 87.9±5.713%, 제2형 아교질분해효소용액의 경우 86.6±4.778%로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을 요약하면 대동맥조직을 제2형 아교질분해효소용액으로 처리하는 것에 비해 제1형 아교질분해 효소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혈관내피세포를 분리하는 데 있어 더욱 효과적이었다.

영문 초록

The mechanism of the disease such as artherosclerosis is easily elucidated by the comparison among cells isolated from each aorta of knockout mouse and wild type mouse, respectively. This study was aimed at effectively harvesting the endothelial and smooth muscle cells from 4~6 weeks old wild type C57BL/6J mouse aorta. The tunica adventitia was completely removed to get the aortic tissues only consisting of the tunica intima and the tunica media under the stereoscope. These aortic tissues were treated with type I collagenase or type II collagenase solution, respectively, and then the endothelial or smooth muscle cell was isolated. CD31 marker of the endothelial cell and α-smooth muscle actin marker of the smooth muscle cell were identified with confocal microscope. The percentages of the labelled cells by each marker represented the extent of purification of endothelial or smooth muscle cells, respectively, for harvested cells according to the collagenase solutions. 70~80% of culture vessel was covered with the endothelial cells 10 days after the treatment of the type I collagenase solution, while 40~50% of culture vessel covering with the cells after the treatment of the type II collagenase solution. 70~80% of culture vessel was covered with the smooth muscle cell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collagenase solution on the 13th day. Percentages of the CD31 positive cells after the treatment with the type I or the type II collagenase solution was 91.1±2.865%** and 86.4±3.641%, respectively (**p⁄0.05, n=5). Percentages of the α-smooth muscle actin labelled cells after the treatment with the type I or the type II collagenase solution were 87.9±5.713% and 86.6±4.778%, respectively, and these valu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aken together, the aortic tissues using the type I collagenase solution comparing with using the type II collagenase solution were much more effective in the isolation of the endothelial cell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곤(Kyung Gon Kim),성언기(Eon-Gi Sung),김주영(Joo-Young Kim). (2009).생쥐 대동맥에서 혈관 내피세포 및 민무늬근육세포의 효과적 분리. 대한해부학회지, 42 (2), 93-104

MLA

김경곤(Kyung Gon Kim),성언기(Eon-Gi Sung),김주영(Joo-Young Kim). "생쥐 대동맥에서 혈관 내피세포 및 민무늬근육세포의 효과적 분리." 대한해부학회지, 42.2(2009): 93-1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