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온몸의 연속절단면영상 만들기 일곱째 보고
이용수 14
- 영문명
- Serially Sectioned Images of the Whole Body Seventh Report: Segmentation of Lower Limb’s Structures in Detail
- 발행기관
- 대한해부학회
- 저자명
- 박진서(Jin Seo Park) 황성배(Sung Bae Hwang) 정민석(Min Suk Chung)
- 간행물 정보
- 『대한해부학회지』제39권 제4호, 313~322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8.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국 남성 시신의 온몸을 연속절단해서 해부영상을 만들었다. 해부영상에서 보이는 구조물을 구역화해서 구역화영상을 만들면 구조물의 3차원영상을 만들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다리의 해부영상에서 보이는 구조물을 낱낱이 구역화해서 구역화영상을 만든 다음에 퍼뜨려서 다른 연구자가 다리의 3차원영상과 가상해부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데 도움 주는 것이다.
해부영상을 포함한 임시구역화영상 976개(파일 형식 PSD, 간격 1.0 mm, 해상도 1,200×1,100)에서 왼다리의 구조물 114개(피부 1개, 뼈 32개, 무릎관절의 구조물 7개, 근육 60개, 동맥 7개, 신경 7개)를 구역화하기로 하였다. 어도비 포토샵에서 구조물의 테두리에 들어맞는 선택을 자동, 반자동, 또는 수동으로 그린 다음에 선택을 층에 담았다. 선택 속에 빛깔을 채운 다음에 임시구역화영상의 파일 형식을 TIFF로 바꾸어서 구역화영상 996개를 만들었다. 구역화영상을 쌓아서 이마, 마루구역화영상을 만든 다음에 구역화영상이 맞는지 살폈다.
이 연구에서 만든 구역화영상과 해부영상을 함께 쌓아서 3차원영상을 만든 다음에 3차원영상을 골라서 보고, 돌려서 보고, 잘라서 보면 다리의 해부학을 익히는 데 도움 될 것이다. 이 연구의 구역화 방법을 쓰면 다른 영상에서도 많은 구조물을 빠르고 올바르게 구역화하는 데 도움 될 것이다.
영문 초록
Whole body of a Korean male cadaver was serially sectioned to make anatomical images. Structures in the anatomical images should be segmented to make three-dimensional images of the structures.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pare the segmented images of lower limb in detail, which are distributed to help other investigators make 3D images and virtual dissection software of lower limb.
One-hundred fourteen structures (a skin, 32 bones, 7 knee joint structures, 60 muscles, 7 arteries, 7 nerves) of left lower limb were decided to segment in 976 temporary segmented images (PSD file, intervals 1.0 mm, resolution 1,200 ×1,100) including anatomical images. On the Adobe Photoshop, selections which fit the structures’ contours were drawn automatically, semiautomatically, or manually; subsequently, the selections were put into the layers. After filling the selections with colors, the temporary segmented images were converted to 996 segmented images (TIFF files). The segmented images were staked to make coronal and sagittal segmented images for verifying segmentation.
The corresponding segmented and anatomical images can be used to make three-dimensional images of the 114
structures and virtual dissection software, which are helpful in anatomy study of lower limb. The segmentation
techniques of this research can be used to segment many structures in other images quickly and correctly.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온몸의 연속절단면영상 만들기 일곱째 보고
- 흰쥐 뇌하수체에서의 NCX와 NCKX isoform mRNA의 발현에 관한 연구
- 사람치아속질에 있어서 TRPV1 면역양성 신경종말의 미세구조적 특징
- Up-regulation of PSD-95 in the Rat Hippocampal Formation after Chronic Renal Failure
- Serially Sectioned and Segmented Images of the Mouse for Learning Mouse Anatomy
- 실험적 알러지성 뇌수막염(EAE)이 유발된 쥐의 척수에서 SVCT 발현에 관한 면역화학적 연구
- 중간대뇌동맥과 심장동맥에서 죽상경화증 양상과 Angiopoietin-2 발현의 비교
- 모체 Thyroxine 투여가 태아알코올효과를 가진 흰쥐 뇌의 BDNF함유 신경세포 생후 발달에 미치는 영향
- 흰쥐에서 임신 중 레티노산이 입천장 형태발생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