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소아 기면증의 진단과 치료
이용수 240
- 영문명
- Pediatric Narcolepsy - Diagnosis and Treatment
- 발행기관
- 대한소아신경학회
- 저자명
- 방양원(Yang Weon, Bang) 채규영(Kyu Young, Chae)
- 간행물 정보
- 『Annals of Child Neurology(구 대한소아신경학회지)』대한소아신경학회지 제17권 제2호, 107~117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소아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1.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Narcolepsy is chronic devastating disease that characterized by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cataplexy, which often precipitated by intense emotion or excitement, hypnagogic, or hypnapompic hallucinations, sleep paralysis and nocturnal disrupted sleep. In child onset narcolepsy, the presentations of narcolepsy can be very variable, making misdiagnosis as seizure disorders or delaying diagnosis as much as several years after disease onset. For the diagnosis of narcolepsy, overnight polysomnography(PSG) and multiple sleep latency test(MSLT) should be evaluated. Test for Cerebrospinal fluid hypocretin(orexin) concentration and human leukocyte antigens(HLA) would be great helpful to confirm the narcolepsy with cataplexy even in early stage of disease in children. The mainstays of treatment are that reducing the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preventing the intrusion of the REM related phenomena including cataplexy and consolidating the nighttime sleep. Central nervous system stimulators such as methylphenidate or amphetamine decrease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and tricyclic antidepressant(TCA) or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SSRI) can prevent cataplexy. Recently, new therapeutic agents such as modafinil and sodium oxybate are emerging in clinical practice with much effectiveness. Counseling for poor school performance, social isolation and depression should be provided.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can greatly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wareness of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in children or adolescent will allow pediatricians to effectively identify hypersomnia such as narcolepsy.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소아 기면증의 진단과 치료
- 우리나라에서 소아기 교대성 편마비
- 두통과 복시를 주소로 내원한 뇌간 뇌염 1례
- A Case of Encephalitis Caused by Epstein-Barr Virus Infection
- A Case of Radiologically Suspected Mesenteric Plexiform Neurofibromas in a Patient with Type I Neurofibromatosis
- 늦게 발현된 비전형적인 두개골 조기 유합증 1례
- 기질적 원인이 없는 5세 이상의 환자에서 발열을 동반한 경련에 대한 임상적 연구
- A Case of Munchausen Syndrome by Proxy
- 영아형 알렉산더 병 1례
- 신생아 경련과 예후에 관한 고찰
- 반쪽거대뇌증을 동반한 결절성 경화증 1례
- A Korean Case of Infantile Krabbe Disease with a Novel GALC Gene Mutation
- 한국인 소아․청소년에서 가역성 후두부 백질 뇌증증후군의 임상적 특성에 대한 다기관 공동연구
- 모야모야병과 폐 신경절신경종이 동반된 신경섬유종증 1례
- 수면장애를 가진 소아 청소년에서의 불안증, 우울증의 유병률
- 장바이러스 수막염 유행 시 뇌척수액 검사의 임상적 고려 사항에 관한 연구
- 2009년 새롭게 개편된 국내 급성이완성마비 감시체계
- 소아기 및 청소년기의 환아들에서 요추 천자 후의 부작용
- 소아기 결절성 경화증에 대한 임상적 고찰
- 간질경련을 주소로 내원한 소아 환자의 복약순응도
- 소아에서 간질발작의 임상양상과 뇌파검사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소아과학분야 BEST
- 수면시간이 청소년들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
- 미디어 노출이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 언어 발달 지연아에서 한국형 영유아 발달 검사와 취학 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 척도, 영유아 언어발달검사의 비교 분석
의약학 > 소아과학분야 NEW
- Genotype-Phenotype Correlations and Functional Outcomes in Pediatric Patients with KCNQ2-Related Epilepsy: A Multicenter Observational Study in Korea
- Rett-Like Phenotype in a Patient with a Novel Pathogenic FBXW7 Variant
- Neuroleptospirosis in a Patient Admitted to the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A Rare Case Report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