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민참여재판에서 시각자료의 활용과 증거 허용성
이용수 67
- 영문명
- Utilization and Admissibility of Evidence of Visual Materials in Civil Participating Criminal Trial
- 발행기관
- 한국형사정책학회
- 저자명
- 천진호(Chun, Jin-Ho)
- 간행물 정보
- 『형사정책』刑事政策 第21卷 第2號, 425~44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Civil participation criminal trial, the jury, the primary means of receiving information through visual language and is the only way The jury in order to persuade effectively and efficiently, such as the current parties to the proceeding of the language and our words will be changed Litigants, legal knowledge is not a jury trial rather than using the language and words 'seeing' through the data argue that the visual is much more effective
Visual communication to communicate with another by comparing the effect that the extraordinarily high pass That visual images and audio and video media, combined with the character to appeal to multiple senses of vision or hearing, so that a single sensory appeal to the media much more specific and more efficient to transmit information These visual aids to the human perception of the complex because it affects the hearing to the media that print media and communication and hence higher efficiency Pleading by the multimedia in civil participating criminal trial that this principle should be In addition to hearing the jury throughout the trial, time to get the information efficiently and to keep the memory of that information can give helps
In this paper, this time by starting citizen participation in the trial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the concept of visual materials and visual effects, and some of those issues were rs wewed and how to pleading to convince the jury that the change of direction and visual materials will be used as scientific evidence of the depth was analyzed
목차
Ⅰ 서론 국민참여재판과 법정변론의 모습
Ⅱ 시각자료의 개념과 문제점 및 시각자료 활용을 위한 구비 여건
Ⅲ 국민참여재판과 변론방식의 변화
Ⅳ 시각자료의 과학적 증거 허용성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처벌의 효과
- 국민참여재판에서 시각자료의 활용과 증거 허용성
- 아동·청소년 성범죄관련 처벌규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소위 부동산 '알박기'에 대한 부당이득죄의 성립 범위와 한계
- 참여의 관점에서 바라본 피해자의 진술권
- 대형마트에서의 상점절도(Shoplifting)
- 학회소식 외
- 도시지역과 읍·면지역 간 범죄에 대한 두려움의 수준과 영향요인의 차이
- 청소년 인터넷 악성댓글에 있어 중화의 작용
- 한국 연쇄살인범죄의 테마와 특성 분석
- 성폭력범죄 피해아동 진술의 신뢰성 판단과 피고인의 반대신문권
- 간첩죄의 해석론과 개선방향
- 아동성범죄 방지를 위한 형사정책적 대안 모색
- 독일 형법상 정보제공범인(공범증인)에 대한 형벌감면규정의 검토
- 명예 관련 범죄와 형사조정제도
- 현대산업사회에 있어 과실범의 재조명
- 스위스신형법의 형사제재
- 저작권침해와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형사책임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