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he “Primal Scene” of Immigration and the Interstitial Plight of the Asian American Subject
이용수 20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영미어문학회
- 저자명
- Kyeong Hwangbo
- 간행물 정보
- 『영미어문학』영미어문학 제92호, 203~22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Examining the immigration of ethnic minority subjects in the American context, this paper aims to critically intervene in the conservative, ideological management of immigration by the American nation-state, which repetitively evokes the reified "otherness" of immigrant minority subjects while surreptitiously using them to obtain its political leverage in maintaining and reinforcing the already established social order. Employing several key concepts, such as the "primal scene" of immigration and the "interstitial ethnic subject," this study analyzes and exposes the hidden, manipulative ideological base and orientation of American national discourse, which is predicated upon constant but ever untenable practices of policing "others within."
"The primal scene of immigration" in this paper refers to a fabricated historical myth and the discursively manipulated rhetoric about the "birth" of the Asian American minority subject in America. Drawn from Freud's notion of the primal scene and applied to the case of immigration, the term "primal scene" explicetes the psycho-political repercussion of immigration in general and its long-term effects on the descendants of Asian immigrants in particular. In the discourse of both the primal scene and immigration, there is the common recurrent focus on the alleged "origin." Thus, a careful analysis of the "interstitial" plight of Asian Americans who are repeatedly thrust back to the threshold of admittance to the U. S. nation sate highlights the need for a critical intervention in the trauma-inducing American discourse and politics about immigration, ethnicity, and nationality.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관련성 조건문의 조건단언과 고정함축
- 이미지의 정치성
- 「나 자신의 노래」에 나타난 휘트먼의 대화적 상상력
- Korean EFL Learners' Interlanguage Pragmatics Realized in Letters of Request
- 조셉 콘라드의 인상주의와 「청춘」
- 바이올라의 남장과 동성애적 욕망 :『십이야』
- 오스틴 소설에 나타난 대중 미학
- 예이츠의 시에 나타난 색채 이미지
- The Noun Phrase Accessibility Hierarchy and Second Language Acquisition : Corpus Analyses
- 비평 담론에서의 “낯설게하기”와 “이국화”
- 원고작성 및 편집양식 외
- 영어·IT와 관광·컨벤션영어의 융합교육과정 개발
- 『윈저의 즐거운 아내들』
- The “Primal Scene” of Immigration and the Interstitial Plight of the Asian American Subject
- 응구기의 『십자가의 악마』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NEW
- 영미문학교육 제29집 2호 목차
- 기능적 문해력을 넘어서: 2025 가을특집호 내러티브와 영문학/영어교육 서문
- 세 개의 수사로 바라본 구텐베르크의 은하계 - 맥루한의 실(복)낙원, 문해력 탐색과 구원의 신앙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