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폭력범죄대책과 전자감시
이용수 418
- 영문명
- Sexual Crime Prevention and Electronic Monitoring: A Study on the act of electronic device attachment for tracking location of specific crime offenders
- 발행기관
- 한국형사정책학회
- 저자명
- 정현미(Chong, Hyon Mi)
- 간행물 정보
- 『형사정책』刑事政策 第21卷 第1號, 321~34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6.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Korea, 'the act of electronic device attachment for tracking location of specific crime offenders' was enforced in September 2008. Sexual crime offenders who were given a suspended sentence or released on parole can be ordered to wear electronic ankle bracelets. Prosecutors can also demand electronic monitoring during court proceedings for those who have abused children aged 13 or younger or repeated sexual crimes. The judge can then order the sexual crime offenders to attach electronic device for up to 10 years after their release from prison and also decide the period of wearing the device attachment.
Electronic monitoring is generally carried out in each criminal procedure from pretrail detention up to parole. It plays a great role in surveillance of the offenders who have already been released from prison. In addition, it also reduce recidivism. Electronic device attachment for tracking location of specific crime offenders is yet introduced in a few countries including Korea, although electronic monitoring has been introduced in many countries.
Surveillance of sexual crime offenders with electronic device attachment has a problem with doublepunishment because they are controlled even after their sentence is up. Tracking them anytime and anywhere can be violation of human rights. It is also doubtful whether the system will prevent sexual crimes. It is important that correction of their sexual behaviour should be carried out together with the electronic monitoring. The Act should be reformed to work more effectively.
목차
Ⅰ. 서론
Ⅱ. 전자감시제도의 도입과정 및 각국의 활용현황
Ⅲ. 성폭력범죄자에 대한 위치추적전자장치부착 전자감시
Ⅳ. 성폭력범죄방지를 위한 형사정책의 방향
V. 결론 및 요약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전자정보의 획득 및 이용에 관한 형사법적 논의의 필요성과 그 방향
- 청소년비행 원인의 비교분석
- 인신보호법의 제정의미와 활용성
- 성폭력범죄대책과 전자감시
- 개정양벌규정에서의 기업의 형사책임
- 정치인에 대한 명예훼손죄
- 살인범죄피해자의 인권현실과 그 보장방안
- 수형자의 교도소 내 인간관계와 프로그램 참여
- 휴대전화 모바일비행의 원인으로서 비행자특성과 비행기회, 그 통합적 설명
- 불법원인 급여물의 횡령죄 성부
- 학회소식 외
- 청소년 범죄자에 대한 외출제한명령 효과성 연구
- 응급의료거부죄의 해석과 정책
- 범죄피해자의 자기방어행위의 효과
- 연령과 살인범의 양형편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