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Perception of ProspectㆍPresent Teachers on Multicultural Art Education and its Implications for Art Teacher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홍은미(Hong, Eun Me ) · 김선아(Kim, Sun Ah)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23券 1號, 149~17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4.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정치적·사회적·문화적 요구에 따라 부각되고 있는 다문화교육이 우리나라 학교 현장에 정착하도록 하기 위한 미술교과 교사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구 다문화주의에 기초한 다문화미술교육의 개념이 우리나라 미술교육에서 어떻게 논의되어 왔는지 살펴보고, 한국 사회의 변화와 요구를 반영할 수 있는 다문화미술교육을 위한 미술교사의 역할과 전문성에 대한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다문화교사교육의 실제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예비·현직 미술교사들의 인식도를 조사·분석하고, 미술교사 교육과정의 측면, 미술교사의 효능감과 이해도 측면, 목표수립 측면에서 다문화미술교사 양성을 위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다문화미술교육의 실천에 있어 현장과 이론이 연계된 접근이 필요하다는 인식 하에, 본 연구에서는 현장에서 다문화교육을 실행하는 교사들의 관점을 조사하여 보다 구체적인 교사교육 방향을 수립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다문화교사교육에 관한 담론을 활성화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new objectives of art teacher education so as to have multicultural education established in Korea in accordance with the recent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demands. To that end, this research examined in what way the concepts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based on multiculturalism of the West, have been applied in the Korean art education and discuss the importance of the role or professionalism of art teachers who can provide multi-cultural art education that reflects the changes and demand of the Korean society. Awareness of prospect and present art teachers were analyzed to provide practical measure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nd objectives for developing multi-cultural art teachers were provided in terms of the education course, efficacy and understanding of an art teacher, and goals to be established. Supposing that theories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should be linked to practice, this study reviewed the standpoint of teachers who provide multi-cultural education to prepare basic data for details of future education plans and promote discussion on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eacher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다문화미술교육에 대한 인식도 조사
Ⅳ. 다문화미술교사교육을 위한 제안
Ⅴ. 결 론
참고문헌
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미술교육학회 정관 외
- 미술교육에서의 심미적 인간 연구
- 다문화미술교육에 대한 예비ㆍ현직 교사의 인식과 교사교육의 방향
- 전문계 고등학교 인쇄매체 광고 컨셉트의 창의적 시각화를 위한 수업 연구
- ‘질적 탐구’로서의 미술비평
- 초등학생의 학년별 미술과 학업 성취도, 인식도 및 효능감의 관계분석 연구
- 환경미술교육의 방향과 내용 탐색
- 임상미술치료가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의 IQ 변화에 미치는 영향
- 문화적 의미 구성과 소통의 매체로서 어린이들의 먹 놀이
- 울산 반구대 암각화의 조형성과 디지털 프린팅을 통한 일상적 활용모델 연구
- 미술과 지역사회의 파트너쉽
- 놀이와 체험 중심의 통합적인 조기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아동 미술표현의 상징성과 의미에 대한 소고
- 커뮤니티 중심의 미술교육(Community-Based Art Education)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한국가구학회 2025년 추계학술대회 프로그램
- 기하학적 형태를 활용한 가구 디자인 연구 - 비대칭적 균형을 중심으로
- 서울시 수변공간 공공가구의 유형별 특성과 지속가능성 - 불광천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