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서유럽과 북미지역 중소기업의 고용창출 사례분석
이용수 126
- 영문명
- A Case Study Of SMEs Job Creation In Western Europe And North America Regions
- 발행기관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 저자명
- 정용균(Chung, Yong-Kyun)ㆍ김정원(Kim, Jung-Won)
- 간행물 정보
- 『인적자원관리연구』제16권 제1호, 201~21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3.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과거 30년동안 혁신에서의 우위는 대기업에서 중소기업으로 이동하였다. 왜냐하면 첫째, 신기술들의 출현으로 말미암아 대기업의 장점인 규모의 경제가 가져오는 이점이 감소되었기 때문이다. 둘째, 혁신속도가 빨라짐에 따라서 제품과 기술의 생명주기가 짧아짐에 따라서 사업 환경에 있어서 신규진입 소기업들에 유리해졌기 때문이다. 셋째, 세계경제에서의 불확실성증가로 인하여, 혁신적인 시장진입에 더 여지가 생겼기 때문이다. 이러한 변화들로 인하여 고용창출에 있어서 중소기업과 신생기업의 중요성은 증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서유럽지역과 북미지역에서의 중소기업의 고용창출 사례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첫째, 서유럽지역과 북미지역에서의 중소기업의 고용창출 기여도는 높았다. 둘째, 서유럽지역 신생기업의 경우, 지역개발과 연계한 고용창출 사례가 현저하였다. 셋째, 신생기업의 고용창출은 즉각적 효과보다는 장기적 효과가 더 현저하게 나타났다.
영문 초록
In the last 30years, the innovative advantage has moved from large established enterprises to small and new firms. The reasons are threefold. First, new technologies have reduced the importance of scale economies in many sectors. Second, as the product cycle of commodities is diminished, it is easy for SMEs to penetrate into the market. Third, an increasing degree of uncertainty in the world economy from the 1970's onwards has created room for innovative entry. This paper surveys the regional differences of effect of SMEs employment creation in Western Europe and North America. We obtained following conclusions. First, SMEs contribute to employment creation in most of regions. Second, new start-ups is an engine to regional development and job creation. Third, it takes a couple of years to have a substantial effect to employment growth through new start-ups.
목차
Ⅰ. 서 론
Ⅱ. 서유럽지역의 중소기업 고용창출
Ⅲ. 북미지역의 중소기업 고용창출
Ⅳ. 유럽지역 신생기업들의 고용창출
Ⅴ. 결론 및 정책적 함축성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e-Learning에 대한 만족 및 학업성과 분석
- 종업원 경영 참가제도에 관한 연구
- 서유럽과 북미지역 중소기업의 고용창출 사례분석
- 인사공정성과 조직문화 성향에 따른 노사협력관계 고찰
- 윤리적 리더십이 리더-부하간 교환관계 질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사단법인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정관 외
- 서번트 리더십,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 간의 관계에 관한 실증분석
- 여행업 종사원의 동기부여 및 영업역량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 고용불안이 구성원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
- 조직풍토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실증연구
- 회고적 기법을 활용한 집단개발단계의 측정
-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Discretionary Effort
- 은행권 임금피크제 도입의 구조적 배경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일류기업(Great Company Research) 제2권 제1호 목차
- 다함께 돌봄사업 홍보영상에 대한 브랜드 포지셔닝 연구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Brand Value: Korean Ginseng and Changbai Mountain Ginse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