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Large Scale Single Deletion of Mitochondrial DNA in Chronic Progressive External Ophthalmoplegia
- 발행기관
- 대한소아신경학회
- 저자명
- 고경남(Kyung Nam Koh) 박수현(Su Yeon Park) 황희(Hee Hwang) 채종희(Jong Hee Chae) 최지은(JI Eun Choi) 김기중(Ki Joong Kim) 황용승(Yong Seung Hwang)
- 간행물 정보
- 『Annals of Child Neurology(구 대한소아신경학회지)』대한소아신경학회지 제12권 제1호, 43~49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5.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Chronic progressive external ophtahlmoplegia(CPEO)는 미토콘드리아 근병증의 흔한 표현형 중 하나로, 미토콘드리아 DNA(mtDNA)의 단일 결실, 다발성 결실, 점 돌연변이, 핵 운전자 이상 등의 원인이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CPEO 환자에서 다기관 침범 여부와 mtDNA의 결실을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임상 소견에 근거하여 진단 받은 CPEO 환자 2명을 대상으로, 안과적 진찰과 신경학적 진찰을 시행하였다. 혈청 lactate와 갑상선 기능 검사를 시행하였고 근육 효소치를 측정하였으며, 근전도 검사, 근조직 검사, 심전도, 심초음과, 뇌 자기공명영상, 청력 검사를 시행하였다. 혈액과 근육에서 각각 mtDNA를 추출하여 PCR 증폭, RFLP assay, 직접 염기서열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소아기 때부터 시작된 진행성 외안근 마비 외에 갑상선 기능저하증, 저신장증, 감각신경성 난청소견을 보였던 첫 번째 환자는 근육과 혈액의 mtDNA에서 7.591 kb의 대규모 단일 결실이 확인 되었다. 진행성 외안근 마비 증상만을 보인 두 번째 환자는 근육 mtDNA에서 6.191 kb의 대규모 단일 결실이 확인되었다.
결론 : 저자들은 다양한 임상 양상을 보인 2명의 CPEO 환자에서 mtDNA의 단일 결실을 확인하였다. 진행성 외안근 마비가 있는 환자에 대해서는 미토콘드리아 질환의 감별을 위한 근조직 검사 및 분자 유전학적 진단과 함께 여러 기관 침범 여부에 대한 적절한 검사와 추적 관찰이 필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 Chronic progressive external ophtahlmoplegia(CPEO) is a common phenotype of mitochondrial myopathy. CPEO has wide clinical spectrum with variable severity and can be divided into 3 groups; Kearns-Sayre syndrome, ophthalmoplegia plus and isolated CPEO. Single large-scale deletion, multiple deletions, point mutation of muscle mitochondrial DNA(mtDNA) and nuclear gene defect are associated with CPEO. We reviewed two cases of CPEO associated with the gene defect of mtDNA.
Methods : mtDNA was extracted from muscle biopsy tissue and blood leukocytes. We carried out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assay and automated sequencing of the mtDNA.
Results : Case I presented with progressive external ophthalmoplegia, short stature, hypothyroidism and sensorineural hearing loss. A novel 7.6 kb-deletion was found in muscle and leukocyte mtDNA. Case 2 presented with isolated CPEO. A novel 6.2 kb-deletion was found in muscle mtDNA.
Conclusion : We detected novel single large-scale deletion of mtDNA in 2 cases of CPEO with various clinical manifestations in our population. We have to investigate multi-organ involvement with regular follow-up for patients who present with progressive ophthalmoplegia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열성경련 플러스에서 SCN1A-exon 9의 단일염기다형성
- Duchenne/Becker 근이영양증에서의 Dystrophin 유전자 분석
- Lennox-Gastaut 증후군으로 발현된 3-Methylcrotonyl-CoA Carboxylase 결핍증 1례
- Joubert 증후군 1례
- Rasmussen 증후군의 진단과 치료
- 도파 반응성 근육긴장이상, Segawa병 1례
- 열성 경련이 있던 환아에서 유발 원인 없는 발작
- Chronic Progressive External Ophthalmoplegia에서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결실
- 소아 언어장애의 원인에 대한 분석
- 열성경련 환아의 혈청과 뇌척수액의 Neuron-Specific Enolase 농도
- 난치성 소아 간질에서의 케톤생성 식이요법
- 급성 뇌염의 치료 전략과 신경학적인 예후 인자에 대한 연구
- 뇌실 주위 백질연화증의 신경학적 예후
- 수막 자극 증상이 있는 환아의 뇌척수액에서 β₂ Microglobulin의 농도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 수면시간이 청소년들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
- 미디어 노출이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 언어 발달 지연아에서 한국형 영유아 발달 검사와 취학 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 척도, 영유아 언어발달검사의 비교 분석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Annals of Child Neurology(구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33 no.3 Contents
- Ending the Diagnostic Odyssey: Making Whole-Exome/Genome Sequencing the First-Line Test for Global Developmental Delay
- A Rare Case of Epileptic Encephalopathy Caused by X-Linked ALG13 Gene Mutation in a 6-Year-Old Girl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