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BSC와 논리모델의 비교 연구
이용수 358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인사행정학회
- 저자명
- 서원석・ 박홍엽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사행정학회보』제5권 제2호, 89~130쪽, 전체 4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2.30
7,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참여정부가 들어서면서 역대 그 어느 정부에 비해 성과평가제도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어느 부처는 균형성과카드(Balanced Scorecard, BSC) 제도를 도입하는가 하면 어느 부처는 논리모델에 바탕을 둔 직무성과계약제를 채택하기도 하고 또 다른 일부 부처는 BSC와 직무성과계약제를 동시에 채택하고 있다. 정부조직을 보다 경쟁적이고 혁신적으로 만들기 위해 성과평가제도를 구축해야 한다는 점에는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는 반면 새로운 평가제도가 어떠한 방향으로 어떻게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한지에 대해서는 충분한 논의가 부족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조직의 사업관리 차원에서의 성과평가 방식으로 활발하게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균형성과카드(BSC)와 논리모델(logic model)을 검토한 후 두 모형의 현실적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해 외국(미국)과 우리나라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그 후 어느 기관에 어느 성과평가 모형이 적합한지를 파악하기 위해 검토기준을 5가지(평가초점, 성과지표, 적용대상, 적용원칙, 기관운영)로 나누어 두 모형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기관전체 차원의 평가가 중요하고 다양한 관점 사이의 ‘균형’이 중시되며, 공공성과 효율성이 동시에 추구될 경우에는 BSC가 적합하지만 프로그램 차원의 평가가 중요하고 ‘결과’가 중시되며, 공공성 확보가 주요 목표일 경우에는 논리모델에 바탕을 둔 평가제도가 적합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정부투자기관, 책임운영기관, 지방공사의 경우에는 BSC가 보다 적합하고, 중앙행정기관 및 지방자치단체의 경우에는 논리모델에 바탕을 둔 성과평가제도가 보다 적합함을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언
Ⅱ. 선행연구와 논의의 틀
Ⅲ. 사업관리 차원의 성과평가 방식으로서의 균형성과카드와 논리모델
Ⅳ. BSC와 논리모델의 비교 및 선택적 적용
V. 결 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경비지도사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기계경비시스템 효율적 활용 방안 연구 : 민간경비 분야 효율성 증대를 중심으로
- 산업기술 유출 의도의 심리적 예측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 TCI 기질과 합리적 선택 이론의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