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Joint Moment in the Intact Limb With Uni-Transfemoral Amputee During Level Walking
- 발행기관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 저자명
- 장윤희(Yun-hee Chang) 이완희(Wan-hee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제15권 제2호, 64~72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5.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in joint moment in the intact limb of uni-transferroral amputees and to identify the implications of knee osteoarthritis. As an experimental method, three-dimensional gait analysis was performed on 10 uni-transfemoral amputees and 10 healthy males. Kinematics and kinetics at the hip, knee, and ankle joint were calculated. As a statistical method, independent t-tests were conducted to perform a comparison between the transfemoral amputee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ternal knee adduction moment increased in the transfemoral amputee group (.22 Nm/kg)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group (.13 Nm/kg) at terminal stance (p=.008). External knee flexion moment also increased in the transfemoral amputee group (.24 Nm/kg) but this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External hip flexion moment increased in the transfemoral amputee group (1.35 Nm/kg)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group (.45 Nm/kg) at initial stance, and external hip extension moment decreased in the transfemoral amputee group (-.26 Nm/kg)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group (-.76 Nm/kg) at terminal stance. Although external ankle plantarflexion moment of the transfemoral amputee group increased, it was not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intact limb joint moment of the uni-transfemoral amputees during walking can be different from that of healthy subjects.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link between the increase of external knee adduction moment and the prevalence of knee osteoarthritis in uni-transferroral amputees. This result is expected to provide some objective data for rehabilitation programs related to knee osteoarthritis in transfemoral amputee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인용문헌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인용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편측 대퇴절단자의 보행 시 건측 하지 관절 모멘트 분석
- 계단 오르고 내리기시 엉덩관절 내회전이 무릎관절 폄근과 엉덩관절 벌림근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 팔 내리기 동작 시 시각적 바이오피드백 훈련이 전거근과 상부 승모근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 여성 만성 경통 환자에 대한 등척성 운동과 안정화 운동치료의 효과 비교
- 집중방식이 이중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손목보조기가 키보드 타이핑작업 시 상지근육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전문물리치로학회 투고규정 외
- WOMAC-VA3.0의 타당도 및 신뢰도 - 일부 슬관절 및 고관절 골관절염환자를 대상으로
- 수의적인 상ㆍ하지 움직임 동안의 체간의 선행적 자세조절 연구
- 노인의 낙상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평가하기 위한 ABC-BBS의 적용: 사전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 대학생의 소셜 미디어에 대한 과도한 이용과 중독이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중증정신질환자가 이용하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치매안심센터에 등록된 이용자에게 적용한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및 치매안심마을의 향후 연구 방향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Effect of maximum expiration with hip adductor contraction during bridge exercise on trunk muscle activity in healthy individual
- The Effects of Combined tDCS and Sling Exercise on Cervical Muscle Propertie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Explor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mart Insoles in Gait Parameter Measurement: A Cross-sectional Stud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