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1학년 영어교육에서 독립교과와 통합교과 수업의 효과 연구
이용수 483
-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s of independent and integrated English classes on 1st graders in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정렬(Kim Jeong-ryeol) 홍은영(Hong Eun-young)
- 간행물 정보
- 『초등영어교육』제14권 1호, 71~9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4.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set out to give independent English classes and integrated English classes and to search for effective ways of teaching English to 1st graders based on the results. For those purposes, 61 1st graders from two classes were made into a subject group. Teaching materials recommended by model schools of elementary English were used during the independent English classes. Also, for integrated English classes with Wise Life, the investigator developed materials for integrated classes of English and Wise Lif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lower graders. The result turned out that the 1st graders enjoyed both the independent and integrated English classes with a sense of curiosity the former generating a little more effects than the latter. For introducing new materials and reducing hours of English teaching, integrated English classes with other subjects will be an alternative to independent English classes. Those results have implications for the efforts to find and apply the most proper teaching methods through more diverse researches on English education for the lower grad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Ⅳ. 독립교과 영어수업과 통합교과 영어수업의 특징
Ⅴ. 연구 결과 및 논의
Ⅵ. 결론
참고문헌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Ⅳ. 독립교과 영어수업과 통합교과 영어수업의 특징
Ⅴ. 연구 결과 및 논의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의미망 활동과 스키마 사용이 어휘 습득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회칙 외
- 초등영어 교사양성 과정에 관한 연구
- 진정본과 단순본 형태의 아동용 영어 이야기책 비교연구
- 몰입식 초등영어교육에서 교정피드백과 업테이크의 상호관련성 연구
- 초등학교 1학년 영어교육에서 독립교과와 통합교과 수업의 효과 연구
- 초등 영어 교재의 명사 어휘 조사 분석
- 6학년 학생들의 영어 일견어휘 읽기능력 분석
- Diversity of English composition of 6th grade primary school students in Korea
- L1 peer support in L2 learning - A linguistic perspective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지원대상학생 및 장애 학생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
- 읽기장애 조기 진단을 위한 AI 기반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 연구
- 경계선급 지적 기능 고등학생의 진로 및 진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