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재용선계약상 선박임차인(나용선자)의 지위 - 대법원 2004. 10. 27 선고, 2004다7040 판결
이용수 126
- 영문명
- The Status of a Bareboat Charterer in the sub Charter Party
- 발행기관
- 한국해사법학회
- 저자명
- 염정호(Jeong-Ho Yeom)
- 간행물 정보
- 『해사법연구』海事法硏究 第20卷 第1號, 205~239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3.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중국의 급격한 성장으로 인한 물동량 증가로 해운산업은 놀랄만한 성장을 하였다. 우리나라 해운산업의 초기에, 해상운송은 주로 해운회사가 소유한 선박으로 화물을 운송하였으나, 최근에는 용선선박이 소유선박보다 규모가 더 크거나, 심지어 소유선박 없이 용선선박만으로 운항하는 해운회사도 등장하였다. 이런 현 해운시장에서 용선에 대한 법적분쟁이 증가하고 있어, 용선 및 재용선에 대한 법적 연구 및 검토를 하고자 한다.
재용선의 계약조건은, 대부분의 경우, 주용선계약에서 용선료 또는 운임을 제외하고 동일하거나 법적으로 크게 문제가 되지 않을 정도의 사소한 부분만이 수정된다. 따라서, 용선자는 선박소유자에게 지급할 용선료 또는 운임과 자기가 재용선계약에 의하여 취득할 용선료 또는 운임과의 차액의 이득 또는 손해에만 이해관계를 가지게 된다. 최근에는 용선시장에 운임선도거래(freight forward agreement)가 성행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용선료 또는 운임의 차액에 대한 거래인 재용선계약이 더욱 빈번하게 체결되고 있다.
선박소유자가 소유한 선박이 용선된 후에 용선자가 본 선박을 재용선하여 운송 중 화물이 손상되었거나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 피해자는 선박소유자와 용선자 중 누구에게 손해배상청구를 할 것이냐의 문제가 발생한다. 본 사건에서는 선박이 나용선과 항해용선의 형태로 여러번 순차적으로 재용선되었는데, 운송 중 발생한 화물의 손상에 대하여 선박소유자, 나용선자 및 항해용선자 중 어느 운송인이 운송 중 발생한 화물의 손상에 대하여 책임이 있는가에 대하여 검토한다.
본 연구는 본 판례의 검토ㆍ분석을 바탕으로 재용선계약에서 분쟁이 발생하였을 때, 해운업계 실무자가 법률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교육적인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를 둘 수 있다.
재용선의 계약조건은, 대부분의 경우, 주용선계약에서 용선료 또는 운임을 제외하고 동일하거나 법적으로 크게 문제가 되지 않을 정도의 사소한 부분만이 수정된다. 따라서, 용선자는 선박소유자에게 지급할 용선료 또는 운임과 자기가 재용선계약에 의하여 취득할 용선료 또는 운임과의 차액의 이득 또는 손해에만 이해관계를 가지게 된다. 최근에는 용선시장에 운임선도거래(freight forward agreement)가 성행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용선료 또는 운임의 차액에 대한 거래인 재용선계약이 더욱 빈번하게 체결되고 있다.
선박소유자가 소유한 선박이 용선된 후에 용선자가 본 선박을 재용선하여 운송 중 화물이 손상되었거나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 피해자는 선박소유자와 용선자 중 누구에게 손해배상청구를 할 것이냐의 문제가 발생한다. 본 사건에서는 선박이 나용선과 항해용선의 형태로 여러번 순차적으로 재용선되었는데, 운송 중 발생한 화물의 손상에 대하여 선박소유자, 나용선자 및 항해용선자 중 어느 운송인이 운송 중 발생한 화물의 손상에 대하여 책임이 있는가에 대하여 검토한다.
본 연구는 본 판례의 검토ㆍ분석을 바탕으로 재용선계약에서 분쟁이 발생하였을 때, 해운업계 실무자가 법률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교육적인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를 둘 수 있다.
영문 초록
Recently, there have been noticeable developments in the shipping industry due to the rapid growth in volumes of cargoes by the sudden growth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There is a growing tendency for the disputes on the charter party in subletting the vessel to be on the increase with the expansion of the chartering activity.
The terms and conditions of sub charter party is, in most cases, the same or with minor alterations except hire or freight as head charter party to the extent to be no problem legally. Accordingly, the Charterers have an interest only in the difference of profit or loss between head charter party and sub charter party. Nowadays, sub charter parties, contracts concerning the difference of profit or loss, have been made more frequently, especially because FFA (freight forward agreement) is more prevalent than ever.
It is not so easy to decide the responsible party between the shipowners and the charterers in case the damage to the cargo or the accident happens during the transportation. This study is focused to analyze on the responsible party among shipowners, bareboat charterers and voyage charterers over the damage to the cargo occurred during the transportation in case the vessel is sublet several times.
This study may be considered as significant in that by reviewing and analyzing this judicial case, it will contribute to provide the materials for people in shipping business for their educational purpose.
The terms and conditions of sub charter party is, in most cases, the same or with minor alterations except hire or freight as head charter party to the extent to be no problem legally. Accordingly, the Charterers have an interest only in the difference of profit or loss between head charter party and sub charter party. Nowadays, sub charter parties, contracts concerning the difference of profit or loss, have been made more frequently, especially because FFA (freight forward agreement) is more prevalent than ever.
It is not so easy to decide the responsible party between the shipowners and the charterers in case the damage to the cargo or the accident happens during the transportation. This study is focused to analyze on the responsible party among shipowners, bareboat charterers and voyage charterers over the damage to the cargo occurred during the transportation in case the vessel is sublet several times.
This study may be considered as significant in that by reviewing and analyzing this judicial case, it will contribute to provide the materials for people in shipping business for their educational purpose.
목차
국문초록
Abstract
Ⅰ. 들어가며
Ⅱ. 사건의 개요
Ⅲ. 판결요지
Ⅳ. 판례평석
Ⅴ. 맺는말
참고문헌
Abstract
Ⅰ. 들어가며
Ⅱ. 사건의 개요
Ⅲ. 판결요지
Ⅳ. 판례평석
Ⅴ. 맺는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방관공선재해복구공제규정에 관한 고찰
- 해양오염규제에 관한 국가관할권의 고찰
- 일본 선원 재해보상제도
- 해상화물운송장에 대한 개정상법 규정의 재검토
- WCPFC의 자원 보존관리조치 이행제도에 관한 연구
- 공해생물자원 관리규범으로서의 생태계기반 관리
- 광역 VTS 도입을 위한 입법론적 연구
- 항해용선계약상 해제기일 전의 정박기간 개시의 효과에 관한 고찰 - Front Commander호 사건에 대한 판례 평석
- 이행보조자의 과실에 대한 운송인의 불감항책임
- 연안국 해양안보관할권에 관한 국제법적 고찰
- 발간사
- 한국해사법학회 회칙 외
- 船員勤勞契約의 特定承繼規定에 관한 一考察
- 海上橋梁 建設의 法的問題에 대한 小考
- Basic Principles of China’s Maritime Administrative Law
- 재용선계약상 선박임차인(나용선자)의 지위 - 대법원 2004. 10. 27 선고, 2004다7040 판결
- 國際海事協約의 持續的 强化의 問題點과 그 解決 必要性에 관한 硏究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