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Current Status and the Direction for Development of the Health Interview Survey
- 발행기관
- 한국역학회
- 저자명
- 강은정(Eunjeong Kang) 김명희(Myoung-Hee Kim) 이연경(Yeon-Kyeng Lee) 최보율(Bo Youl Choi)
- 간행물 정보
- 『한국역학회지』韓國疫學會誌 第29卷 第2號, 103~110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Health Interview Survey in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s a major source for planning and evaluating the national health promotion policy. The aim of the study is to find the areas for improvement of the current Health Interview Survey in light of its stated purpose and to propose possible means for the improvement. In terms of the survey content, there were several areas that needed improvement: the lack of comparability across the waves, the limit of the number of questions due to the Nutrition Survey and the Examination Survey, non-availability of seasonal statistics, and the dearth of evidence on socioeconomic position variables. To make improvements in the survey content, there is a need to clarify the purpose of the HIS in the KNANES. Second, more items need to be developed to produce the indicators of the Health Plan 2010. Third, core questions and elective questions should be defined. Fourth, multi-level socioeconomic position indicators need to be developed. In terms of the survey methods, the difficulty of managing interviewers and the inefficiency of data input and processing were found to be the areas for improvement. Possible solutions include a survey through the year and the introduction of the CAPI system. In addition, we suggest that a two-year survey period to better synchronize with the local health interview surveys which should be the major data source for the community health promotion plan.
목차
서론
건강면접조사의 문제점
건강조사의 개선 방향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건강면접조사의 문제점
건강조사의 개선 방향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상대생존율 분석을 위한 통계프로그램 - 암등록자료를 활용한 Stata software 프로그램 예
- 법정전염병의 신고현황 및 관련 특성
- 한국인의 혈청 아디포넥틴과 당뇨병 진단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 건강면접조사의 현황과 발전 방향
- 지역거주 노인 심뇌혈관질환 발병위험 예측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국내 의학 학술지의 대장암 관련 연구 분석 - 1967년부터 2004년까지
- 영양조사의 현황과 발전 방향
- 일개 대학병원에서 손상의 특성에 관한 연구
- 한국역학회지 투고규정
- 병원 외부에서 발생한 심폐정지 소아의 역학에 관한 전향적 연구
- 건강검진조사의 현황과 발전방향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계획
- 혈청 아디포넥틴 측정 키트(AdipoMark)의 개발과 심혈관질환 위험요인과의 관련성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면역학분야 BEST
- 간호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 간호정보역량, 정보윤리 의식이 환자 개인정보 보호 인식에 미치는 영향
- 혼종모형을 이용한 요양병원 간호사의 치료적 말벗간호에 대한 개념분석
- 간호·보건계열 대학생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환자안전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의약학 > 면역학분야 NEW
- Association between psychosocial safety climate and depression risk among Korean workers
- Authors’ Reply: Safety of combination therapy of azilsartan medoxomil and amlodipine: a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 Letter to the Editor: Safety of combination therapy of azilsartan medoxomil and amlodipine: a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