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Top Executives" Personality and Conflict Handling Modes: MBTI and TKI
- 발행기관
- 한국인사관리학회
- 저자명
- 김범성(Beom-Seong Kim)
- 간행물 정보
- 『조직과 인사관리연구』인사관리연구 제31집 2권, 29~5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한국 경영자의 성격(MBTI)과 갈등관리기법(TKI)의 관계에 관한 실증조사이다. 42개 대기업에 속한 265명의 경영자를 대상으로 실증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경영자의 성격유형중 지향차원(E-I)은 협동기법 및 통합차원과는 정적인 관계가 나타났고 회피기법과는 부적인 관계가 나타났다. 2) 대응차원(J-P)은 통합차원과는 정적인 관계가 나타났고 회피기법과는 부적인 관계가 나타났다. 3) 경영자의 행동유형을 구성하는 지향차원(E-I)과 대응차원(J-P)간에 상호작용효과가 존재하여 설득자형(EJ)의 협동기법과 통합차원의 수준을 점감시키고 회피기법수준을 점증시켰다. 4) 경영자의 의사결정유형을 구성하는 지각차원(S-N)과 결정차원(T-F)는 가설과는 달리 갈등관리기법과 의미있는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의 의의와 연구의 한계를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test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ersonality(MBTI) and the conflict handling modes(TKI) of Korean executives in large firms. The analysis bas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265 executives in 42 large firms. The results are as followes.
First, The orientation dimension(E-I) has positive relationships with collaboration mode and integrating dimension, but negative relationships with avoiding mode. Second, The approach dimension(J-P) has positive relationships with integrating dimension, but negative relationships with avoiding mode. Third, there is interaction effect between orientation dimension(E-I) and approach dimension(J-P). Thus persuader type(EJ) decrease the level of collaboration mode and integrating dimension, but also increase the level of avoiding mode. Forth, there are no significant results between the two personality dimensions - perception(S-N) and decision making(T-F) - and 5 conflict handling modes. Lastly, the implications of this analysis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then discussed.
First, The orientation dimension(E-I) has positive relationships with collaboration mode and integrating dimension, but negative relationships with avoiding mode. Second, The approach dimension(J-P) has positive relationships with integrating dimension, but negative relationships with avoiding mode. Third, there is interaction effect between orientation dimension(E-I) and approach dimension(J-P). Thus persuader type(EJ) decrease the level of collaboration mode and integrating dimension, but also increase the level of avoiding mode. Forth, there are no significant results between the two personality dimensions - perception(S-N) and decision making(T-F) - and 5 conflict handling modes. Lastly, the implications of this analysis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then discussed.
목차
〈요약〉
Ⅰ. 연구의 배경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및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Ⅰ. 연구의 배경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및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글로벌경영학회지 제22권 제4호 목차
- 해외 파견 관리자의 통합적 국제 적응 모델 제시: 문헌의 다각적 비교 분석을 통한 변수 업데이트
- 항공사 사고 인식이 소비자 회피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거리의 매개효과와 연령에 따른 차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