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Procedure of the Revision of “act on control over fund-raising” and its Implications
- 발행기관
- 한국비영리학회
- 저자명
- 하승수(Seung-Soo Ha)
- 간행물 정보
- 『한국비영리연구』제5권 제2호, 25~5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0.0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국의 국회는 2006년 3월 기부금품모집규제법을 개정하는 내용의 법률안을 통과시켰다. 이 논문은 기부금품모집규제법 개정의 경과를 분석함으로써, 법개정이 가지는 함의를 도출해 내고자 한다.
과거 한국의 모금 관련 법률들은 정부에 의한 과도한 규제와 간섭을 허용해 왔다. 원칙적으로 정부의 사전허가 없이는 모금을 할 수 없도록 되어 있었다. 그리고 모금에 사용할 수 있는 모집비용의 상한선도 2%라는 비현실적인 기준으로 설정되어 있었다.
이에 한국의 시민사회는 기부금품모집규제법의 폐지 또는 근본적인 개정을 요구해 왔다. 그 결과 6개의 법개정안이 17대 국회에 제출되었다. 그중 한개의 법개정안은 정부가 제출한 것이었고, 나머지 5개는 국회의원들에 의해 발의된 것이었다.
2006년 3월에 최종적으로 국회를 통과한 법률안은 정부가 제안한 법개정안을 기초로 해서 약간의 내용수정과 문구수정을 거친 것이었다. 통과된 개정 법률의 핵심은 모금에 있어서 사전등록을 거치게 하는 등록주의를 도입하고, 모금과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집비용의 상한선을 2%에서 15%로 상향시키는 것이었다. 그리고 공인회계사의 감사를 거치게 하는등 사후감독을 강화하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일련의 개선조치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 모금에 대한 규제는 여전히 지나치게 과도하다. 정부가 모집비용의 상한선을 규제하는 것 자체가 부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등록주의의 도입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민간의 모금활동에 간섭할 개연성이 여전히 존재한다. 기부문화를 성숙시키기 위해 한국의 모금관련 법률들은 앞으로도 더 많은 개선이 필요하다.
과거 한국의 모금 관련 법률들은 정부에 의한 과도한 규제와 간섭을 허용해 왔다. 원칙적으로 정부의 사전허가 없이는 모금을 할 수 없도록 되어 있었다. 그리고 모금에 사용할 수 있는 모집비용의 상한선도 2%라는 비현실적인 기준으로 설정되어 있었다.
이에 한국의 시민사회는 기부금품모집규제법의 폐지 또는 근본적인 개정을 요구해 왔다. 그 결과 6개의 법개정안이 17대 국회에 제출되었다. 그중 한개의 법개정안은 정부가 제출한 것이었고, 나머지 5개는 국회의원들에 의해 발의된 것이었다.
2006년 3월에 최종적으로 국회를 통과한 법률안은 정부가 제안한 법개정안을 기초로 해서 약간의 내용수정과 문구수정을 거친 것이었다. 통과된 개정 법률의 핵심은 모금에 있어서 사전등록을 거치게 하는 등록주의를 도입하고, 모금과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집비용의 상한선을 2%에서 15%로 상향시키는 것이었다. 그리고 공인회계사의 감사를 거치게 하는등 사후감독을 강화하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일련의 개선조치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 모금에 대한 규제는 여전히 지나치게 과도하다. 정부가 모집비용의 상한선을 규제하는 것 자체가 부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등록주의의 도입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민간의 모금활동에 간섭할 개연성이 여전히 존재한다. 기부문화를 성숙시키기 위해 한국의 모금관련 법률들은 앞으로도 더 많은 개선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National Assembly of the Republic of Korea carried a bill of revising “act on control over fund-raising” in March 2006.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procedure of the revision and draw its implications.
Korean legislations on fund-raising had been characterized as allowing excessive control and interference by the government. In principle “act on control over fund-raising” had prohibited fund-raising activities without prior permission of the government. and the act had limited maximum percentage of available fund-raising costs to 2% of the amount of subscriptions to be raised.
Korean civil society had demanded the abolition or the fundamental revision of ‘act on control over fund-raising’. as a result, six legislative bills were presented to The 17th National Assembly. a proposer of one bill was the government, proposers of the others were the lawmakers.
Finally the bill proposed by the government was passed through modifying the wording in March 2006. The cores of the passed bill are the introduction of ‘Principle of Registration’ for fund-raising and raising maximum percentage of available fund-raising costs from 2% to 15%of the amount of subscriptions to be raised.
Despite such improvements, the controls on fund-raising are still excessive. government regulations on fund-raising costs are inadequate in itself. In spite of introduction of ‘Principle of Registration’, There is a probability that government will interfere fund-raising activities. donation-related legislations of Korea demand more improvements to promote philanthropic culture.
Korean legislations on fund-raising had been characterized as allowing excessive control and interference by the government. In principle “act on control over fund-raising” had prohibited fund-raising activities without prior permission of the government. and the act had limited maximum percentage of available fund-raising costs to 2% of the amount of subscriptions to be raised.
Korean civil society had demanded the abolition or the fundamental revision of ‘act on control over fund-raising’. as a result, six legislative bills were presented to The 17th National Assembly. a proposer of one bill was the government, proposers of the others were the lawmakers.
Finally the bill proposed by the government was passed through modifying the wording in March 2006. The cores of the passed bill are the introduction of ‘Principle of Registration’ for fund-raising and raising maximum percentage of available fund-raising costs from 2% to 15%of the amount of subscriptions to be raised.
Despite such improvements, the controls on fund-raising are still excessive. government regulations on fund-raising costs are inadequate in itself. In spite of introduction of ‘Principle of Registration’, There is a probability that government will interfere fund-raising activities. donation-related legislations of Korea demand more improvements to promote philanthropic culture.
목차
[글의 요약]
Ⅰ. 문제제기
Ⅱ. 연구방법
Ⅲ. 기존 기부금품모집규제법의 문제점
Ⅳ. 개정에 이르기까지의 경과와 쟁점
Ⅴ. 기부금품모집규제법 개정의 법제도적 함의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Ⅰ. 문제제기
Ⅱ. 연구방법
Ⅲ. 기존 기부금품모집규제법의 문제점
Ⅳ. 개정에 이르기까지의 경과와 쟁점
Ⅴ. 기부금품모집규제법 개정의 법제도적 함의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제3부문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현황 - 사회복지 적용을 위한 탐색
- 『한국비영리연구』원고작성 및 투고요령
- 언론 보도에 나타난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에서의 아동, 청소년 지원 동향 분석
- 지방분권: 기능적 효율성과 조정 메카니즘
-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생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사회복지시설의 신뢰와 몰입이 기부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직접민주주의에서의 시민사회단체와 이익집단 - 캘리포니아 주민발안 투표 사례
- 기부금품모집규제법 개정의 경과와 법제도적 함의
- 비정규직 여성 노동자의 실태와 사회정책적 시사점 - 충북 지역의 경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학분야 BEST
- 간호대학생의 정신질환과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 - 정신간호실습 전ㆍ후 비교
- 보건·의료계열 종사자의 정신적 웰빙을 저해하는 산업안전 유해요인 분석 - 의사, 간호사, 의료기사를 중심으로
-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급여 수급자의 시설/병원 이행의향 영향 요인
사회과학 > 사회학분야 NEW
- 청소년 참여이론의 발전과 한국에의 적용 가능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학교폭력문제에 대한 법적·정책적 개선방안 연구
- 가구소득 격차가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 삶의 만족도, 협동심에 미치는 차별적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