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ocial Process of Natural Disaster - Focusing on the Disaster of Hurricane Katrina -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 저자명
- 이현송(Hyun Song Lee)
- 간행물 정보
- 『영미연구』제15집, 153~17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2.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natural disasters are a result of the interaction of nature and society, particularly emphasizing the social processes lurking behind the risk of floods. The disadvantaged cannot but be marginalized to the periphery of insecurity, and their interests are ignored where they are the recipients of social investment for coping with possible natural disasters. To the disadvantaged, the risk of natural disaster is received in comparison to other risks they are exposed to in their lives, such as poverty, unemployment, illness, accident etc. They choose to live in an unsafe area because other kinds of risk is much greater to them when they live in other places.
The majority of refugees from Hurricane Katrina were African-Americans, because they are the marginalized class in the American society. They were deprived of any opportunity to live in a safe area. In the Hurricane Katrina, I could find that class is much important factor to determine the life chances of the disadvantaged than race.
                    The majority of refugees from Hurricane Katrina were African-Americans, because they are the marginalized class in the American society. They were deprived of any opportunity to live in a safe area. In the Hurricane Katrina, I could find that class is much important factor to determine the life chances of the disadvantaged than race.
목차
Ⅰ. 자연 재해의 사회 과정
Ⅱ. 재해 위험의 사회적 대응 방식
Ⅲ. 개발도상국의 자연 재해와 빈곤
Ⅳ. 허리케인 카트리나 수해 사례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Ⅱ. 재해 위험의 사회적 대응 방식
Ⅲ. 개발도상국의 자연 재해와 빈곤
Ⅳ. 허리케인 카트리나 수해 사례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발간사
- 『매장된 아이』에 나타난 가부장권의 침탈과정과 마비의 양상
- 『서곡』에 함축된 부재의 의미
- 남성과 여성의 의사소통방식 - 레이코프(Lakoff)의 재조명
- 루이스 어드리크의 『침묵 게임』에 함축된 침묵의 의미
- 소설 되짚어 읽기의 묘미 - 존 스타인벡의 『에덴의 동쪽』과 영화
- 솔 벨로우의 『학생처장의 12월』 - 민족 정체성과 의사소통의 문제
- 논문 기고자 소개
- 스펜서와 시드니의 작품에 나타난 엘리자베스 여왕의 통치와 그 문학적 재현
- 자연 재해의 사회적 과정 - 미국의 허리케인 카트리나 수해 사례를 중심으로
- 『영미연구』 논문 작성 및 기고 안내 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NEW
- 영미문학교육 제29집 2호 목차
- 기능적 문해력을 넘어서: 2025 가을특집호 내러티브와 영문학/영어교육 서문
- 세 개의 수사로 바라본 구텐베르크의 은하계 - 맥루한의 실(복)낙원, 문해력 탐색과 구원의 신앙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