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eaching Poetry to Undergraduate English Education Majors: The Role of Learner Characteristics in Presenting Poetry
- 발행기관
- 한국영미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남다윤(Da Yun Nam)
- 간행물 정보
- 『영미문학교육』영미문학교육 제10집 1호, 111~13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6.0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the Korean secondary education system, poetry is almost wholly neglected. The reason for this neglect is partly because English language specialists and English educational material developers are not literature teachers, partly because presenting poetry is not thought to be as easy as presenting other texts, and partly because theory-oriented treatment of poems have isolated students from having fun with poetry. This paper is a practical report on how poetry classes can be enjoyable for those encountering English poetry for the first time. The first encounter students are undergraduates majoring in English Education, who reveal a psychological tendency to avoid literature courses with heavier reading loads and who, as part of the so-called "visual generation", are highly perceptive to understanding visual images. The aim of the present paper is to suggest a model of teaching poetry to students who have the above characteristics and to give some insights into teaching poetry effectively at the secondary school level. For this aim, the paper first describes a learner-centered approach employed in an Introduction to English Literature course, explaining some principles for structuring poetry classes in order to induce learners" affective experience to poems. The six-week poetry unit introduces students to the key elements of poetry appreciation while emphasizing reading of and response to poetry. The paper then outlines some procedures for encouraging the discussion of poetry using visual or audio materials; the account is supported with three examples of poems. In addition, one student"s experiential report on presenting poetry in the secondary school classroom and some samples of student feedback are presented in order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teaching methods used by the author.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교과 및 수업 구성
Ⅲ. 영시 수업 사례
Ⅳ. 나가는 말
인용문헌
Abstract
Ⅱ. 교과 및 수업 구성
Ⅲ. 영시 수업 사례
Ⅳ. 나가는 말
인용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연 중심의 셰익스피어 극 교육론 - 쟁점과 대안
- ‘이론 이후’의 문학에 어떤 희망이 가능한가?
- Dynamics of Foucault"s Subjectivity - The Enlightenment and His Ethos
- 현대희곡과 소수적 감성 - 커리큘럼의 현황과 문제점, 작품선택의 정치학
- 영어교육전공 대학생을 위한 영시 수업 - 학습자 특성을 고려한 시 제시
- 10-1호 필자 정보 및 게재논문 심사 경과 외
- 대학의 ‘그리스 항아리’
- 공연 교수법을 통한 영미드라마 가르치기
- A Whole New Marriage of Mind and Matter - D. H. Lawrence and Modernism
- 『제철공장에서의 삶』 - 중산계급 여성 화자의 역할
- 영문학 교육의 새 방향―문화교육
- 『햄릿』 교수법, Approaches to Teaching Shakespeare"s Hamlet. Edited by Bernice W. Kliman. New York: Modern Language Association of America, 2002. Pp. xiv + 291.
- 문화연구로 영미드라마 가르치기 - 텍스트/공연, 고급/대중예술의 이분법을 넘어서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NEW
- AI 기반 언어 학습에서 개인차가 긍정적 정의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동기적 자아 체계, 그릿, 즐거움을 중심으로
- 생성형 AI를 활용한 영어 콘텐츠 개발 아이디어톤 설계 및 실행연구: 퀘스트 기반 학습을 중심으로
- Language Style Awareness Through Film Dialogue: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EFL Learner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