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f Graduate Curriculum in the Radiological Science : Problems and Suggestions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 저자명
- 고성진(Seong-Jin Ko) 김화곤(Hwa-Gon Kim) 강세식(Se-Sik Kang) 박병래(Byeong-Rae Park) 김창수(Chang-Soo Kim)
- 간행물 정보
- 『방사선기술과학』방사선기술과학 제29권 제4호, 293~301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2.0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의 의료방사선과학기술은 관련 환경의 발달로 의료산업과 융합하여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학부와 대학원에서 방사선학교육과정이 개설됨에 따라 다른 학문 영역의 빠른 변화에 부응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 방사선학전공 분야의 대학원은 개설이 일천하여 교육 체계는 이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방사선과학의 교육과정은 기술과 학문으로서 인격 및 지식교육 그리고 보건의료전문인력으로서 기술?직업교육의 양대 큰 줄기를 병행하여 발전해야 한다는 명제로 볼 때 현 교육 환경과 임상이나 관련 산업에 적응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특히 의료 환경의 변화와 이에 따른 교육과 연구가 다양화, 전문화, 세분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방사선학 전공분야의 대학원 교육과정 개선과 바람직한 방향제시가 절실히 필요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시대적, 사회적 요구에 부합하고 자질과 위상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미국에서 현재 운영되고 있는 석사 및 박사과정의 대학원 교육과정을 분석하며, 현재 국내에서 개설?운용하고 있는 방사선학과 대학원 교육과정의 현황을 고찰하였고, 이를 기초자료로 하여 새로운 교육과정을 도입하기 위한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Currently, Educational program of radiological science is developed in enormous growth, our educational environments leading allied health science education program in the number of super high speed medical industry. Radiological science may be the fastest growing technologies in our medical department today. In this way, Medical industry fields converged in the daily quick, the fact that department of radiological science didn"t discharged ones duties on current educational environments. The curriculum of radiological technologists that play an important part between skill and occupation"s education as major and personality didn"t performed one"s part most effectively on current medical environments and digital radiological equipments interface. We expect improvement and suggestion to grow natural disposition as studies in the graduate of radiological science.
Therefore, in this paper, current curriculum of radiological science are catched hold of trend and problems on digital radiology environments, on fact the present state of problems, for Graduate program of radiological science, graduate courses of MS and Ph.D. are suggested a reform measure of major education curriculum introduction.
Therefore, in this paper, current curriculum of radiological science are catched hold of trend and problems on digital radiology environments, on fact the present state of problems, for Graduate program of radiological science, graduate courses of MS and Ph.D. are suggested a reform measure of major education curriculum introduction.
목차
― 국문초록 ―
Ⅰ. 서론
Ⅱ. 미국 방사선학의 대학원 과정
Ⅲ. 국내 방사선학과의 대학원 과정 현황
Ⅳ. 방사선학과의 대학원 교육과정 제안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Ⅰ. 서론
Ⅱ. 미국 방사선학의 대학원 과정
Ⅲ. 국내 방사선학과의 대학원 과정 현황
Ⅳ. 방사선학과의 대학원 교육과정 제안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방사선기술과학” 제30권 제1호 원고모집 외
- 폐암과 폐 염증성질환의 동적양전자방출단층검사(Dynamic 18F-FDG PET)의 유용성
- 대학 방사선학과 학생들의 임상실습에 대한 만족도 현황과 발전방향
- Regius 150 Computed Radiography 시스템의 Noise 평가에 관한 연구
- 전신 PET/CT 검사에서 공간선량률 측정
- 이중 에너지 X선 흡수 계측법을 이용한 BMD 검사 시 발생할 수 있는 기술적인 오류 분석
- 위하수와 비만도의 비교 분석
- 방사선조사와 병행 처리한 녹차 EGCG의 혈구암세포 사멸촉진 효과
- 방사선학과의 대학원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 담낭결석 초음파검사에서 Hand-Knee position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 ACR 팬텀을 이용한 시스템별 유방검사 영상의 비교 연구
- 후족부 관상면 배열 영상에 대한 고안
- 방사선 조사선량에 따른 생쥐 난소의 조직화학적 변화
- 흉부촬영의 마술사 林太郞선생을 그리워 하며
- 대한방사선기술학회 정관 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호주 방사선 의료 전문가 면허제도 및 교육과정 고찰: 진단방사선사를 중심으로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소아 복부 CT의 신체 크기 특이적 선량 추정치 평가
-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제27권 제2호 목차
- 소아 CT 데이터의 효과적인 잡음 제거: 성인 CT 데이터 기반 미세조정 기법의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