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he Burnt Stone Tools on Iim Jin River Terrace
이용수 47
- 영문명
- The Burnt Stone Tools on Iim Jin River Terrace
- 발행기관
- 한국고대학회
- 저자명
- Choi Mou-Chang
- 간행물 정보
- 『선사와 고대』선사와 고대 제24집, 53~92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6.01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천군 중면 삼곶리 임진 강변에서 70점의 석기를 채집하였다. 이 글에서는 70점 석기 중 자연석영석제 32점과 불탄 석재 35점을 소개한다.
불탄 석재석기 35점은 임진강변에서 발견된 최초의 지표채집이다. 이 석기의 성격은 대장석 편석기(flake-blade tool)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또한 이 석기 중 간접타법과 르발르와 기술(levallois technique)에 의한 석핵5점과 르발르와 석편(flake) 4점은 중기 구석기시대의 전통을 이어내려온 것이다. 필자가 발굴한 원당리 6차 조사의 성과에 의하면, 이번에 확인된 불탄석기는 후기 구석기시대에 속한다.
종합하면, 원당리 6차 발굴결과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상에서 하로)
1) 지표, 불탄석기
2) 석편석기(flake-tool), 중기 구석기시대
3) steril
4) 강자갈 석기(chopper core), 전기구석기시대
불탄 석재석기 35점은 임진강변에서 발견된 최초의 지표채집이다. 이 석기의 성격은 대장석 편석기(flake-blade tool)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또한 이 석기 중 간접타법과 르발르와 기술(levallois technique)에 의한 석핵5점과 르발르와 석편(flake) 4점은 중기 구석기시대의 전통을 이어내려온 것이다. 필자가 발굴한 원당리 6차 조사의 성과에 의하면, 이번에 확인된 불탄석기는 후기 구석기시대에 속한다.
종합하면, 원당리 6차 발굴결과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상에서 하로)
1) 지표, 불탄석기
2) 석편석기(flake-tool), 중기 구석기시대
3) steril
4) 강자갈 석기(chopper core), 전기구석기시대
영문 초록
The great interest of stone industries at Sam got ri of the leptolithic and mousterian(middle paleolithic) tradition. the industry is basically middle paleolithic with tortoise cores and blade, scrapers and burins. That is based on flake-blades by levallois technique.
The industry is of middle paleolithic type with concentration on flake-blade production from prepared core. This is based on the production of 6 flake-blades tools are more 16 cm of long by levallois technique.
Tortois core(5 cores of burnt stone) from which on blade-like flake has been struck. The long and large flake-blade struck from tortoise core, retouched all around by bar-hammer flaking. The flake, with their wide faceted striking platform are distinctive.
These collection of the burnt stone tools is considered could be of upper paleolithc period.
According to these collections of the tool made from the burnt stone with levallois technique, I can establish the sequence of the typology and stratigraphy in .Im Jin River valley as follow (for example. 4 layers of Wondangli site);
1 layer) surface, with burnt stone tools, upper paleolithic
2 layer) cultural layer, flake tool, middle paleolithic
3 layer) sterile
4 layer) chopper cores, lower paleolthic
The industry is of middle paleolithic type with concentration on flake-blade production from prepared core. This is based on the production of 6 flake-blades tools are more 16 cm of long by levallois technique.
Tortois core(5 cores of burnt stone) from which on blade-like flake has been struck. The long and large flake-blade struck from tortoise core, retouched all around by bar-hammer flaking. The flake, with their wide faceted striking platform are distinctive.
These collection of the burnt stone tools is considered could be of upper paleolithc period.
According to these collections of the tool made from the burnt stone with levallois technique, I can establish the sequence of the typology and stratigraphy in .Im Jin River valley as follow (for example. 4 layers of Wondangli site);
1 layer) surface, with burnt stone tools, upper paleolithic
2 layer) cultural layer, flake tool, middle paleolithic
3 layer) sterile
4 layer) chopper cores, lower paleolthic
목차
【Abstract】
Ⅰ. Preface
Ⅱ. Natural Stone Tools
Ⅲ. Burnt Quartzite Stone Tool
Ⅳ. Conclusion
【국문초록 】
Ⅰ. Preface
Ⅱ. Natural Stone Tools
Ⅲ. Burnt Quartzite Stone Tool
Ⅳ. Conclusion
【국문초록 】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貧雪 任孝宰 敎授 近影
- 賀謝
- 新羅王京地域 出土 古代木炭窯와 關聯記錄 檢討
- Development of Subsistence Patterns in Neolithic Culture in Korea
- 韓半島 中部地域 前期 無文土器文化의 展開過程 - 驛三洞ㆍ欣岩里類型을 中心으로
- 南韓地域 高句麗 土器의 編年 硏究
- 百濟 馬具 再報 (1) - 淸州 新鳳洞古墳群 出土 馬具
- 祝詞
- Greeting Message
- 학회소식 외
- 한국의 암각화를 재해석한 넥타이 직물 디자인 연구
- 百濟 鐙子의 製作方法과 展開 樣相
- The Burnt Stone Tools on Iim Jin River Terrace
- 任孝宰先生の停年退任を祝して
- 영산강 중ㆍ상류지역 구석기시대의 문화적 성격 연구
- 慧史 文明大 敎授 近影
- 청주 신봉동고분군 출토 鑣轡에 관한 연구
- 호우총의 구조 복원과 피장자 검토
- 기원전 3000년기 전반 빗살무늬토기집단의 動態 - 중서부지역을 중심으로
- 服飾資料로 본 統一前後 新羅社會의 身分秩序
- 扶餘 陵寺 第3建物址(일명 工房址Ⅰ)의 建築考古學的 檢討
- 高句麗 기와의 發生과 形成 背景
- 청주 율량동 유적 하성퇴적층의 형성환경과 시기 고찰
- 북한강유역의 신석기문화
- A Comparison of the Dolmens in North-Eastern Asia
- 榮山江流域 蓋杯의 展開 樣相과 周邊地域과의 關係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4세기 후반~5세기 전반 백제의 지배구조와 왕위계승 갈등의 반복 배경
- 고구려 패망과정의 위기관리 연구 - 보장왕 시대의 나당의 간접전략과 고구려의 국력요소를 중심으로
- 『삼국지』 동이전에 기술된 ‘禮’의 의미와 양상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