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모델의 매력도 차원이 모델 전형성과 의류광고 적합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13
- 영문명
- The Study on the Influence of Model Attractive Dimensions on Model Typicality and Match-up of Apparel Advertisement
- 발행기관
- 한국마케팅과학회
- 저자명
- 이지현(Lee Ji Hyun) 이동일(Dong Il Lee)
- 간행물 정보
- 『JGAMS』마케팅과학연구 제15집 제3호, 49~6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1.0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대인들은 의식적 혹은l 무의식적으로 많은 광고에 노출되고 있다. 이에 기업에서는 매력적인 모델을 광고에 사용함으로써 자사의 광고에 소비자들의 주목도를 높이려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다. 의류의 경우, 소비자는 주로 잡지, 신문, 카탈로그, TV 광고 등의 마케터 주도적 정보원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는 것으로 나타나, 마케터가 제시하는 광고가 의류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의류광고에 사용되는 모델이 소비자에 의해 의류광고에 적합하다고 판단되어지는 경로를 이론적으로 도출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그 결과, 모델의 매력도 차원에는 ‘관능성’과 ‘귀염성’, 두 차원이 존재하며, 이 차원은 각각 다른 경로로 의류광고 적합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성은 ‘모델답다’, ‘전형적인 모델이다’로 여겨지는 ‘모델 전형성’을 통해 의류광고 적합도를 향상시키며, 귀염성은 모델 전형성을 거치지 않고 의류광고 적합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이 의류모델을 선정함에 있어 유의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In the modern times, consumers are exposed in a plethora of advertisements either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Generally, companies try to make eye-catching advertisements by using highly attractive models (HAM). In the case of apparel, consumers mainly collect information on fashion trends from advertisements they see in magazine, newspaper, catalogue, and television programs which are created by marketers. Therefore, the advertisements which are supplied by marketers affect consumers apparel purchasing behavior. In this study, a structural equation model is developed to examine how consumers determine the match-up suitability between models in the advertisements and the apparel they promote. As a result, we find two dimensions, sensuality and cuteness, in model attractiveness. Empirical results show that each dimension of the attractiveness plays different role in enhancing model-apparel match-up in the advertisements. Sever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문헌연구
Ⅲ. 연구모형과 가설설정
Ⅳ. 실증연구
Ⅴ. 실증결과
Ⅵ. 연구의 함의 및 한계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비스 보증이 서비스 신뢰성, 서비스 가치,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부산지역 특1급 호텔을 중심으로-
- 소비자의 개인적 특성이 브랜드 구매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중국 20-30대 화장품 소비자 라이프스타일 연구를 중심으로 -
- 마케팅과학연구 편집방침 외
- How Can Marketers Overcome Consumer Resistance to Innovations? - The Investigation of Psychological and Social Origins of Consumer Resistance to Innovations -
- 관광지 개성과 속성이 관광지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Marketing to Asian Americans: The Impact of Acculturation and Interpersonal Influence on Ethnocentric Consumer Preferences
- 모 브랜드의 제품유형 및 관여유형이 일치·불일치 확장브랜드 평가에 미치는 영향
- 모델의 매력도 차원이 모델 전형성과 의류광고 적합성에 미치는 영향
- 서비스 제공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 점포 혼잡성이 점포 내 감정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외부정보탐색노력에 대한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일류기업(Great Company Research) 제2권 제1호 목차
- 다함께 돌봄사업 홍보영상에 대한 브랜드 포지셔닝 연구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Brand Value: Korean Ginseng and Changbai Mountain Ginse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