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입찰 참가자 수가 낙찰률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38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저자명
이복남 장철기
간행물 정보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건설동향브리핑』건설산업동향 2005-05, 1~2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공학 > 토목공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01.05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 최저가낙찰제 대상 공공공사 낙찰률의 지속적 하락 - 1998년 이후 「최저가낙찰제」대상 공사의 전체 평균 낙찰률은 2005년 3월 현재 66.9%이며, 「최저가낙찰제」가 확대 시행된 2001년 3월 이후부터의 평균 낙찰률은 61.3%임. 이는 미국과 일본의 최근 공공공사 낙찰률과 비교할 때 상당히 낮은 수치임. ▶ 입찰 참가자 수와 낙찰률의 상관 관계 - 입찰 참가자 수와 낙찰률의 상관관계는 한국과 미국 및 일본 등 3개국에서 공통적으로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참가자 수가 낙찰률 등락에 직접적인 원인 제공을 하고 있다는 결론 도출이 가능함. - 미국은 이런 상관관계 때문에 무제한적 저가 입찰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전자격심사제도 를 통해 입찰 참가자 수를 3~5개로 제한하고 있음. - 일본도 공공공사에서 입찰 참가자 수가 저가 낙찰에 영향을 준다는 판단하에 입찰 참가자 수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운용하고 있음. - 입찰 참가자 수는 입찰 비용 과다에 절대적인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은 한국이나 일본, 그리고 미국이 공통적으로 인식하고 있음. ▶ 무리한 저가 입찰 방지를 위한 대책 - 현재 국내의 공공공사에서 최저낙찰제도에 대한 보완책으로 운영되고 있는「저가심의제도」혹은 「보증제도」 등은 실제 시장에서는 거의 실효성을 거두지 못하고 있음. - 입찰에 참여하는 기회는 균등하게 주되 실제 공사에 참여할 수 있는 자격은 엄격하게 구분하는 기본 정책을 펴나가야 함. - 가격만을 판단 기준으로 계약하는 종래의 방식을 탈피하여, 기술력과 품질을 중시하는 계약제도로의 개선이 요구됨. - 일본이나 미국 등과 같이 예정가의 사전 공표제에서 사후 공표제로 전환하고 견적입찰방식을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함. - 저가심의제도 역시 현행 공종별 평균값 심의방식에서 시공 패키지별 공법심의와 총액을 심의하는 미국 방식의 도입을 검토해야 함. - 500억원 이상 PQ공사에서 최저가낙찰제가 정착된 후 100억원 이상 공사로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함. - 입찰비용 감소를 통해 입찰 참가자 수를 늘리겠다는 것은 낙찰률이 떨어짐으로써 또 다른 불안 요소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제도 시행전에 보완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됨.

영문 초록

목차

요약
■ 연구의 배경
■ 연구의 목적
■ 국내·외 「최저가낙찰제」 현황
■ 입찰 참가자 수와 낙찰률의 상관 관계
■ 국내·외 저가 판별 기준과 방지책 분석
■ 무리한 저가 입찰 방지를 위한 대안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복남,장철기. (2005).입찰 참가자 수가 낙찰률에 미치는 영향.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건설동향브리핑, 2005 (5), 1-27

MLA

이복남,장철기. "입찰 참가자 수가 낙찰률에 미치는 영향."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건설동향브리핑, 2005.5(2005): 1-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