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라디오 광고에서 언어 힘의 설득 효과와 정보원 성(性)의 영향
이용수 228
- 영문명
- The Effects of Power-of-Speech and Sex of Source on Persuasion, in Radio CM
- 발행기관
- 한국마케팅과학회
- 저자명
- 천현숙(Chun Hyun Suk) 리대룡(De Ryoung Lyi)
- 간행물 정보
- 『JGAMS』마케팅과학연구 제16집 제1호, 93~11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3.0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라디오 광고에서 정보원이 사용하는 언어 힘이 설득에 효과가 있는지를 관찰하고, 그 효과를 정보원의 성 그 자체의 효과와 비교해 봤을 때 과연 어떤 것이 설득을 결정하는 더 큰 요소 인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 문제와 관련하여 선행 연구들은 일관성 없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어떤 연구는 오디오 커뮤니케이션에서 언어 힘의 설득 효과는 화자의 성에 달려있다고 주장했고(Carli, 1990), 또 어떤 연구는 오디오 커뮤니케이션에서 언어 힘의 설득 효과는 화자의 성에 관계없이 나타나는 굳건한 효과임을 주장했다(Holtgraves & Lasky, 1999; Erickson, Lind, Johnson, & O"Barr, 1978). 이에 본 연구는 라디오 광고에서 언어 힘과 정보원 성의 상호작용을 관찰함으로써 언어 힘의 설득 효과에 정보원의 성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실험적 증거를 제시하고자 했다. 실험 결과, 라디오 광고에서 정보원이 사용하는 언어 힘은 설득에 강한 효과가 있으며, 그 효과는 정보원 성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는 언어 힘의 지위 효과가 성의 지위 효과보다 더 강력하다는 것을 함축한다.
영문 초록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power-of-speech have an impact on persuasion in radio CM and to determine what is stronger variable either power-of-speech or sex of source. Previous research showed confused result about this issue. Some research supposed the effect of power-of-speech depend on sex of source(Carli, 1990) but the others supposed it is not(Holtgraves & Lasky, 1999; Erickson, Lind, Johnson, & O"Barr, 1978). So present research is designed to show empirical evidence about this issue examining the interaction between effect of power-of-speech and sex of source. Result revealed that power-of-speech affects strongly on persuasion and that effect have no interaction with sex of source. This result means that the effect of power-of-speech is stronger than the effect of sex of source. But in attitude toward product exceptionally, female source using powerful speech induce more favorable attitude toward product than female source using powerless speech whereas male source using powerful and powerless speech induce same attitude toward product.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기존 문헌 검토
Ⅲ. 이론적 배경
Ⅳ. 연구 방법
참고문헌
〈Abstract〉
Ⅰ. 서론
Ⅱ. 기존 문헌 검토
Ⅲ. 이론적 배경
Ⅳ. 연구 방법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속적 쇼핑동기로서의 개인가치가 할인점 점포연상 평가와 단골의도에 주는 계층적 영향
- 관광유람선 고객의 시장세분화에 관한 연구
- An Evaluation of Malaysian Consumers’ Perceptions Towards Products Made in Korea - An Asia Pacific Marketing Perspective
- 마케팅과학연구 편집방침 외
- 해외여행중 발생하는 여행객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 DRM(Digital Right Management)에 의한 디지털 컨텐츠 유통 및 가격정책에의 영향 분석
- 라디오 광고에서 언어 힘의 설득 효과와 정보원 성(性)의 영향
- NBD모형의 구조변화 감지
- 소매유통시장에서의 이상현상에 관한 연구 - 의류소매점 매출의 요일효과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일류기업(Great Company Research) 제2권 제1호 목차
- 다함께 돌봄사업 홍보영상에 대한 브랜드 포지셔닝 연구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Brand Value: Korean Ginseng and Changbai Mountain Ginse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