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Nature, Method, and Usefulness of Liberal Education as Envisioned by Newman, Mill and Arnold
- 발행기관
- 한국영미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서지문(Suh Ji-moon)
- 간행물 정보
- 『영미문학교육』영미문학교육 제9집 2호, 69~9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0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Liberal education' came under attack in England in the nineteenth century, as an urgent need came to be felt for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while most public schools and the two great universities persisted in teaching only the classical subjects. At the same time, the need for educating the public was keenly felt, as the vast majority of the middle classes and some of the lower classes were given votes and thus became political powers. However, education for the masses was left to motley private institutions of varying standards, with no supervision by the state.
In this juncture, John Henry Newman, John Stuart Mill, and Matthew Arnold, three major spiritual and intellectual figures of the era, spoke strongly for liberal education, to raise the kind of men the times were desperately in need of--educated men with dignity of mind, far-reaching sight, and the power of balanced judgment, to counterbalance the narrow sectarianism and hasty zeal for this or that reform or policy. And, although they did not go so far as to argue that liberal education sufficed to form man's moral character, they were convinced that moral education is incomplete without the expansion of vision that can be achieved only through liberal education.
목차
Ⅰ. 19세기 영국의 국가적 과제, 교육
Ⅱ. 영국 고등교육의 전통과 빅토리아조 영국의 교육현황
Ⅲ. 영국에서 인문학의 위상
Ⅳ. 세 거인의 사회개선을 위한 시각
인용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탈식민주의적 관점에서 본 「의사와 의사부인」 : 백인의사와 인디언과의 갈등
- 초기 노예서사와 에퀴아노의 유산
- 뉴먼, 밀, 아놀드의 인문교육에 대한 소신
- Decoding Samuel Beckett's Dramatic Codes in Footfalls
- 영어권 문학 읽기 : 탈식민 텍스트와 윤리적 개별성
- 한국영문학 속의 비교문학, 비교문학 속의 한국영문학
- Americas와 Japans
- 서평 : 『형이상학파 시 교수법』 - Gottlieb, Sidney. Approaches to Teaching the Metaphysical Poets. New York: MLA, 1990. xii, 177.
- 사이버 상에서 “영문학입문” 가르치기
- 강의실에 학생이 있는가? 영시 수업과 문학이론
- T. S. 엘리엇 학부 강의 방법 연구
- 『일반독자』와 『댈러웨이부인』의 대화적 글쓰기 : “의사소통은 진실이다”
- 탈식민주의 이론과 영문학 교육
- 9-2호 필자 정보 및 게재논문 심사 경과 외
- A Dramatic Posture in Robert Lowell's Poems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NEW
- 영미문학교육 제29집 2호 목차
- 기능적 문해력을 넘어서: 2025 가을특집호 내러티브와 영문학/영어교육 서문
- 세 개의 수사로 바라본 구텐베르크의 은하계 - 맥루한의 실(복)낙원, 문해력 탐색과 구원의 신앙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