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동영상 영어권 문학: 사이버 공간에서의 영화와 문학
이용수 131
- 영문명
- Teaching English Literature on the Web: Film and Literature in Cyberspace
- 발행기관
- 한국영미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영민(Youngmin Kim)
- 간행물 정보
- 『영미문학교육』영미문학교육 제8집 2호, 129~15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2.0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his 1967 monumental book, entitled The Medjum is the Message, Marshall McLuhan writes: "All media work us over completely. They are so persuasive in their personal, political. economic, aesthetic, psychological, moral, ethical, and social consequences that they leave no part of us untouched, unaffected, unaltered. The medium is the message. Any understanding of social and cultural change is impossible without a knowledge of the way media work as environments." McLuhan is looking ahead of the Age of New Media in which Net and Web are the two pillars for this Internet Cyberspace.
Foucauldian "panopticon" provides a model of Net, while Heideggerian "question of technology" elaborates the concept of Web in terms of "aletheia" along with its double implications of poiesis/physi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Net. the Internet is gazing at the user in a controling wa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eb, the Internet is a potential field of infinite possibilities. When one is immersed in a double perspective of the gaze of "aleitheia" which both reveals and disreveals poiesis/physis, one can undergo a voyage to the inscrutable knowing.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bring the issue of Net versus Web in the teaching process to the foreground of our teaching forum as well as to demonstrate one actual course "English Literature Across the English Speaking World," which I taught from 2001 through 2004 on the internet. I captured the actual course materials with video clips and powerpoint materials from Dongguk Cyber University.
목차
Ⅰ. 서론
Ⅱ. 동영상과 파워포인트를 통한 강의컨텐츠
Ⅲ. 강의 진행방식
Ⅳ. 강의계획서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Night Vision: Reading Short Stories
- 독자 중심 연구로 영미문학 교육의 가능성 탐색
- 엘리엇의 초기시와 상호텍스트성
- 영미문학교육과 "비판적 페다고지"-21세기 비판적 어문교육을 위한 시론(試論)
- [열린광장] 한국학 강의 파견교수를 다녀와서
- [열린광장] 피쿼드 호의 목수
- 8-2호 필자 정보 및 게재논문 심사 경과 외
- Dialectic of Opposites, Anti-Self, and Unity of Being in Yeats' The Only Jealousy of Emer
- 문화연구와 문학적 상상력: 인종기술학적 하위문화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 Anxiety and the Language Learner
- 『여인무사』 읽기를 통한 독자 반응과 정체성 정치학: 아시아계 미국문학 가르치기
- 동영상 영어권 문학: 사이버 공간에서의 영화와 문학
- Reasserting the Poetics of Style in the Age of Poststructuralism: A Study of Dickens' Writing as a Means of Reclaiming the Text
- 실존의 구도로서 과거/욕망과 상실의 서사-포크너의 『소리와 분노』
- 질풍노도, 그 이후 (Ⅰ): 런던 『에쿠우스』- 전위와 저항의 연착
- The "Great" Gatsby?: Film Adaptations of F. Scott Fitzgerald's American Classic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