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n the policy of the Curriculum Revision in the state of NSW, Australia
- 발행기관
- 한국비교교육학회
- 저자명
- 손민호(Shon Min-ho)
- 간행물 정보
-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14권 제1호, 245~26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6.0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 국가나 지방 정부의 교육과정 개정방식을 둘러싼 제반 정책은 국가나 지방정부 수준의 교육과정이 해당 공동체 내에서 갖는 기능이나 역할뿐만 아니라 그 교육과정과 관련된 총체적인 문화적 풍토를 반영한다. 최근 들어 우리나라에서는 현행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의 개정방식이 비판적 담론의 대상으로 떠오르기 시작하였다. 이는 우리나라 문화적 풍토 안에서 자연스럽게 정착화된 국가수준 교육과정 개정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독특하게 찾아볼 수 있는 현상이기도 하다. 이에 국가나 주수준의 교육과정 개정방식 관련 외국의 사례를 살펴보고 비교해 봄으로써 향후 그러한 비판적 담론에서 핵심적으로 혹은 본질적으로 다루어 나가야 할 과제가 무엇인지 확인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의도의 일환으로 호주 뉴사우스웨일즈주의 교육과정 개정방식에 관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개정방식의 특징을 교육과정 개정의 일정, 각각의 개정과정의 절차와 그에 따른 개정내용의 범위, 그리고 개정담당기관의 성격과 역할을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um revision policy in the state of NSW, Australia. It reformulates the future directions with which attempts to change the current policy of curriculum revision procedure should be oriented. It seeks for answers to the needs of the change of the current system of curriculum development in Korea, in which curriculum experts and schoolteachers have problematized the current policy of the curriculum development that redesigns all over subject areas in a simultaneous way. The specific questions that this study has treated for the purpose at hand, are as follows: firstly, the nature of the institute which is charge of the policy of the curriculum revision; secondly, the main procedure of curriculum revision; thirdly, the cycle and extent of curriculum revision. This study discusses about such topics, with taking the extent of subject matter contents that each development procedure produces into consideration.
This study has examined the case of curriculum revisions conducted in the state of NSW, Australia.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oreign case,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with which the current policy of curriculum revision needs to be reconsidered, as follows. First, it is desirable to set aside a way of a 'periodical revis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in which the national curriculum tracks a regular cycle for its revision. Second, it should be desirable to set aside a way of an 'overall revis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in which the curriculum revision is implemented in all the school, levels, and subject matters. Third, it is necessary to constitute an institutional system in which the whole procedure of curriculum development could be open to the public.
목차
<요약>
1. 서론
2. 호주 및 NSW주의 최근 교육과정 개정정책의 배경
3. NSW주 교육과정 개정방식의 특징
4. 논의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현대 러시아의 교육과정과 교과서 개혁 정책
- 미국과 일본의 근무성적평정제도 동향과 시사점
- 일본의 대학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 일본 단기대학의 구조조정 지원 정책 동향과 시사점
- 호주의 교육과정 개정정책에 대한 일 고찰-뉴사우스웨일즈주의 교육과정 개정방식을 중심으로-
- 한·일 공동육아 교육의 비교연구
- 미국의 성인고등직업교육훈련 체제 및 교육과정 운영 사례 분석
- 한국대학 상황에서의 문제중심학습 적용사례 비교 연구-경영학, 경제학, 물리학 관련과목을 중심으로-
- 독일 "잘렘성" 학교의 교육이념과 실천에 관한 연구
- 주요국의 고등단계 직업교육체제의 개편 동향과 시사점
- 중국 유아교육의 근대적 전환-청말 몽양원(夢養院)의 창설과 발전을 중심으로-
- 모더니즘에서 포스트모더니즘 시대로의 변화와 21세기 영재교육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연쇄적 베이지안 추론을 적용한 학습전략 사용 및 효과 판단의 착각현상 분석
- 중국인 유학생 대상 해결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K대학교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 일상 속 인성덕목을 반영한 유아인성교육 실천방안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