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離婚時 子女養育費 確保方案에 관한 硏究
이용수 93
- 영문명
- A Study on the Methods of Ensuring Child Support in Divorce
- 발행기관
- 한국가족법학회
- 저자명
- 정현수(Hyun Soo Jeong)
- 간행물 정보
- 『가족법연구』가족법연구 제19권 1호, 255~307쪽, 전체 53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3.01
9,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Divorce nullifies all relations resulting from marriage, and with divorce it seems that all problems between the divorced man and woman are resolved. However, divorce means the rise of new problems. They include alimony for the spouse who does not have abilities to support himself/herself and child support. In particular, ensuring maintenance from the parent who does not rear the children after divorce is an important matter related to the best welfare of the children in every country.
Until now the protection of minor children on the separation of their parents has been emerging as a serious problem in Korea with the increase of the rate of divorce. Although child support at broken families is rising as a social problem, there have been few related surveys or discussions on the improvement of the problem. Child support after divorce has been left as a personal matter and the government has not been much interested in making policies in response to the problem. Thus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methods of ensuring child support on the separation of the parents.
First, chapter Ⅱ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e of child support resulting from divorce. Chapter Ⅲ briefly reviewed foreign divorce systems and child support ensuring systems. Such a comparative study is expected to give a lot of implications for improving relevant systems in Korea. Chapter Ⅳ examined problems in current laws related to the ensuring of child support in Korea and solutions for the problems. Lastly, Chapter Ⅴ summarized previous researches and emphasized that the separation of a couple must not infringe their children's right to be supported. The child support ensuring system must be settled as a security system for children's rights based on the basic principle of children's maximum welfare.
목차
Ⅰ. 머리말
Ⅱ. 이혼에 따른 자녀양육의 실태와 양육비 지급의무의 근거
Ⅲ. 비교법적 고찰
Ⅳ. 양육비 확보에 관한 현행법상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Ⅴ. 맺는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發刊辭
- 미국 혼인법의 개별화 경향 - 혼인전합의법 및 협약혼인법을 중심으로 -
- 同時死亡 推定과 配偶者 代襲相續 - 對象判決 : 大法院 2001.3.9. 선고 99다13157 判決
- 民法 一部改正法律案
- 헌법재판소 - 위헌결정문
- 驪松 李凞培 敎授 年譜
- 「가족법」상의 법률행위의 특성
- 子의 姓에 대한 規定의 比較法的 接近 - 獨逸民法規定의 變遷을 중심으로 -
- 협의이혼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신의칙과 권리남용금지원칙의 가족법관계에의 적용
- 親權者ㆍ後見人의 代理權과 任意代理의 比較
- 子女의 最善의 利益과 面接交涉權
- 현행 민법상 부부재산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相續法 - 家族法인가, 財産法인가?
- 離婚時 子女養育費 確保方案에 관한 硏究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