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과 공간 융합연구서 구성 환경명리학
2025년 11월 03일 출간
- eBook 상품 정보
- 파일 정보 PDF (1.65MB)
- ISBN 9791198798763
- 쪽수 312쪽
-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
교보eBook App
듣기(TTS) 가능
TTS 란?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DF 필기가능 (Android, iOS)
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이러한 공간 변화에 따른, 새로운 운명 연구 방법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그 새로운 방법론에 대한 대안으로 공간(空間) 구성(九星)과 시간(時間) 간지(干支) 융합을 통해 <九星 공간 대운>에 대한 연구를 세계 최초로 명리학계에 제시합니다. 본 연구서는 이러한 새로운 <九星 공간 대운>에 대한 연구 기록을 남김으로써 명리학의 학문발전과, 후학들의 학문 연구 영역 확대에 기여하기 위한, 세계 최초의 구성과 간지 융합 연구 기록입니다.
<九星 공간 대운> 연구의 필요성 ----- 1
『구성 환경명리학』 전자책을 출판하며 ---- 308
목 차 ----- 3
1부 『九星 환경명리학』 연구배경과 목적 ----------- 22
1장 연구배경과 목적 ------------- 24
1. 『九星 환경명리학』 연구 배경
1) 조선시대 왕들의 평균수명
2) 조선시대는 60세 이후의 운명 관심부족
2. 연구목적
1) 명리학자는 운명의 메커니즘(mechanism)을 연구
2) 사주를 잘 맞추는 것은 도사계열
3) 시대 흐름을 반영한 신(新) 운명판단법 연구
3. 연구방법
4. 공간을 접목한 ‘신(新) 운명 연구유형 모델’ 제시
5. 선행연구 검토
2장 구성(九星)과 간지(干支) 융합 연구의 중요성--------- 34
1. 구성(九星)은 지구 전체 공간이다.
1) 인식(認識)의 확대
2) 인식 확대는 선택의 확대
3) 인접학문을 명리학 발달에 활용
2. 구성(九星)은 환경명리학의 핵심
3. 명리학자 학문자세; 부분과 전체
1) 군맹무상(群盲撫象) : 장님 코끼리 만지기
4. 평균수명과 60년 관계
5. 삶의 공간무대 확대
1) 陰의 시대는 陰인 공간이 중요
6. 학문 연구는 시대적 변화 상황을 반영한다.
7. 변화를 연구하는 명리학자 -------------------- 42
8. AI 인공지능과의 경쟁
9. 수명 연장과 시주대운(時柱大運)
10. 내가 만들어 가는 환경 시주(時柱)
11. 시주(時柱)의 중요성이 부족했던 이유
12. 자아실현과 행복 추구가 우선하는 현대사회
13. 명리학계가 생각해볼 문제
1) 생계형 학문 역술
2) 국가차원의 학문지원 필요성
14. 학자의 연구유형 인성형 식상형
1) 인성이 주도하는 명리학계
2) 식상도 공존하는 명리학계
15. 명리학자의 연구법
1) ‘왜’라는 학자의 연구자세
2) 역지사지(易地思之)의 자세
16. 『九星 환경명리학』의 장점
3장 구성(九星)과 구궁(九宮) -------------- 53
1. 구궁(九宮)이란?
2. 구성과 구궁은 공간의 개념이다.
1) 사계절의 공간개념과 시간개념
3. 구성(九星)과 자백구성(紫白九星)
4, 북두칠성(北斗七星)과 구성의 관계
1) 북두칠성(北斗七星)의 의미
5. 구성(九星) 의미 --------------------- 60
1) 일백수성(一白水星) 탐랑성(貪狼星)
2) 이흑토성(二黑土星) 거문성(巨文星)
3) 삼벽목성(三碧木星) 녹존성(祿存星)
4) 사록목성(四綠木星) 문곡성(文曲星)
5) 오황토성(五黃土星) 염정성(廉貞星)
6) 육백금성(六白金星) 무곡성(武曲星)
7) 칠적금성(七赤金星) 파군성(破軍星)
8) 팔백토성(八白土星) 좌보성(左輔星)
9) 구자화성(九紫火星) 우필성(右弼星)
6. 시간의 구성과 공간의 구궁
7. 구성의 오행 구분
8. 구성의 개념
9. 구성 작성법
1) 년구성(年九星) 작성법
2) 월구성(月九星) 작성법
3) 일구성(日九星) 작성법
4) 시구성(時九星) 작성법
4장 삼원구운(三元九運) ------------ 69
1. 삼원(三元)이란?
2, 구운(九運)이란
1) 삼원은 순행법칙 구운은 역행법칙
3. 소삼원 주기 180년과 소삼원 1운 20년의 근거
1) 주역의 효수와 180년
2) 180년이 되는 이유는 ?
3) 소삼원 1개 운이 20년인 이유와 9개 운이 180년인 이유
4. 대삼원(大三元) 공간대운과 소삼원(小三元) 공간대운
1) 입춘(立春) 운의 바뀌는 기준
2) 년구성 월구성
3) 대삼원과 소삼원은 순행을 한다.
4) 년구성 월구성은 역행을 한다.
5) 삼원은 상원 중원 하원을 말한다.
6) 삼원은 순행법칙 구운은 역행법칙
5. 대삼원 60년 보다 소삼원 20년 작용력이 크다.
6. 기(氣) 받아올림 ------------------------------ 79
1) 대삼원은 60년주기 기(氣) 받아올림
2) 대대삼원(大大三元)은 고려대상 아니다.
3) 대대삼원 주기 계산방법
4) 공간 기운의 대소(大小), 원근(遠近) 작용법
5) 소삼원은 20년 주기 기 받아올림
7. 구성에 따른 간지 기운의 차이
8. 구성연구의 필요성
9. 명리학자와 역술가의 차이점
10. 시간과 공간 융합의 방법은?
1) 구성과 간지의 연결
2) 오행은 융합의 조건
11. 만세력에서 구성 찾는 방법
5장 구성 공간대운 작성법과 길흉판단법 ------------ 90
1. 구성 작성 규칙
1) 사주 작성의 규칙과 불규칙
2) 년월은 시간 일시는 공간
3) 시간은 절대성 공간은 변화성
4) 구성 작성의 규칙과 불규칙
2. 자백법(紫白法)과 자백구성(紫白九星)
3. 대삼원 공간대운 소삼원 공간대운 작성법
4. 소삼원 공간대운 분류법
5. 출생당시 대삼원과 소삼원 공간대운 찾기
1) 출생당시 대삼원 공간대운 찾기
2) 출생당시 소삼원 공간대운 찾기
6. 년구성 년자백 작성법
7. 월구성 월자백 작성법
8. 일구성 일자백 작성법
1) 일구성의 순행 역행과 양둔 음둔
2) 양둔의 시작과 끝
3) 음둔의 시작과 끝
4) 일구성의 문제점
9. 시구성 시자백 작성법 --------------- 101
10. 일자백과 시자백은 무시해라.
1) 작은 단위는 공간의 기운이 강하다.
2) 기(氣)의 불균형 문제
11. 현재의 구성파악법
12. 사주를 바탕으로 구성과 간지 파악하기
1) 출생당시 구성과 상담시 구성 작성
13. 구성 공간 대운과 대운의 길흉 판단 조합
1) 간지 대운도 길, 구성 공간 대운도 길
2) 간지는 대운길, 구성 공간 대운은 흉
3) 간지 대운은 흉, 구성 공간 대운은 길
4) 간지 대운도 흉, 구성 공간 대운도 흉
14. 사주 길흉 해석이 안맞을 때 확인법
15. 시간운과 공간운이 부딪칠 때 우선순위
16. 구성을 파악하는 목적
17. 체는 공간이고 용은 시간이다.
18. 시주대운과 월주대운의 체용관계
19. 명리에서 간지와 구성의 겸찰(兼察)
20. 공간운을 보는 이유
1) 구성(九星)의 직접 작용은 없다.
21. 공간의 길흉판단법
6장 구성과 명리학의 관계 ------------------- 110
1. 환경명리학의 핵심은 공간변화
1) 천지인(天地人) 공간의 변화
2) 천(天)의 변화
3) 지(地)의 변화
4) 인(人)의 변화
5) 개운법 공간 변화의 중요성
2. 시간과 공간 규칙성과 불규칙성
3. 개운법은 공간변화이다.
1) 운명론(運命論)과 숙명론(宿命論) 의미
2) 개운과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
4. 공간 변화를 읽는법
1) 구성의 공간 변화 파악
2) 대삼원의 공간 대운 변화
3) 소삼원의 공간 대운 변화
4) 대운의 공간변화
5) 시주대운의 공간 변화 파악
6) 년구성 공간변화
7) 월구성과 공간변화
8) 일구성과 시구성은 무의미
5. 간지와 구성의 융합
2부 생극제화, 명리학과 철학 연계성 연구 ------------ 118
7장 명리학은 주체(主體)의 학문, 천명(天命)의 학문 ------ 120
1. 주체는 자아(自我)이고 자아는 천명(天命)이다.
1) 자아(自我)란?
2) 명리학은 천명(天命)의 자아실현 학문
3) 명리학에서 천명(天命)은 年月日時 천간이다.
4) 명리학의 천명(天命) 개념
5) 천명(天命)에 ‘목숨 명(命)’을 사용하는 이유는?
6) 가장 강력한 명(命) 자전과 공전의 시간성
2. 주체(主體)는 음주체(陰主體) 양주체(陽主體)가 있다.
1) 주체와 숙명론 운명론 관계
2) 숙명론 사주학과 운명론 개운론 명리학
3) 운명의 작동원리
4) 운명의 작동조건
5) 주체, 관계, 십성 그리고 천명
3. 모든 것은 주체가 있다.
4. 명리학 이론별 주체(主體) 파악
1) 음양의 주체
2) 오행의 주체
3) 사계절의 주체
4) 사주팔자의 주체
5) 십성의 주체
6) 12운성의 주체
7) 12신살의 주체
8) 60갑자의 주체
9) 천간의 주체
10) 지지의 주체
11) 생극제화의 주체
12) 상생상극의 주체는 상생입니다.
13) 순행 역행의 주체
14) 마음 심리의 오행주체
5. 주체는 천명으로 판단의 기준입니다. --------- 131
1) 주체 판단에도 우선순위가 있습니다.
2) 일간은 천명의 사회관계 대표이다.
3) 십성은 상호관계 판단 주체입니다.
6. 일간의 뿌리와 주체 강약구분
1) 대각선 뿌리내리기
2) 대각선 기흐름
3) 사주팔자 원도(圓圖), 직도(直圖), 방도(方圖) 연구
7. 사주팔자의 주체의 중요성
1) 음(陰) 주체 양(陽) 주체
2) 자아실현과 주체
3) 주체의 중요성
8. 주체 이동론(移動論)
1) 심리적 주체 일간으로 주체이동
2) 년주에서 일간으로 이동
3) 공간주체에서 시간주체로 이동
9. 사주에 주체가 천간인 일간(日干)이 되는 이유
1) 지원룡(地元龍), 천원룡(天元龍), 인원룡(人元龍)
10. 天人合一說과 주체(主體), 천명(天命)의 관계
8장 천간과 지지 오행 상생 상극법 ---------------- 141
1, 천간과 지지 오행 상생법
1) 오행에도 주체가 있다.
2) 천간의 오행 상생도
3) 지지의 사계절 상생도
2. 지지 오행상생도
3. 지지에서 정오행이 화오행보다 우선한다.
1) 천간은 정오행 운동 지지는 화오행 운동
4. 우주자연의 법칙
5. 천간과 지지 오행상극법
1) 천간 오행 상극법
2) 지지 사계절 상극법 사행(四行) 상극법
3) 지지 오행 상극도
6. 지지 토중심 상생상극도
1) 오행과 사계절의 차이
2) 천간이 토 역할
3) 지지의 토 역할
7. 십성의 순행역행과 상생상극
1) 십성의 순행 역행
2) 십성의 상생상극
8. 상생 상극의 특징
1) 상생의 특징
2) 상극의 특징
9장 금화교역(金火交易) ---------------- 154
1. 금화교역(金火交易) 화금교역(火金交易)
2. 未土 장하(長夏)와 금화교역(金火交易)
1) 교역(交易)이란?
2) 금화교역은 반대급부이다.
3. 하도낙서와 금화교역(金火交易)
4, 하도낙서의 수리와 방위
5. 하도와 낙서의 상생상극도에 대한 비판적 고찰
1) 천원지방(天圓地方)의 원리
2) 상생은 시간의 기본법칙으로 원(圓)이다.
3) 방위는 체의 영역
4) 선천수와 후천수의 교역
6. 하도와 낙서의 수리 비교 ------------- 163
7. 금화교역의 의미
1) 계절의 화생금 이치
8. 시간 상생도와 공간 상생도 구분
9. 지장간의 화생금 이치
10. 하도와 낙서의 시간성 공간성
1) 하도와 낙서는 공간이다.
2) 하도와 낙서가 공간인 이유
3) 공간의 시간성
4) 시간의 공간성
5) 계절의 공통점
11. 시간은 오행, 공간은 사계절
12. 공간수리와 천간의 수리
13. 방위와 수리는 매우 중요하다.
14. 화극금의 이치
10장 관계와 생극제화 원리 -------------- 172
1. 명리학은 관계(關係)의 학문이다.
1) 음양의 기본법칙 상대성 관계
2) 오행의 기본법칙 생극관계
3) 상생과 상극도 음양관계
4) 천간의 생극관계
5) 지지의 생극관계
6) 생극제화의 관계
7) 사회적동물 사회적관계
2. 생극제화의 관계
3. 생극제화는 오행십성이다.
4. 음양오행 생극제화의 원리에 숨은 뜻
5. 생극제화(生剋制化)의 또다른 의미
1) 생(生)
2) 극(剋)
3) 제(制)
4) 화(化)
4. 생극과 제화도 음양관계
5. 상생(相生) 상극(相剋) 상조(相助)의 의미
6. 상생 상극과 십성의 음양관계
11장 한난조습(寒暖燥濕)도 음양오행 원리 -------------- 184
1. 한난조습도 결국은 음양 오행이다.
1) 한난조습과 음양오행 구분
2) 한난조습은 지지의 생극제화
2. 한난조습의 음양 운동
3. 한난의 음양운동
1) 한의 음양 흐름운동과 변화운동
2) 난의 음양 흐름운동과 변화운동
4. 조습의 음양운동
1) 조의 음양 흐름운동과 변화운동
2) 습의 음양 흐름운동과 변화운동
5. 한난조습과 계절운동
6. 한난조습과 공간의 구분
1) 신금 유금의 비교 한난조습비교
2) 해수 자수의 한난조습 비교
3) 천간의 한난조습
7. 한난조습의 특징
1) 한난과 조습에서 한난을 먼저본다.
2) 한난조습은 건강에 관련이 깊다.
3) 한난조습은 기의 흐름이다.
8. 한난조습과 삼합의 변화
12장 오행은 융합의 연산도구 --------------- 194
1. 운명 융합의 연산도구 오행
2. 타임머신은 시간여행이 가능하다.
1) 개운의 방법은 공간변화이다.
2) 시간성 대표 명리학 공간성 대표 풍수
3) 시간과 공간의 융합
3. 오행은 운명학의 연산도구
1) 융합의 도구
2) 개운의 도구
3) 길흉판단의 도구
4. 정오행 우선, 오행 선택 순위
5. 중화법에 따른 오행 선택의 중요
13장 소나(Sonar)를 통한 기의 작용력 이해 --------- 198
1. 기와 공간의 상호관계
1) 공간명리학이란?
2) 공간에서 기(氣)의 작용력
3) 소나(Sonar)의 작용력 차이
2. 오행 기운과 환경 관계
3. 명리학자의 학문하는 자세
4. 명리학자와 역술가의 차이
1) 명리학자는 과정중시 역술가는 결과중시
2) 점은 마약입니다.
5. 소나(Sonar) 작용과 환경변화에 따른 기의 상호 관계
14장 선천수(先天數) 후천수(後天數) ------------- 204
1. 수(數)의 개념과 특징
2. 선천수와 후천수의 개념
3. 선천수 후천수의 음양관계 체용관계
4. 명리학의 천간의 선천수 후천수
5. 명리학 공간의 후천수
6, 하도와 낙서도 선천수 후천수이다
7. 역학의 선천수(先天數) 후천수(後天數)
8. 선천수의 의미
9. 오행의 선천수 후천수는 생수와 성수
10. 신(神)의 선물 번식(繁殖)
15장 시간과 공간의 학문 ------------------ 211
1. 운명예측 방법
2. 점은 공간에 비중 규칙은 시간에 비중
3. 순행 역행 기의 흐름도 두가지
4. 명리학자는 새로운 개념을 만든다.
5. 기흐름 방향성 잡는 주체의 중요성
6. 공간명리학
7. 공간의 중요성
1) 사회적 공간
2) 개인적 공간
3) 자연적 공간
4) 사주의 공간
5) 시주대운의 작용
8. 명리학의 간지 시간과 공간 구분
9. 학문의 시간과 공간 구분
1) 공간 활성화의 중요성
10. 시간과 공간의 개념
1) 공간에 적용된 시간성은 나경도이다
2) 사주팔자와 구성의 시간 공간 구분
11. 구성의 공간인 증거 ------------------ 216
1) 구성은 순행과 역행이 있다.
2) 신묘삼수(神妙三數) 기을임(奇乙壬) 공간의 중요성
12. 四柱八字의 시간 공간개념, 음양개념
1) 공간의 중요성에 대해서
2) 공간확장의 시대 공간시간성 연구의 필요성
13. 오행은 연산도구
14. 공간의 실효성(實效性) 연구
1) 풍수에서 원근이 중요성
2) 나비효과와 호리지차(毫釐之差)
15. 시간과 공간의 공통점 찾기
16. 사주(四柱)는 시간과 공간, 자전과 공전
17. 시간과 공간 개념
18. 시간과 공간의 음양구분
19. 사계절의 공간과 시간개념
16장 순행 역행과 상생 상극 이치 -------------- 224
1. 주체를 기준으로 순행 역행
1) 주체는 기준이다.
2) 주체를 기준으로 순행과 역행을 한다.
2. 천원지방과 오행상생상극
1) 원도(圓圖), 직도(直圖) 방도(方圖)의 개념
2) 오행의 생극의 중요한 이유
3) 오행의 원도 방도 직도
4) 명리학 이론에서 기본(基本)과 응용(應用) 이해
3. 오행과 사계절 생극의 개념
1) 생극의 개념과 건너다 이웃하다 의미
2) 천간의 생과 지지의 생
3) 지지 사계절과 천간 오행의 개념 차이
4) 순행의 생과 역행의 생
5) 천간의 극과 지지의 극
6) 순행의 극 역행의 극
4. 순행(順行)과 역행(逆行)의 종류
1) 음양의 순행 역행
2) 오행이 순행 역행
3) 간지의 순행 역행
4) 60갑자의 순행 역행
5) 십성의 순행 역행
6) 12운성의 순행 역행
7) 12신살의 순행 역행
8) 궁성의 순행 역행(근묘화실의 순행 역행)
9) 대운 작성에서 순행 역행
3부 명리학 특징과 작명법 안내 ----- 234
17장 철학관에 대한 이해 ------------- 235
1. 철학관이란?
1) 철학(哲學)의 의미(意味)
2. 철학관의 구분과 특징
1) 도사형 철학관
2) 연구형 철학관
3. 역학은 사서삼경의 하나
1) 동양문화학과 개설된 대학교 안내
4. 무속인과 도인의 차이
5. 도인 도사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6. 도사와 역술가
7. 점은 마약이다.
8. 명리학자는 점을 치지 않는다.
9. 명리학 작가와 음양오행 철학자
10. 사주학(四柱學)은 사주(使嗾)하는 학문
11. 명리학(命理學)은 명리(名利) 추구 학문
12. 생년월일시 우주자연의 기운이고 자전과 공전의 기운이다.
18장 우주 자연의 의미 --------------- 243
1. 우주 자연의개념
1) 우주와 자연도 음양관계
2) 우주는 시간 자연은 공간
2. 인식 가능한 우주의 범위
3. 우주의 기운에는 순행만 있다.
4. 자연의 기운에는 순역이 존재
5, 자연기운의 개념
1) 사계절 법칙
2) 밤낮법칙
6. 자전과 공전의 기운
7. 인간은 자연을 이길수 없다.
8, 우주자연의 법칙
9. 우주기운은 오행, 자연기운은 음양
19장 명리학은 기(氣)의 학문 ------------- 248
1. 기의 특징연구
1) 기(氣)는 상(象)이다.
2) 상의 해석 기의 해석
2. 년월일시는 자전과 공전의 기운
3. 명리학은 기의 학문
1) 기의 학문, 천간의 기와 질
2) 명리학은 살아 있는 생명체가 대상이다.
3) 기의 특징
4. 디지털(digital)과 아날로그(analogue)
1) 음력 양력구분과 디지털(digital)과 아날로그(analogue)
5. 대각선의 기흐름은 가능하다.
1) 기존의 기흐름도
2) 기와 질의 특징
6. 마음은 기이다.
1)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
2) 환경명리학의 마음작용방법
3) 태극권의 이의령기(以意領氣) 이기운신(以氣運身)
4) 서예와 동양화의 의재필선(意在筆先)
5) 사주불여신상(四柱不如身相) 신상불여심상(身相不如心相)
7. 마음의 중요성과 문제점
8. 명리학의 작동(作動) 조건
1) 주체성 확보의 중요성
2) 사회적 관계 형성의 중요성
3) 명리(名利) 추구할 때 작동
9. 운명 결정론 예정론
10. 개운조건
11. 공통환경과 개인환경의 구분
20장 성명학 작명법 발음오행 연구 ------------ 260
1. 발음오행 연구배경과 목적
2. 성명학이란
3. 성명학의 역사
1) 중국 성씨의 유래
2) 우리나라 성씨의 유래
4. 이름의 의미
1) 생물적탄생과 사회적탄생
5. 중세 유럽의 작명방법
6. 조선시대 양아록
7. 작명 발음오행의 중요성- 김춘수 꽃
8. 작명의 방법
9, 수리작명법 ------------------ 268
1) 수리로 보는 원형이정 운격
2) 각 수리별 길흉
10. 훈민정음 해례본의 발음오행
1) 훈민정음 창제 원리
2) 훈민정음 운해
3) 훈민정음의 역학적 배경
11. 『훈민정음(訓民正音)』이란? ---------- 279
12. 소리 천재 세종대왕
13. 세종대왕 사주풀이
1) 시주대운 작성법
2) 시주 대운수 작성법
3) 왕세자 책봉시기
4) 왕위 등극시기
5) 사주풀이
6) 대운 해석- 시주대운과 월주대운 해석
7) 훈민정음 창제와 사주 관계
8) 용신과 미래
13. 세상 모든 소리를 담아낸 훈민정음
14. 작명시 발음오행 적용 방법
15. 훈민정음 운해본 적용은 어찌해야 하는가?
16. 12운성이론 ------------------------- 286
1) 12운성 의미
2) 오행별 12운성
3) 수토동근 12운성이론
4) 수토동근이론과 한글발음오행
17. 『훈민정음 해례본』과 『훈민정음 운해본』 발음오행 차이
1) 발음오행 공존이 가능하다.
2) 水와 土는 모두 음이다.
3) 그동안 『훈민정음 운해본』을 사용해도 문제가 없음
18. 이름값의 중요성
19. 작명시 주의사항
21장 명리한담(命理閑談) --------------------- 294
1. 한국은 세계 명리학의 리더이다.
2. 명리학에서 중요한 핵심 이론안내
3. 명리학은 용의 학문이다.
4. 명리학은 음양오행학이다.
5. 대운 무용론 주장에 대해
6. 사주팔자의 의미
7. 왜 천간은 원도가 되는가?
8. 음양의 목적은 번식(繁殖)이다.
9. 왜 천간은 오행 모두가 주체가 되는가?
10. 지지 오행 상생상극
11. 생극에도 주체가 있다.
12. 지지 원(圓) 운동, 방(方) 운동
13. 원도(圓圖) 천간 순차 변화, 방도(方圖) 지지 급격 변화
14. 마음의 겉과 속 음양법칙
15. 知之者不如好之者 好之者不如樂之者-학문을 즐겨라.
16. 見指忘月(견지망월)-핵심을 보라.
17, 中和이치- 吉凶(길흉) 판단법
18. 죽음 수명 건강 질병은 알수 없다.
참고문헌 -------------------- 305
나가는 글 -------------- 307
『구성 환경명리학』 전자책을 출판하며 ---- 308
명현 소개 --------------------- 309
판권지 -------------- 310
8. 구성의 개념
구성(九星)은 아홉 개의 별이다. 그리고 수(數)의 의미도 갖고 있습니다. 왜 그러한가? 그것은 구성(九星)이라는 용어(用語)에서 알수가 있습니다. 구성에 제1성을 일백수성(一白水星)이라고 하고, 2성은 이흑토성(二黑土星), 3성은 삼벽목성(三碧木星).....9성은 구자화성(九紫火星)등 모든 구성에는 수와 별이름이 들어가 있습니다. 그리고 별이름 보다, 숫자가 먼저 나옵니다. 구성(九星)에서 九는 숫자이고 星은 별입니다. 즉 숫자가 먼저 나오고 있고 성이라는 별이 다음에 나옵니다. 즉 숫자가 먼저입니다.
구성의 개별 명칭에서도 일백수성(一白水星), 이흑토성(二黑土星), 삼벽목성(三碧木星)..... 구자화성(九紫火星)등에서 보듯이 숫자가 먼저 나옵니다. 즉 九星을 별과 숫자의 개념으로 본다는 의미입니다. 그리고 수에는 규칙의 의미가 있습니다. 규칙은 시간을 말합니다. 그리고 규칙은 간지로 보면 천간을 말합니다. 지지는 공간이 되고 불규칙이 됩니다. 천간은 하늘입니다. 하늘에는 오성이 있습니다. 그리고 북두칠성도 있습니다. 북두칠성은 밤하늘에 방향을 잡는 별입니다. 방향은 공간입니다. 그래서 공간에는 방향이 존재합니다.
그런데 이 공간이 크게 쓰이면 시간이 됩니다. 계절은 공간도 되지만 흐름의 개념이 들어가면 시간도 됩니다. 시간은 흐름과 같은 개념입니다. 그런데 공간을 미세하게 작은 단위로 구분할수록 점점 공간의 기운이 강화됩니다. 그래서 구성에서 작은 단위인 년구성, 월구, 일구성, 시구성은 공간성이 강하고, 대삼원 소삼원은 시간성이 강한 기운이 되는 것입니다.
즉 공간도 큰 공간인 대삼원과 소삼원은 시간의 흐름으로 보는 것이고, 년구성 월구성 일구성 시구성은 작은 단위이므로 공간성이 강한것입니다. 그 증거는 대삼원과 소삼원은 시간처럼 순행을 하지만 년구성 월구성 일구성 시구성은 역행을 합니다.
하늘에는 오성이있고 오성은 별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별은 태양도 의미합니다. 원래 밤하늘에 반짝이는 별은 모두 태양입니다. 태양은 자전과 공전을 통해서 시간개념은 만듭니다. 즉 별에는 시간 개념이 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구성을 시간성으로 보는 이유는 九라는 숫자를 통해서 규칙이라는 시간성이 들어가고, 星은 별이라는 시간 개념이 들어가는 것입니다. 그래서 九라는 숫자의 개념이 명칭에 제일 먼저 나오는 것입니다. 그리고 시간의 개념이기 때문에 ‘별 성’자를 사용해서 구성(九星)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구성(九星)은 시간이고 구궁(九宮)은 공간이 되는 것입니다.
『九星 환경명리학』은 지구(地球)라는 공간에 작용하는 ‘九星 공간대운’ 관계를 연구한 것입니다. 공간 기운 연구라는 측면에서는 같지만 내용은 다릅니다. 시주대운과 구성을 통한 공간대운 연구는 모두 세계 최초로 시도하는 중요한 연구라고 보겠습니다.
공간은 결국 환경입니다. 공간 대표학문은 풍수인데 풍수와 구성은 다릅니다. 풍수는 해당 터에 있는 개인에 한정되어 적용됩니다. 그러나 구성은 모든 사람들에게 공간 기운이 적용됩니다. 그래서 공간 대운이 됩니다. 이점이 풍수와 구성의 차이점입니다. 그래서 만물에 공통으로 작용하는 구성(九星)이라는 공간 대운 연구는 중요합니다.
인물정보
저자(글) 문승현
● 명현(明賢) 문승현 소개
공간 명리학자(거시 명리학자)
명리학의 생명철학 및 생명사상 연구가
음양오행 철학자
명리학 작가
한양대학교 융합산업대학원 동양문화학과 석사(명리와 풍수 전공)
한양동양문화연구원 부원장
2025년 경기대학교 동양문화학과 박사과정 재학중(명리 전공)
건국대학교 미래지식교육원 사주명리학 외래교수(2025년~)
제주대학교 평생교육원 사주명리학 외래교수(2023년~)
2022년 『환경명리학 입문』 통해 시주대운 세계최초 연구내용 공개
2024년 『九星 환경명리학』 통해 공간대운 세계최초 연구내용 공개
2025년 『生命哲學 환경명리학』 통해 명리학의 생명사상 세계최초 연구내용 공개
2025년 『공간명리학 연구서』 통해 거시명리학의 국운연구 세계최초 공개
명현 제주철학관 제주작명원 원장(064-743-9360)
1966년 제주출생
1997년 명리학입문
2006년 현공풍수 입문
2017년 요가명상 입문
2019년 원광디지털대 동양학과 졸업 (명리와 풍수 전공)
2022년 원광디지털대 요가명상학과 졸업
2024년 한양대학교 융합산업대학원 동양문화학과 석사 졸업
● 국립중앙도서관 국회도서관 납본서적 및 학술 연구 활동
2022년 『성공과 개운을 위한 명리학 환경명리학 입문』 저술 및 납본
2024년 『원리명리학 환경명리학 음양오행 구조론 연구서』 저술 및 납본
2024년 『시간과 공간 융합연구서 九星 환경명리학』 저술 및 납본
2025년 『天命과 天理의 학문 命理學 生命哲學 환경명리학』 저술 및 납본
2025년 『국운과 세계정세 흐름 예측, 공간명리학 연구서』 저술 및 납본
2024년 12월 『제43회 원불교사상연구원 학술대회:생명사상과 제생의세』에서 「명리학 이론의 생명사상과 제생의세 연구」 논문발표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