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식 한시집
2025년 06월 27일 출간
- eBook 상품 정보
- 파일 정보 PDF (0.80MB)
- ISBN 9791193990308
- 쪽수 380쪽
-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
교보eBook App
듣기(TTS) 가능
TTS 란?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DF 필기가능 (Android, iOS)

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2
나식 한시집 제2판
11
나식(羅湜) 연보
25
나식(羅湜) 한시 88수
67
해오라기 그림(畫鷺)
69
증우인필지고귀래약(贈友人弼之固歸來約)
78
송신간성(送申杆城), 수정(守正), 부임(赴任) 3수(三首)
84
사민가화송유(謝閔可和送油)
92
고양농사(高陽農舍)―견황봉사송주육기사(見黃奉事送酒肉寄謝)
95
동호(東湖)―동이좌랑언국 제숙급제우범주음(同李佐郞彥國 弟淑及諸友泛舟吟)
102
기경성이자장 원손(寄鏡城李子長 元孫)
106
한중우음(閑中偶吟)
110
우음(偶吟)
113
제운계사(題雲溪寺)
116
춘일증이언화 장영(春日贈李彥華 長榮)
119
정우후산정관덕(鄭虞侯山亭觀德)―희증정수찬근부(戲贈鄭修撰謹夫)
123
제윤이온화란 이수(題尹而溫畫蘭 二首)
127
제두성공자화조 2수(題杜城公子畫鵰 二首)
132
영화원 2수(詠畫猿 二首)
140
강천모설(江天暮雪)
145
동정추월(洞庭秋月)
148
송이군자장윤기성 2수(送李君子長尹箕城 二首)
151
남원촌사(南原村舍)―견등죽유감(見燈竹有感)
157
시일증최생원(是日贈崔生員)
160
차오수역루운(次獒樹驛樓韻)
163
십이월회효우음(十二月晦曉偶吟)
166
추일(秋日)―송별이이중 승상 부북경(送別李彝仲 承常 赴北京)
171
추일(秋日)―방정참봉종지(訪鄭參奉琮之)
174
재방종지(再訪琮之)
178
유인치사(有人致仕)―기전사환사 작시기지(棄田舍還仕 作詩譏之)
182
여우음화(與友飮話)
186
영화매(詠畫梅)
189
갑진사월초이일(甲辰四月初二日)―여언구유중흥 차조참봉 욱 운 서상인시축(與彥久遊中興 次趙參奉 昱 韻 書上人詩軸)
192
차윤언구 춘년 운(次尹彥久 春年 韻)
196
종지월담정서사(琮之月潭亭書事)
200
월담정즉사(月潭亭卽事)
207
월담정증인(月潭亭贈人)
210
월담정서사(月潭亭書事)
213
사인송춘간요(謝人送春簡邀)
217
오사의 복정 강정서사(吳司議 福貞 江亭書事)
221
배침선생 의 유오사의강정(陪沈先生 義 遊吳司議江亭)
224
영학(詠鶴)
227
사인증금도접지(謝人贈金桃接枝)
230
황감기인(黃柑寄人)
233
평안도중(平安道中)
236
지월십오일평안도중(至月十五日平安道中)
241
병중 수인어염(病中 受人魚鹽)
244
병중억모(病中憶母)
248
차운 1(次韻 一)
252
기상경청작인풍도(寄祥卿請作仁風圖 祥卿善畫故云)
256
차운 2(次韻 二)
260
남계서사(南溪書事)
264
인풍루간홍(仁風樓看虹)
268
차운희정상경(次韻戲呈祥卿)
271
절규고진(折葵枯盡)―고영유존 잉우발화 유감(孤英猶存 仍雨發花 有感)
274
사부사김경석혜웅장(謝府使金景錫惠熊掌)
280
기증관서병사이로경 사증 ○2수(寄贈關西兵使李魯卿 思曾 ○二首)
285
제화매(題畫梅)
292
우흥(偶興)
295
희증전우치(戲贈田禹治)
298
구한봉우(久旱逢雨)―서시전전사 승개(書示田典祀 承漑)
302
송강희윤유송도(送姜希尹遊松都)
305
우기(又寄)
308
제강희이윤송도록후 2수(題姜希夷尹松都錄後 二首)
311
구호 좌시작(口號 坐時作)
320
강송간 희이 제여전생음화(姜松磵 希夷 第與田生飮話)
323
등루원(登樓院)
326
등백운대 삼각중봉(登白雲臺 三角中峯)
329
연비사(鳶飛詞)
332
만음(謾吟)
336
제명원구전서곡(弟明源柩前書哭)
339
곡이린장 대(哭李隣丈 薱)
342
만우인허호부 한(挽友人許浩夫 澣)
346
우만(又挽)
352
장음정유고(長吟亭遺稿) 보유(補遺) 시(詩)와 결시(缺詩) 6수
357
유적성석벽(遊積城石壁)
359
차적성동헌운(次積城東軒韻)
363
적강계시행점작(謫江界時行店作)
366
감흥(感興)
369
문명원재적성환려(聞明源在積城患癘)―치지신암사작(馳至新庵寺作) 결시(缺詩)
372
납매(蠟梅) 결시(缺詩)
375
한중우음(閑中偶吟)
나종혁 국역
나식 원작
해는 푸르른 강 위로 저물고
추운 하늘 물결이 절로 일어
외딴 배 서둘러 대어야지
밤에는 풍랑이 거칠게 인다 <끝>
* 1545년 조선 시대 중기 장음정(長吟亭) 나식(羅湜) 작 오언 절구 한시
* 조선 시대 중종(中宗)조 말 나중에 인종(仁宗)이 된 세자가 계비 문정왕후(文定王后)에 의해 폐위 위기에 처했을 때, 인종의 외삼촌 윤임(尹任)의 대윤 일파를 지지했던 나식이 세자의 안위(安危)를 근심하는 시라고 알려져 있다.
조선 전기에 [장음정집]이 저술된 후 여러 차례 초간, 초간본, 중간본, 삼간본으로 발행되었으며, 최근에 전자책 영인본으로 중간본과 삼간본이 소개되기도 했다. 이번에 쉽게 보기 힘든 조선 전기 대표적인 시인의 한시를 국역으로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되어 의미가 깊다고 할 만하다.
작가정보
저자(글) 나식
원작자 장음정 나식(羅湜)은 15세기 조선 시대 전기 조선의 시인으로, 이식, 이달, 나해봉, 허난설헌 등의 후대의 시인들 보다 시대를 앞선 인물이다. 조선의 대표적인 문신 허엽의 스승이었으며, 두 동생 나숙과 나익의 스승이기도 했다. 사림파 유학자로서 [장음정집]을 저술했고, 을사사화에서 인종을 지지하는 대륜 일파와 연루되어 유배 후 사사되었다. “압록강 동쪽에는 나식 한 사람이 있을 뿐이다”라는 유명한 말이 있고, 나식을 만나보았는가, 못 만났다면 가 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조선 전기를 대표하는 시인이다.
번역 나종혁
편역자 나종혁은 [한국 고대시 선집] 전 3권과 [신라 향가집], [고려 가요집], [고조선 시선], [고구려 시선], [신라 시선], [백제 시선], [발해 시선], [고산 윤선도 시조집], [어부가계 시조집] 외에도, 한시집으로 [최치원 한시집], [나계종 한시집], [나해봉 한시집], [나세찬 시문집], [나식 한시집]을 편역 간행했다.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