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 음성학 개론
2025년 06월 19일 출간
- eBook 상품 정보
- AI(생성형) 활용 제작 도서
- 파일 정보 PDF (11.10MB)
- ISBN 9791199157439
- 쪽수 183쪽
-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
교보eBook App
듣기(TTS) 가능
TTS 란?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DF 필기가능 (Android, iOS)

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당신의 목소리는 안녕하신가요?
소리 너머, 생명의 소리를 듣는 한의학의 새로운 지혜
우리는 매일 목소리를 통해 세상을 만나고 나를 표현한다. 하지만 어느 날 문득 내 목소리가 낯설게 느껴질 때, 조금만 말해도 지치고 목이 잠길 때, 우리는 그저 ‘목을 많이 써서 그렇다’고 넘기곤 한다. 정말 그것뿐일까?
한의학은 목소리가 우리 몸과 마음이 보내는 가장 정직한 신호라고 말한다. 힘없는 목소리에서는 기(氣)의 허함을, 긴장된 목소리에서는 감정의 울체를, 건조한 목소리에서는 진액(津液)의 마름을 읽어낸다.
한의음성학개론은 이처럼 목소리에 담긴 생명의 정보를 통해 건강의 근본을 되찾는 여정으로 당신을 안내한다. 수천 년 역사의 한의학적 통찰과 최신 음성 과학의 정밀한 분석을 결합하여, 목소리 문제의 근본 원인을 찾고 전인적인 치유의 길을 제시하는 국내 최초의 ‘한의음성학’ 지침서이다.
특히 이 책은 한약과 침 치료가 어떻게 몸의 균형을 바로잡는지, 과학적인 호흡과 발성 훈련이 어떻게 스스로를 치유하는 힘을 깨우는지, 그 놀라운 융합의 원리를 **‘기체 전달 물질(Gasotransmitter)’**이라는 분자생물학적 관점에서 명쾌하게 풀어낸다. 저자가 직접 연구하고 개발한, 비강 공명을 통해 뇌감각을 깨우는 **‘개규성신(開竅醒神) 호흡법’**을 포함한 실용적인 자가 관리법은 이 책이 가진 백미(白眉)이다.
이 책은 음성 질환으로 고통받는 이들에게는 따뜻한 위로와 새로운 희망을, 목소리를 통해 건강을 지키고 싶은 모든 이들에게는 지혜로운 삶의 안내서가 되어줄 것이다. 이제, 당신의 소리에 귀 기울여보라. 그 안에 건강과 행복의 답이 있다
제1장: 한의음성학의 정의와 범위
1. 한의음성학(韓醫音聲學, Korean Medicine Vocology)의 개념과 필요성
1.1. 한의음성학의 개념
1.2. 한의음성학의 필요성
2. 학문적 목표와 철학: 정음보원(正音保元)의 현대적 해석
2.1. 한의음성학의 학문적 목표
2.2. 한의음성학의 핵심 철학: 정음보원(正音保元)의 현대적 해석
3. 한의음성학의 학문적 범위와 연구 분야
3.1. 한의학적 음성 생리 및 병리 연구
3.2. 현대 음성 과학과의 융합 연구
3.3. 분자한의학적 접근: 기(氣)와 4대 기체 전달 물질
3.4. 전통 언어문화와 음성 건강의 융합 연구
4. 한의음성학의 발전 역사와 국내외 동향
4.1. 역사적 배경
4.2. 한의음성학의 태동과 국내 동향
4.3. 국제적 동향 및 유사 연구
4.4. 한의음성학의 미래 전망
제2장: 한의학적 인체관과 음성
1. 정체관념(整體觀念)과 음성
1.1. 정체관념(整體觀念)의 개념
1.2. 정체관념에서 바라본 음성
1.3. 한의음성학에서의 정체관념의 의의
2.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과 음성
2.1. 음양(陰陽)과 목소리
2.2. 오행(五行)과 목소리
3. 장부학설(臟腑學說)과 음성
3.1. 폐(肺): 소리의 문 (聲音之門) - 기(氣) 주관, 호흡 조절
3.2. 신(腎): 소리의 근본 (聲音之根) - 정(精) 저장, 납기(納氣) 기능
3.3. 간(肝): 소리 조절 (聲音調節) - 소설(疏泄) 기능, 정서와 음성
3.4. 비(脾): 소리의 자양 (聲音滋養) - 기혈(氣血) 생화의 근원
3.5. 심(心): 소리의 표현 (聲音表現) - 신(神) 저장, 혈맥 주관
4. 경락학설(經絡學說)과 음성
4.1. 경락(經絡)의 기본 개념 및 기능
4.2. 음성 관련 주요 경락(經絡)
4.3. 경락의 음성기관 연결성과 기능
5. 기혈진액(氣血津液) 이론과 음성
5.1. 기(氣)와 목소리
5.2. 혈(血)과 목소리
5.3. 진액(津液)과 목소리
제3장: 현대 음성 과학의 이해
1. 음성학(Phonetics) 개론
1.1. 음성학의 주요 분야
1.2. 국제음성기호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IPA)
2. 발성기관의 해부 및 생리
2.1. 호흡기관 (Respiratory System)
2.2. 발성기관 (Phonatory System) - 후두 (Larynx)
2.3. 공명기관 (Resonating System)
2.4. 조음기관 (Articulatory System)
3. 음성 생성의 과정 (Myoelastic-Aerodynamic Theory 등)
3.1. 근탄성-공기역학 이론 (Myoelastic-Aerodynamic Theory of Phonation)
3.2. 성대 진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및 음성 특성 결정
3.3. 기타 음성 생성 관련 이론
4. 발성의 신경학적 조절 (Neurological Control of Phonation)
4.1. 중추신경계 (Central Nervous System, CNS)의 역할
4.2. 말초신경계 (Peripheral Nervous System, PNS)의 역할
4.3. 감각 피드백의 통합 (Integration of Sensory Feedback)
5. 음성의 음향학적 특성 (Acoustic Characteristics of Voice)
5.1. 기본 주파수 (Fundamental Frequency, F0) - 음높이 (Pitch)
5.2. 강도 (Intensity) - 크기 (Loudness)
5.3. 음질 (Voice Quality / Timbre)
5.4. 한의학적 치료와 기체 전달 물질: 정음보원(正音保元)의 분자적 기전
제2부: 한의음성학 진단
제4장: 한의학적 음성 진단 (성음진단 포함)
1. 망문문절(望聞問切) 사진(四診)의 활용
1.1. 망진(望診): 보는 것을 통한 진찰
1.2. 문진(聞診): 듣고 냄새 맡는 것을 통한 진찰
1.3. 문진(問診): 물어보는 것을 통한 진찰
1.4. 절진(切診): 만져보는 것을 통한 진찰
2. 음성 질환의 주요 한의학적 병인병리
2.1. 외감(外感): 외부 환경 요인에 의한 발병
2.2. 내상(內傷): 인체 내부 요인에 의한 발병
2.3. 병리적 산물(病理產物): 질병 과정에서 생성되는 물질
3. 주요 변증 유형 및 감별
3.1. 폐(肺) 관련 변증
3.2. 신(腎) 관련 변증
3.3. 간(肝) 관련 변증
3.4. 비(脾) 관련 변증
3.5. 기타 복합 변증
제5장: 현대 음성 검사법
1. 후두 내시경 검사 (Laryngoscopy, Stroboscopy)
1.1. 간접 후두경 검사 (Indirect Laryngoscopy)
1.2. 직접 후두 내시경 검사 (Direct Laryngoscopy with Endoscope)
1.3. 후두 스트로보스코피 (Laryngeal Stroboscopy, 후두 섬광 검사)
1.4. 고속 디지털 영상 (High-Speed Digital Imaging, HSDI) 및 비디오카이모그래피 (Videokymography, VKG)
1.5. 한의음성학에서의 활용
2. 음향 분석 (Acoustic Analysis: F0, Jitter, Shimmer, NHR 등)
2.1. 주요 음향 분석 파라미터
2.2. 음향 분석의 임상적 적용 및 한계
3. 공기역학적 검사 (Aerodynamic Assessment: MFR, SGP 등)
3.1. 주요 공기역학적 측정 파라미터
3.2. 공기역학적 검사의 임상적 적용 및 한계
3.3. 한의음성학에서의 활용
4. 음성 자가 평가 도구 (Voice Self-Assessment Tools: VHI, SVHI 등)
4.1. 음성 자가 평가의 중요성
4.2. 주요 음성 자가 평가 도구
4.3. 음성 자가 평가 도구의 활용 시 고려사항
4.4. 한의음성학에서의 활용
5. 기타 검사 (근전도 검사, 영상의학적 검사 등)
5.1. 후두 근전도 검사 (Laryngeal Electromyography, LEMG)
5.2. 영상의학적 검사 (Radiologic Imaging Studies)
5.3. 기타 기능 검사
제6장: 통합적 진단 및 변증의 완성
1. 사진(四診)과 현대 검사 결과의 통합적 해석
2. 최종 진단: 병(病)과 증(證)의 결합
3. 통합적 진단에 기반한 치료 계획 수립
제3부: 주요 음성 질환의 한의음성학적 관리
제7장: 근긴장성 발성장애 (Muscle Tension Dysphonia, MTD)
1. MTD의 현대의학적 이해 (원인, 증상, 유형)
1.1. MTD의 정의
1.2. MTD의 원인
1.3. MTD의 주요 증상
1.4. MTD의 유형 (분류)
2. MTD의 한의학적 병인병리 및 변증 유형
2.1. MTD의 주요 한의학적 병인(病因)
2.2. MTD의 주요 한의학적 병리(病理)
2.3. MTD의 주요 변증 유형 및 감별
3. MTD의 통합 치료 프로토콜
3.1. 한약 치료 (Herbal Medicine)
3.2. 침구 치료 (Acupuncture and Moxibustion)
3.3. 현대 음성치료 기법의 한의학적 통합
3.4. 생활 관리 및 정서 조절 (양생법, 養生法)
제8장: 성대결절 및 폴립 (Vocal Fold Nodules and Polyps)
1. 성대결절/폴립의 현대의학적 이해 (원인, 증상, 치료)
1.1. 성대결절 (Vocal Fold Nodules)
1.2. 성대폴립 (Vocal Fold Polyp)
1.3. 성대결절과 성대폴립의 비교
2. 성대결절/폴립의 한의학적 병인병리 및 변증 유형
2.1. 성대결절/폴립의 주요 한의학적 병인(病因)
2.2. 성대결절/폴립의 주요 한의학적 병리(病理)
2.3. 성대결절/폴립의 주요 변증 유형 및 감별
3. 성대결절/폴립의 통합 치료 프로토콜
3.1. 치료 목표
3.2. 통합 치료 접근법
3.3. 한의학적 치료 세부 내용
3.5. 생활 관리 및 예방 (양생법, 養生法)
제9장: 연축성 발성장애 (Spasmodic Dysphonia, SD)
1. 연축성 발성장애의 현대의학적 이해
1.1. SD의 정의 및 특징
1.2. SD의 원인
1.3. SD의 유형
1.4. SD의 주요 증상
1.5. SD의 진단
1.6. SD의 치료
2. 연축성 발성장애의 한의학적 병인병리 및 변증 유형
2.1. SD의 주요 한의학적 병인(病因)
2.2. SD의 주요 한의학적 병리(病理)
2.3. SD의 주요 변증 유형 및 감별
3. SD의 통합 치료 및 관리
3.1. 치료 목표
3.2. 통합 치료 접근법
3.3. 최신 연구 동향 및 한의음성학적 접근의 가능성
제10장: 기타 음성 질환
1. 역류성 인후두염 (Laryngopharyngeal Reflux, LPR)의 한의음성학적 관리
1.1. LPR의 현대의학적 이해
1.2. LPR의 한의학적 병인병리 및 변증 유형
1.3. LPR의 한의음성학적 관리
2. 노인성 음성 (Presbyphonia / Presbylarynx)의 한의음성학적 관리
2.1. 노인성 음성의 현대의학적 이해
2.2. 노인성 음성의 한의학적 병인병리 및 변증 유형
2.3. 노인성 음성의 한의음성학적 관리
3. 기능성 음성 장애 (Functional Dysphonia)의 한의음성학적 관리
3.1. 변증 및 진단
3.2. 한의학적 관리
3.3. 생활 관리 및 예방
3.4. 현대 음성 치료와의 통합
4. 심인성 음성 장애 (Psychogenic Dysphonia)의 한의음성학적 관리
4.1. 변증 및 진단
4.2. 한의학적 관리
4.3. 생활 관리 및 예방
맺음말
후기: 소리의 길, 구도자의 길 (A Path of Voice, A Path of Seeking)
부록
부록 1: 주요 처방 일람표
부록 2: 음성 질환 다용 혈위(穴位)
부록 3: 한의사를 위한 실전 발성훈련 가이드
부록 4: 주요 증상 및 질환별 맞춤형 발성 훈련
부록 5: [심화 학습] 기(氣)와 기체 전달 물질 연구: 주요 참고 논문
부록 6 : 한의음성학적 음성장애지수 (KM-VHI) 설문지
부록 7: 정음보원을 위한 한의음성학적 자기 관리법
참고문헌 (References)
1. 한의학 이론, 진단 및 융합 연구 (Korean Medicine, Diagnosis & Integrative Research)
2. 현대 음성 과학 및 평가 (Modern Voice Science & Assessment)
3. 주요 음성 질환 및 통합 치료 (Major Voice Disorders & Integrative Treatment)
4. 분자생물학 및 융합 연구 (Molecular Biology & Integrative Research)
책 속으로
(p. 1) 머리말 중에서
목소리는 한 사람의 삶과 감정, 그리고 건강 상태를 담아내는 영혼의 지문과도 같습니다. 우리는 목소리를 통해 소통하고, 관계를 맺으며, 때로는 한 사람의 내면 깊은 곳의 변화를 감지하기도 합니다. ... 이 책 『한의음성학개론』은 그 오랜 고민에 대한 저의 대답이자, 새로운 가능성을 향한 제안입니다. 저는 한의학이 가진 장점, 즉 인체를 하나의 유기체로 보고 근본 원인을 찾아 다스리는 전인적 치료에, 현대 음성 과학이 밝혀낸 정밀한 발성 및 호흡 훈련 기법을 더할 때 비로소 완성도 높은 치료가 가능하다고 믿습니다.
(p. 15) 제2장 한의학적 인체관과 음성 중에서
한의음성학은 정체관념을 바탕으로 음성을 이해한다. 즉, 목소리는 단순히 후두(喉頭)라는 국소적인 발성기관만의 기능으로 생성되는 것이 아니라, 인체의 전반적인 생리·병리 상태가 반영된 복합적인 결과물로 본다. ... 예를 들어, 폐기가 허약하면 목소리가 작고 힘이 없으며, 신정이 부족하면 목소리가 깊이가 없고 쉽게 쉬며, 간기가 울결되면 목소리가 긴장되거나 막힌 듯하게 나올 수 있다.
(p. 52) 제3장 음성의 음향학적 특성 중에서
한의음성학은 ‘바른 소리’란 음향학적으로 아름다운 소리를 넘어, 비강 공명을 통해 산화질소(NO)와 같은 유익한 생체 분자의 생성을 극대화하여 스스로의 기혈을 소통시키고 장부 기능을 돕는 ‘생화학적 치유 행위’까지 포함하는 개념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이는 '정음보원(正音保元)'의 원리를 과학적으로 규명하고, 한의학적 발성 훈련의 효과를 입증하는 중요한 연구 방향이 될 것이다.
(p. 58) 제4장 한의학적 음성 진단 중에서
환자의 목소리 크기, 높낮이, 음색, 리듬, 힘, 변화 양상 등을 주의 깊게 듣고 분석한다. 목소리가 크고 우렁차면 실증(實證), 열증(熱證)에 속하는 경우가 많고, 작고 힘이 없으면 허증(虛證), 한증(寒證)에 속하는 경우가 많다. 급성으로 발생한 쉰 목소리는 실증, 만성적으로 지속되면 허증이나 허실협잡(虛實夾雜)인 경우가 많다.
(p. 91) 제7장 근긴장성 발성장애(MTD) 중에서
MTD의 한의학적 병인병리(病因病理)는 주로 정서적 요인(칠정내상, 七情內傷), 잘못된 음성 사용(노권과도, 勞倦過度), 그리고 이로 인한 기(氣)·혈(血)·진액(津液)의 부조화와 장부 기능의 실조로 요약될 수 있다. ... MTD의 핵심 병리는 후두 주변의 기체(氣滯) 및 근맥구련(筋脈拘攣, 근육과 경맥이 당기고 뭉침)이다. 이러한 국소적인 병리 변화는 전신적인 기전과 연관된다.
(p. 140, 부록: 한의사를 위한 실전 발성훈련 가이드 중에서)
개규성신 호흡법은 날숨 위주의 강한 호흡을 통해 비강(鼻腔)에 인위적인 진동을 일으켜 뇌의 고유 감각 기능을 활성화하고, 동시에 발성의 핵심 근육인 횡격막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전문 훈련법이다. ... 이 호흡법은 단전(丹田)을 단련하여 신기(腎氣)의 납기(納氣) 기능을 강화하고, 흉곽의 적극적인 움직임을 통해 폐기(肺氣)의 선발(宣發)을 촉진한다. 코는 폐의 구멍(肺之竅)이므로, 비강을 의도적으로 자극하는 것은 폐기를 직접적으로 소통시키고 두면부의 경락 순환을 활성화하여 머리를 맑게 하는 개규성신(開竅醒神)의 효과를 낳는다.
목소리는 단순한 소통의 도구를 넘어, 우리 몸과 마음의 상태를 비추는 거울입니다. 하지만 잦은 목의 불편함과 피로를 우리는 얼마나 깊이 이해하고 있을까요? 현대의 음성 치료는 눈에 보이는 구조에, 한의학은 보이지 않는 기운에 집중하며 때로 각자의 한계에 부딪히곤 했습니다.
MKM Lab의 한의음성학개론은 바로 이 지점에서 출발합니다. 이 책은 국내 최초로 수천 년 한의학의 지혜와 최첨단 음성 과학, 그리고 분자생물학을 융합하여 목소리 건강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기념비적인 저서입니다. 동의보감의 통찰이 어떻게 현대의 후두 내시경 소견과 연결되는지, 장부(臟腑)의 허실이 음향학적 분석(Jitter, Shimmer) 지표에 어떻게 반영되는지를 명쾌하게 풀어냅니다.
이 책의 가장 혁신적인 부분은 '기(氣)가 허하다'는 한의학적 진단을 '산화질소(NO), 황화수소(H₂S) 등 4대 기체 전달 물질의 조절 실패'라는 분자 수준의 언어로 증명해내는 데 있습니다. '정음보원(正音保元)'이라는 철학이 어떻게 우리 몸의 생화학적 변화를 이끌어내는지, 그 구체적인 기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론에 그치지 않고, 근긴장성 발성장애, 성대결절부터 연축성 발성장애에 이르기까지 주요 음성 질환에 대한 통합 치료 프로토콜을 제시합니다. 특히 저자가 직접 고안한 '개규성신(開竅醒神) 호흡법'을 비롯한 자가 관리법은 독자들에게 즉각적인 도움을 줄 것입니다.
이에 본서는 음성 질환의 근본적인 해법을 찾는 한의사와 학생들, 목소리의 한계에 부딪힌 음성 치료 전문가, 그리고 자신의 목소리를 되찾고 싶은 모든 분들께 든든한 길잡이가 되어 줄 것입니다.
목소리 너머에 있는 생명의 소리를 듣는 새로운 지혜, 한의음성학개론과 함께 '내 몸의 소리'를 되찾는 여정을 시작하시길 바랍니다.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