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금강경오가해설의 역강

6대 선사의 금강경 해설
비움과소통

2025년 04월 16일 출간

국내도서 : 2016년 06월 24일 출간

(개의 리뷰)
( 0%의 구매자)
eBook 상품 정보
파일 정보 PDF (62.99MB)
ISBN 9791160161625
쪽수 848쪽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교보eBook App 듣기(TTS) 불가능
TTS 란?
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DF 필기가능 (Android, iOS)
  • sam 무제한 이용가능
  • sam 프리미엄 이용가능

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금강경오가해설의 역강』은 저자인 야옹 스님이 선(禪)의 안목을 바탕으로 《금강경오가해설의》 한문 원문을 꼼꼼하게 번역하고, 역주까지 첨부해 세밀하게 해설을 가한 책이다. 특히 6대 선사의 안목을 담은 해설 법문은 물론 이를 다시 풀이하고 해석한 함허 선사의 설의 부분까지 토를 달아 독송하기 쉽게 편집하고 빠짐 없이 번역했다.
금강반야바라밀경 오가해 서설(序說)
조계 육조선사 서(序)
예장사문종경 제송강요 서(豫章沙門宗鏡提頌綱要序)
금강반야바라밀경 상(上)
규봉밀선사 소논찬용 병서(圭峯密禪師疎論纂要幷序)
야보도천
종경
규봉

상권
제1. 法會因由分[무엇이 법회인가]
제2. 善現起請分[善現하여 여쭙다]
제3. 大乘正宗[大乘의 핵심]
제4. 妙行無住分[行은 오묘하여 住함이 없다]
제5. 如理實見分[如如히 理와 事에 맞추어 보다]
제6. 正信稀有分[바른 믿음은 참으로 드물다]
제7. 無得無說分[증득함이 없어 설함도 없다]
제8. 依法出生分[법에 의지하여 일어난다]
제9. 一相無相分[一相도 본래 相이 없다]
제10. 莊嚴淨土分[정토의 장엄]
제11. 無爲福勝分[수승한 無爲의 복덕]
제12. 尊重正敎分[바르고 존중스런 가르침]
제13. 如法受持分[여법하게 수지하라]
제14. 離相寂滅分[상 여의니 적멸이라]

하권
제15. 持經功德分[말씀 지니는 공덕]
제16. 能淨業障分[능히 업장을 조촐케 한다]
제17. 究竟無我分[究竟은 무아라]
제18. 一體同觀分[한 몸 같은 줄 관하라]
제19. 法界通化分[법계에 두루 나투다]
제20. 離色離相分[色과 相을 여의다]
제21. 非說所說分[說할 法이 있는 說이 아니라]
제22. 無法可得分[證得할 법이 없다]
제23. 淨心行善分[마음 조촐한 것이 善이다]
제24. 福智無比分[복과 지혜에 견줄 것이 없다]
제25. 化無所化分[나투나 나툼이 없다]
제26. 法身非相分[법신은 相이 없다]
제27. 無斷無滅分[끊고 滅할 것도 없다]
제28. 不受不貪分[받지도 탐하지도 않다]
제29. 威儀寂靜分[위의가 그윽하고 고요하다]
제30. 一合理相分[이치와 事相이 둘이 아니다]
제31. 知見不生分[知見을 내지 않음]
제32. 應化非眞分[應化는 참이 아니다]
종경제송강요 후서(宗鏡提頌綱要後序)

부록
청량법안 선사의 금강경 찬송(淸凉大法眼禪師頌)
육조혜능 대사의 금강경 구결(六祖口訣)
함허득통선사의 금강경 결의(得通決疑)

○… 야옹 스님은 출가하여 강원에서 수학할 당시부터 평생동안 남달리 금강경을 수지독송하였고, 특히 冶父頌에 심취하여 오늘에 이르러서는 이 大作佛事로써 필생의 一大因緣을 회향하였으니, 그 한결같은 평생의 정진을 부러워할 따름이다.
- 관응觀應 스님(직지사 조실) 서문 중에서

○… 수보리야, 만약 보살이 항하의 모래수와 같은 세계에 가득찬 칠보를 가지고 보시하더라도 만약 또 어떤 사람은 일체법이 아가 없음을 알아서 인(忍)을 얻어 이루면 이 보살은 앞의 보살이 얻은 공덕보다 수승하리라.

(함허선사 설의) 布施不住於相을 前贊福等十方虛空하시고 知法無我하야 得成於忍을 今贊福勝河沙布施하시니 今此一言이 可以攝前住降等意니 所謂不貪不受가 蓋是住修降心之意也니라
布施하되 相에 住하지 않는 것을 앞에서는 그 복이 十方虛空과 같다고 稱讚하시고 法이 我가 없음을 알아서 忍을 成就한 것을 지금엔 福이 恒河沙 布施보다 수승하다고 찬탄하시니 지금의 一言이 앞의 ‘머물고 降伏받는’等의 뜻을 포함한 것이니라. 이른바 탐하지도 않고 받지도 않는다는 것은 대개 住하고 닦고, 마음을 降伏받는 뜻이니라.

(규봉선사) 論에 云有人이 起如是心호대 諸菩薩이 得出世智인댄 失彼福德과 及彼果報라할새 爲遮此故로 偈에 云得勝忍不失하야 鎰無垢果라하니라 無我者는 二種無我也니라
論에 이르되 어떤 사람이 이와 같은 마음을 일으키되 모든 菩薩이 出世智를 얻으면 저 福德과 그 果報를 잃어버린다 하니 이런 것을 막기 爲한 까닭으로 偈에 이르되 殊勝한 忍을 얻으면 잃음이 없어서 이 때문에 때가 없는(無垢) 果報를 얻는다고 하느니라. 無我라는 것은 두 가지(人無我, 法無我)의 無我니라.

(육조대사) 通達一切法하야 無能所心者를 是名爲忍이니 此人의 所得福德이 勝前七寶之福也니라
一切法을 通達하여 能所心이 없는 이를 이름하여 忍이 된다하니 이 사람의 얻는 바 福德은 앞의 七寶를 布施한 福보다 殊勝한 것이니라.


(야보선사) 耳聽如聾이요 口說如啞로다
귀로 들어도 귀머거리 같고
입으로 말하여도 벙어리와 같도다.

(설의) 知法無我하면 則彼我相이 泯이요 得成於忍하면 則能所情이 忘이니 能所情이 忘則無念智가 現하고 彼我相이 泯則平等理가 現이니라 到伊?時하야는 眼見耳聞에 分別不生이요 開口動舌에 分別不生이니 不生不生하면 何?如聾若啞리오 直如明鏡照物과 空谷應聲하야 熾然照應호대 而無照應하리니 所以로 道호대 常應諸根用호대 而不起用想이라 劫火가 燒海底하고 風鼓山相擊하야도 眞常寂滅樂은 涅槃相이 如是라하시니라

法이 我가 없음을 알면 곧 彼我相(너다 나다 하는 생각)이 없어짐이요, 忍을 얻어 成就하면 곧 能所의 情(주관과 객관의 생각)을 잊을지니 能所의 情이 없어지면 無念智가 나타나고 彼我相이 없어지면 平等의 이치가 나타남이니라. 이런 경지에 이르러서는 눈으로 보고 귀로 듣는 것에 分別이 나지 않음이요, 입을 열고 혀를 움직여도 分別이 나지 않음이니, 나지 않는 것까지도 나지 않으면 어찌 귀머거리 같고 벙어리와 같을 뿐이리오. 이는 곧 밝은 거울이 사물을 비춤과 같고 빈 골짜기가 소리에 應함과 같아서 熾然히 비추고 應하되 비추고 應한다함이 없으리니, 그러므로 말하되 항상 모든 根(六根)에 應하여 쓰되 그 쓴다는 생각을 일으키지 않음이라. 劫의 불이 바다밑까지 태우고 바람이 몰아쳐 산이 무너져 내리더라도 참답고 항상한 寂滅의 즐거움인 涅槃의 모습은 이와 같다 하시니라.

○… 身在海中休覓水하고 日行嶺上莫尋山이어다
鶯吟燕語가 皆相似하니 莫問前三與後三이어다

몸이 바다 가운데 있으면서 물을 찾지 말고
매일 산 위를 行하면서 산을 찾지 말라.
꾀꼬리 울음과 제비 지저귐이 서로 비슷하니
前三과 더불어 後三을 묻지 말지어다.
- 야보 선사 -

淸淨水中에 遊魚自迷요 赫赫日中에 盲者不睹라
常在於其中하야 經行及坐臥호대 而人이 自迷하야 向外空尋하나니
身在海中이라 何勞覓水며 日行山嶺이라 豈用尋山이리오
鶯與鶯吟이 聲莫二요 燕與燕語가 語一般이라
但知物物이 非他物하면 莫問千差與萬別이니라

淸淨한 물 가운데 노는 고기는 스스로 迷하고,
밝고 밝은 대낮에도 눈먼 자는 볼 수 없음이라.
항상 그 가운데 있으면서 움직이고 앉고 눕지만
사람이 스스로 迷하여 밖을 向하여 부질없이 찾으니,
몸이 바다 가운데 있음이라. 어찌 수고로이 물을 찾을 것이며,
날마다 산 고개를 오름이라, 어찌 산을 찾을 것인가.
꾀꼬리와 꾀꼬리 소리가 둘이 아니고
제비와 제비 지저귐이 한가지로다.
다만 物物이 다른 物件이 아님을 알면
천 가지 만 가지 差別을 묻지 않으리라.
- 함허 선사 -

<b>참선과 보살행이 하나 되는 금강경 마음공부!

부대사·육조혜능·야보·종밀·종경·함허선사 등
6대 선사의 금강경 해설과 법문을 원전으로 읽는다

『금강경 오가해 설의(金剛經五家解說誼)』는 구마라습(鳩摩羅什)이 번역한 『금강경』에 대한 주석서로서, 당나라 종밀(宗密) 스님의 찬요(纂要), 양나라 부대사(傅大士)의 찬(贊), 당나라 혜능(慧能) 대사의 구결(口訣), 송나라 야보(冶父) 대사의 송(頌), 송나라 종경(宗鏡) 스님의 제강(提綱) 등의 책을 가리킨다. 저자인 조선 초기의 함허득통(涵虛得通, 1376~1433) 선사는 이들 주석의 어려운 부분에 해석을 붙였는데, 이를 ‘설의’라고 하였다.</b>

『금강경오가해』 중 종밀 스님의 『찬요』는 인도 유식학파에 속한 무착(無着)의 18주설(十八住說)과 세친(世親) 보살의 27단의설(二十七斷疑說)을 계승하여 철저하게 논리적으로 주석을 한 것이다. 종밀 스님은 화엄종에 속한 고승이지만 선에도 밝았으며 선과 교가 하나임을 주장한 사람으로서, 그의 『찬요』는 『금강경』에 대한 인도의 전통적인 사상을 받아들여 중국의 화엄학과 선을 접속시킨 입장에 있었다.

그리고 부대사가 생존했던 중국의 남북조시대에는 대승불교의 공사상(空思想)을 노장학(老莊學)의 입장에서 해석하던 시대이다. 부대사의 『협송』은 그 시대의 선의 풍조를 풍기고 있으며, 선의 측면에서 『금강경』을 보는 데에 없어서는 안 될 문헌이다.

아울러 야보 선사의 『협주』는 송나라 때 선에 입각해서 『금강경』을 주석한 것이며, 종경 스님의 『제강』도 사상적 견지에서는 야보 선사의 저술과 같은 성격을 띠고 있다. 이 두 선지식의 『금강경』 풀이에서 특히 주목되는 점은 교학적인 색채가 사라지고 순전히 선적인 해석을 베풀고 있다는 점이다.

함허 선사는 『금강경』에 대한 역사적 흐름을 파악하게 하고 불교의 참다운 뜻이 일상생활에 직결되는 것임을 밝히고자, 『금강경오가해 설의』를 저술하였다. 이 책이 저술된 뒤로는 우리 나라의 『금강경』 유통이 이 책에 의해 주도되었다.

<b>이번에 발행된 『금강경오가해설의 역강(譯講)』은 저자인 야옹 스님이 선(禪)의 안목을 바탕으로 『금강경오가해설의(金剛經五家解說誼)』 한문 원문을 꼼꼼하게 번역하고, 역주(譯註)까지 첨부해 세밀하게 해설을 가한 명저이다. 특히 6대 선사의 안목을 담은 해설 법문은 물론 이를 다시 풀이하고 해석한 함허 선사의 설의(說誼) 부분까지 토를 달아 독송하기 쉽게 편집하고 빠짐 없이 번역까지 한 것은 기존 『금강경오가해설의』와는 다른 특징임을 밝혀둔다. 아울러 부록으로, 육조혜능 대사의 금강경 구결(六祖口訣), 청량법안 선사의 금강경 찬송(淸凉大法眼禪師頌), 함허득통선사의 금강경 결의(得通決疑)까지 원문에 토를 달아 완역한 것은 이 책이 금강경 해설서의 완결판임을 웅변하고 있다. 독자들은 기존의 가로쓰기와는 다른 세로쓰기 편집이 다소 생소할 수 있겠지만, 경전의 원문을 독송하고 바로바로 비교해서 뜻을 해독할 수 있는 최선의 방편임을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B>

이 책이 우주와 인간의 참된 근원이자 성품인 물건 아닌 ‘한 물건(一物)’을 깨달아 생사해탈하는 기연이 되기를 간절히 발원합니다.

작가정보

저자 함허득통涵虛得通 (1376~1433) 선사 (설의)는 조선 초기의 스님이다. 함허涵虛는 당호이고 득통得通은 법호이다. 1396년 21세 때 세상살이의 허무함을 느껴 관악산 의상암으로 출가하고 이듬해 회암사로 가서 무학왕사無學王師에게 가르침을 받았다. 이후 여러 곳을 다니며 정진하다가 다시 회암사로 돌아와 홀로 수행에 전념해 깨달음을 얻고 무학대사의 법을 이었다. 1406년 문경 대승사에서 반야경을 세 차례 강의 하였다. 1414년 황해도 자모산 연봉사에서 작은 거처를 마련하여 ‘함허당涵虛堂’이라 이름하고, ‘금강경오가해’를 강의하면서 풀이하였다. 이것이 뒷날 ‘설의說誼’라 하여 ‘금강경오가해’에 합쳐져 『금강경오가해설의』라는 제목을 가진 책이 되었다. 스님은 조선시대 억불정책으로 어려움이 많았던 불교계와 왕실 양쪽에서 신임을 받아 강의와 저술 활동을 활발하게 하였다. 1431년 희양산에 들어가 봉암사를 중수하고 그곳에서 입적하였다. 저서에 『원각경소圓覺輕疏』 『금강경오가해설의』 『현정론顯正論』 『반야참문般若懺文』 『금강경윤관金剛經輪關』 『선종영가집설의禪宗永嘉集說誼』 등이 있다.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Klover리뷰 안내
Klover(Kyobo-lover)는 교보를 애용해 주시는 고객님들이 남겨주신 평점과 감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교보문고의 리뷰 서비스입니다.
1.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평점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 운영 원칙 안내
Klover리뷰를 통한 리뷰를 작성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자유로운 의사 표현의 공간인 만큼 타인에 대한 배려를 부탁합니다. 일부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불편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에 해당하는 Klover 리뷰는 별도의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 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 입니다. 교보eBook 앱에서 도서 열람 후 문장 하이라이트 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신간 알림 안내
    금강경오가해설의 역강 웹툰 신간 알림이 신청되었습니다.
    신간 알림 안내
    금강경오가해설의 역강 웹툰 신간 알림이 취소되었습니다.
    리뷰작성
    •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최초1회)
    • 리워드 제외 상품 : 마이 > 라이브러리 > Klover리뷰 > 리워드 안내 참고
    • 콘텐츠 다운로드 또는 바로보기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
    감성 태그

    가장 와 닿는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해주세요.

    사진 첨부(선택) 0 / 5

    총 5MB 이하로 jpg,jpeg,png 파일만 업로드 가능합니다.

    신고/차단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신고 내용은 이용약관 및 정책에 의해 처리됩니다.

    허위 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이 글을 작성한 작성자의 모든 글은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문장수집 작성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eBook 문장수집은 웹에서 직접 타이핑 가능하나, 모바일 앱에서 도서를 열람하여 문장을 드래그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P.
    금강경오가해설의 역강
    6대 선사의 금강경 해설
    저자 모두보기
    낭독자 모두보기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프리미엄 이용권입니다.
    선물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
    sam 열람권 선물하기
    • 보유 권수 / 선물할 권수
      0권 / 1
    • 받는사람 이름
      받는사람 휴대전화
    • 구매한 이용권의 대한 잔여권수를 선물할 수 있습니다.
    • 열람권은 1인당 1권씩 선물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이 ‘미등록’ 상태일 경우에만 ‘열람권 선물내역’화면에서 선물취소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의 등록유효기간은 14일 입니다.
      (상대방이 기한내에 등록하지 않을 경우 소멸됩니다.)
    • 무제한 이용권일 경우 열람권 선물이 불가합니다.
    이 상품의 총서 전체보기
    네이버 책을 통해서 교보eBook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교보e캐시 1,000원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네이버 책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
    구글바이액션을 통해서 교보eBook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교보e캐시 1,000원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구글바이액션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