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대방광불화엄경 2

북랩

2025년 04월 14일 출간

국내도서 : 2025년 03월 14일 출간

(개의 리뷰)
( 0%의 구매자)
eBook 상품 정보
파일 정보 PDF (57.00MB)
ISBN 9791172245283
쪽수 636쪽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교보eBook App 듣기(TTS) 가능
TTS 란?
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DF 필기가능 (Android, iOS)
  • sam 무제한 이용가능
  • sam 프리미엄 이용가능

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이 책은 『대방광불화엄경』 2권으로서 원문의 21권부터 40권에 해당하는 내용, 즉 불법의 깊은 이치를 탐구하고 보살의 수행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가르침을 담고 있다.
이 책은 십무진장품(十無盡藏品)에서부터 시작하여, 보살이 갖추어야 할 다함없는 믿음, 계율, 부끄러움, 책망, 들음, 보시, 지혜, 기억, 지키는 것, 말하는 것의 장(藏)을 설명한다. 이를 통해 수행자는 자신의 신행을 점검하고 수행을 더욱 정진할 수 있도록 이끈다.
이어 십회향품(十迴向品)에서는 보살이 중생을 위해 행하는 회향의 실천을 다루고, 십지품(十地品)에서는 보살 수행의 10단계를 자세히 설명한다. 특히, 제1환희지(歡喜地)부터 제10법운지(法雲地)에 이르기까지, 보살이 수행을 통해 단계적으로 깨달음을 이루어가는 과정이 체계적으로 서술되어 있다.
이 책은 단순한 교리를 넘어, 보살로서 실천해야 할 가르침을 깊이 있게 전한다. 반야(般若)의 지혜를 통해 실상을 깨닫고, 자비(慈悲)의 실천을 통해 중생을 제도하는 것이 이 경전의 핵심 메시지다. 또한, 세간과 출세간의 경계를 넘어 진정한 깨달음의 길로 나아가기 위한 방편들을 상세히 소개하고 있다.
이 책은 보살의 수행 길을 걷는 모든 이들에게 필독서가 될 것이며, 부처님의 가르침을 체계적으로 배우고 실천할 수 있도록 돕는 귀중한 안내서이다. 『대방광불화엄경』 2권을 통해, 보살이 되어가는 여정에서 한층 더 깊은 깨달음과 실천의 지혜를 얻기를 바란다.
대방광불화엄경 제21권
22. 십무진장품十無盡藏品
1) 다함이 없는 믿음의 장
2) 다함이 없는 계율의 장
3) 다함이 없는 부끄러움의 장
4) 다함이 없는 책망의 장
5) 다함이 없는 들음의 장
6) 다함이 없는 보시의 장
7) 다함이 없는 지혜의 장
8) 다함이 없는 기억의 장
9) 다함이 없는 지니어 지키는 장
10) 다함이 없이 말하는 장

대방광불화엄경 제22권
23. 승도솔천궁품昇兜率天宮品

대방광불화엄경 제23권
24. 도솔궁중게찬품兜率天宮偈讚品
25. 십회향품十迴向品 (1)
제1 회향

대방광불화엄경 제24권
25. 십회향품十迴向品 (2)
제2 회향
제3 회향
제4 회향

대방광불화엄경 제25권
25. 십회향품十迴向品 (3)
제5 회향
제6 회향

대방광불화엄경 제26권
25. 십회향품十迴向品 (4)

대방광불화엄경 제27권
25. 십회향품十迴向品 (5)

대방광불화엄경 제28권
25. 십회향품十迴向品 (6)

대방광불화엄경 제29권
25. 십회향품十迴向品 (7)
제7 회향

대방광불화엄경 제30권
25. 십회향품十迴向品 (8)
제8 회향

대방광불화엄경 제31권
25. 십회향품十迴向品 (9)
제9 회향

대방광불화엄경 제32권
25. 십회향품十迴向品 (10)
제10 회향

대방광불화엄경 제33권
25. 십회향품十迴向品 (11)

대방광불화엄경 제34권
26. 십지품十地品 (1)
제1 환희지歡喜地

대방광불화엄경 제35권
26. 십지품十地品 (2)
제2 이구지離垢地
제3 발광지發光地

대방광불화엄경 제36권
26. 십지품十地品 (3)
제4 염혜지焰慧地
제5 난승지難勝地

대방광불화엄경 제37권
26. 십지품十地品 (4)
제6 현전지現前地
제7 원행지遠行地

대방광불화엄경 제38권
26. 십지품十地品 (5)
제8 부동지不動地
제9 선혜지善慧地

대방광불화엄경 제39권
26. 십지품十地品 (6)
제10 법운지法雲地

대방광불화엄경 제40권
27. 십정품十定品 (1)
제1 두루 한 광명이 큰 삼매普光大三昧
제2 빼어난 광명의 큰 삼매妙光大三昧

회향하고 모든 중생이 끝까지 즐거움에 이르게 하고 이익이 되는 즐거움과 이익을 받지 않은 즐거움과 해탈의 즐거움과 의지하지 않은 즐거움과 움직임 없는 즐거움과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즐거움과 버리지도 않고 물러서지도 않은 즐거움과 없어지지 않은 즐거움과 모든 지혜의 즐거움을 얻게 할 것이다.’라고 합니다.”
“차례를 좇아(復) 생각하기를 ‘내가 마땅히 모든 중생과 더불어 조복하고 다스리는 스승이 되고 병사와 신하의 주인이 되어 큰 지혜의 횃불을 잡고 편안한 길을 보여 험하고 어려움을 벗어나 선근의 방편으로 진실한 뜻을 알게 할 것이며, 또 나고 죽은 바다에서 모든 지혜의 섬세하고 능숙한 선근의 뱃사공이 되어 중생들을 저 언덕으로 건너게 하여 이르게 할 것이다.’라고 합니다.”
“불자여! 보살마하살이 모든 선근으로 이와 같음에 회향하는 것이니, 이른바 마땅히 모든 중생을 구하고 보호함을 따라 생사에서 뛰쳐나오게 하고 일체 모든 부처님을 공손히 섬기어 공양하게 하고 걸림이나 막힘없는 모든 지혜와 지혜를 얻게 하며, 많은 마를 버리고 벗어나 나쁜 지식을 멀리하게 하고 모든 보살과 선지식과 친근하게 하고 모든 허물과 잘못을 없애고 청정한 업을 성취하게 하고 보살의 광대한 행과 원과 헤아릴 수 없는 선근을 온전하게 갖추도록 하려는 것입니다.”
佛子 菩薩摩訶薩復作是念 我當以善根如是迴向 令一切衆生得究竟樂 利益樂 不 受樂 寂靜樂 無依樂 無動樂 無量樂 不捨不退樂 不滅樂 一切智樂 復作是念 我當與一切衆生作調御師 作主兵臣 執大智炬 示安隱道 令離險難 以善方便俾知實義 又於生死海 作一切智善巧船師 度諸衆生 使到彼岸 佛子 菩薩摩訶薩以諸善根如是迴向 所謂 隨宜救護一切衆生 令出生死 承事供養一切諸佛 得無障礙一切智智 捨離衆魔 遠惡知識 親近一切菩薩善友 滅諸過罪 成就淨業 具足菩薩廣大行願 無量善根
“불자여! 보살마하살이 선근으로 바르게 회향하고 모두 이와 같은 생각을 합니다. ‘사천하의 중생이 많은 까닭으로 많은 해가 뜨는 것이 아니며, 단지 하나의 해가 떠서 모든 중생을 남김없이 두루 비추는 것이다. 또 모든 중생이 자신의 광명으로 인하여 낮과 밤을 알고 다니며 자세히 살펴서 모든 업을 짓고 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모든 것이 저 해가 뜨므로 말미암아 이 같은 일을 이루고 분별하는 것이다.’라고 합니다.”

100쪽


“불자여! 보살마하살에게 와서 머리를 구걸하는 이들에게 머리를 보시할 때 최승지 보살이나 대장부 가시국왕 등 모든 대보살이 행한 것과 같이 보시하니, 이는 보살이 일체 법에 들어가 가장 뛰어난 지혜의 머리를 성취하려는 것이며, 대 보리를 증득하여 중생을 구원하는 머리를 성취하려는 것이며, 일체 법을 보는 가장 제일의 머리를 온전하게 갖추려는 것이며, 바르게 보는 일과 청정한 지혜의 머리를 얻으려는 것이며, 막힘이나 걸림이 없는 머리를 성취하려는 것이며, 제일지(第一地)의 머리를 증득하려는 것이며, 세간의 가장 뛰어난 지혜의 머리를 구하려는 것이며, 삼계에서 정수리를 볼 수 없는 청정한 지혜의 머리를 이루려고 하는 것이며, 두루 시방에 이르는 지혜 왕의 머리를 나타내 보임을 얻으려는 것이며, 일체 모든 법으로 깨트리고 무너뜨릴 수 없는 자재한 머리를 만족하게 하려는 것입니다.”

210쪽


중생에게 회향하지만 잠시 잠깐이라도 쉼이 없습니다.”
“보살이 이때 모든 선근으로 이와 같음에 회향하니, 이른바 모든 중생이 모든 여래로부터 사랑과 좋은 견해를 얻어 법의 참된 성품인 평등하고 평등하기에 집착하거나 취함이 없이 원만하고 청정하기를 원하며, 모든 중생이 모든 여래로부터 깊은 사랑과 좋아함을 얻어 원만하게 공양하기를 원하며, 모든 중생이 일체 모든 번뇌가 없으며, 깊은 사랑으로 좋아하는 청정한 부처님 세계에 왕생하기를 원하며, 모든 중생이 모든 부처님으로부터 사랑받고 좋아하는 법을 보길 원하며, 모든 중생이 모든 보살로부터 항상 즐거이 사랑받고 좋아하는 행을 보호해 지니길 원하며, 모든 중생이 선지식으로부터 사랑스럽고 좋은 눈을 얻어 막힘이나 걸림 없이 보기를 원하며, 모든 중생이 사랑하고 좋아하는 모든 물건을 볼 때 어기거나 거슬림이 없기를 원합니다.”
“모든 중생이 사랑하고 좋아하는 모든 법을 증득하여 부지런히 보호해 지니길 원하며, 모든 중생이 모든 부처님이 사랑하고 좋아하는 법 가운데서 청정한 광명을 얻길 원하며, 모든 중생이 모든 보살이 일체를 능히 버리는 사랑스럽고 좋은 마음을 닦길 원하며, 모든 중생이 두려워할 것이 없음을 얻어 모든 사랑스럽고 좋아하는 법을 설하길 원하며, 모든 중생이 모든 보살이 매우 사랑하고 좋아하는 다라니를 얻길 원합니다.”

300쪽


이때 해탈월 보살이 거듭 그 뜻을 펴고자 하여 게송으로 말했다.
爾時 解脫月菩薩欲重宣其義而說頌曰
願說最安隱 가장 편안한
菩薩無上行 보살의 위 없는 행을 설해주시길 소원합니다.
分別於諸地 모든 자리를 분별하고
智淨成正覺 지혜를 청정히 해서 바른 깨우침을 이루겠습니다.
此衆無諸垢 이 대중은 모든 허물이나 잘못이 없으며
志解悉明潔 본심을 이해하고 남김없이 밝고 깨끗하며
承事無量佛 헤아릴 수 없이 많은 부처님을 받들어 섬기니
能知此地義 능히 이 자리의 바른 이치를 알 것입니다.
그때 금강장 보살이 말하기를 “불자여! 비록 이 대중들의 모임이 걱정과 근심 따위의 생각을 선근으로 청정하게 하고 어리석음과 못남을 벗어나 버릴 뿐만 아니라 깊고 깊은 법에 이르기까지 다른 가르침을 따르지 않지만, 그 나머지 이해가 많이 부족한 중생들이 사유로는 알 수 없는 어렵고 깊고 깊은 일을 들으면 많은 의심과 미혹을 내어 긴 밤을 두고두고 모든 괴로움을 받을 것입니다. 내가 이러한 이들을 위해 불쌍히 여기는 마음 때문에 묵묵히 있던 것입니다.”
爾時 金剛藏菩薩言 佛子 雖此衆集善淨思念 捨離愚癡及以疑惑 於甚深法不隨他敎 然有其餘劣解衆生 聞此甚深難思議事 多生疑惑 於長夜中受諸衰惱 我愍此等 是故黙然

410쪽


모든 법이 모양이나 상태가 없는 까닭으로 평등하며, 체가 없는 까닭으로 평등하며, 생함이 없는 까닭으로 평등하며, 이루어짐이 없는 까닭으로 평등하며, 본래 청정한 까닭으로 평등하며, 장난 같은 논란거리가 없는 까닭으로 평등하며, 취하고 버림이 없는 까닭으로 평등하며, 적정한 까닭으로 평등하며, 허깨비 같고 꿈과 같고 그림자 같고 메아리 같고 물 가운데 달과 같고 거울 가운데 형상과 같고 불꽃과 같고 변화와 같은 까닭으로 평등하며, 있음과 없음이 둘이 없는 까닭으로 평등하다.”
“보살이 이와 같은 일체 법의 자성이 청정함을 자세히 살펴보면서 거스르지 않고 따르며, 어기는 일 없기에 제6 현전지에 들어가 밝고 이로운 거스르지 않고 따름은 얻었지만, 무생법인은 아직 얻지 못했다.”
爾時 金剛藏菩薩告解脫月菩薩言 佛子 菩薩摩訶薩已具足第五地 欲入諸六現前地 當觀察十平等法 何等爲十 所謂 一切法無相故平等 無體故平等 無生故平等 無成故平等 本來淸淨故平等 無戲論故平等 無取捨故平等 寂靜故平等 如幻 如夢 如影 如響 如水中月 如鏡中像 如焰 如化故平等 有 無不二故平等 菩薩如是觀一切法自性淸淨 隨順無違 得入第六現前地 得明利隨順忍 未得無生法忍
“불자여! 이 보살마하살이 이와 같음을 살펴보고는 차례를 좇아(復) 크게 가엾이 여기는 마음을 으뜸으로 삼고 크게 가엾이 여기는 마음이 거듭 더하여지고 크게 가엾이 여기는 마음으로 만족하고 세간의 나고 없어짐을 자세히 보고 이러한 생각을 하니, ‘세간의 생을 받음은 모두 나에 대한 집착으로 말미암은 것이니, 만일 이 집착을 벗어나면 곧 날 곳이 없다.’라고 한다.”
“차례를 따라(復) 생각하기를 ‘범부는 지혜가 없기에 나에 집착해서 항상 있음과 없음을 구하며, 바르게 사유하지 않고 망령된 생각을 일으켜서 요사스럽고 바르지 못한 도를 행하므로 죄가 됨을 행하고 복이 됨을 행하고 움직이지 않는 행을 모아 쌓고 거듭 더하고 늘리며, 모든 행 가운데 마음에 종자를 심어 번뇌(有漏)도 있고 취함도 있으며, 차례를 좇아 후에 있을 생 및 늙고 죽음을 일으키니, 이른바 업은 밭이 되고 아는 것(識)은 종자가 되어 언제나 무명의 어둠에 덮이고 사랑의 물로 윤택함으로 삼아 나라는 오만으로 물을 대고 소견의 그물이 더해지고 늘어나 이름과 18계의 싹이 난다.”

500쪽


三 餘水入中皆失本名 四 普同一味 五 無量珍寶 六 無能至底 七 廣大無量 八 大身所居 九 潮不過限 十 普受大雨 無有盈溢 菩薩行亦復如是 以十相故 名菩薩行 不可移奪 何等爲十 所謂歡喜地 出生大願漸次深故 離垢地 不受一切破戒屍故 發光地 捨離世間假名字故 焰慧地 與佛功德同一味故 難勝地 出生無量方便神通 世間所作衆珍寶故 現前地 觀察緣生甚深理故 遠行地 廣大覺慧善觀察故 不動地 示現廣大莊嚴事故 善慧地 得深解脫行於世間 如實而知不過限故 法雲地 能受一切諸佛如來大法明雨無厭足故 佛子 譬如大摩尼珠有十種性出過衆寶 何等爲十 一者從大海出 二者巧匠治理 三者圓滿無缺 四者淸淨離垢 五者內外明徹 六者善巧鑽芽 七者貫以寶縷 八者置在琉璃高幢之上 九者普放一切種種光明 十者能隨王意雨衆寶物 如衆生心充滿其願 佛子 當知菩薩亦復如是 有十種事出過衆聖 何等爲十 一者發一切智心 二者持戒頭陀 正行明淨 三者諸禪三昧 圓滿無缺 四者道行淸白 離諸垢穢 五者方便神通 內外明徹 六者緣起智慧 善能鑽芽 七者貫以種種方便智縷 八者置於自在高幢之上 九者觀衆生行 放聞持光 十者受佛智職 墮在佛數 能爲衆生廣作佛事
“불자여! 이 일체 종과 일체 지혜의 공덕을 모으는 보살행의 법문 품이란, 그와 같은 모든 중생이 선근을 심지 않으면 얻어들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佛子 此集一切種 一切智功德菩薩行法門品 若諸衆生不種善根不可得聞
해탈월 보살이 말했다.
“이 법문을 들으면 얼만큼의 복을 얻습니까?”
解脫月菩薩言 聞此法門 得幾所福

600쪽

작가정보

저자(글) 일지 이건표

1963년 충북 증평에서 태어났다. 1983년 출가하여 만행萬行을 하던 중 1991년 선사禪師 일휴一休 스님을 만나 3년간 시봉, 정진해 수능엄경을 사사받았다. 정진 수행하는 동안 수능엄경 번역에 힘썼다. 2006년부터 집필활동을 했으며 저서로는 『육십갑자를 펼쳐 보게 팔자가 보인다네』, 『사상론』, 『천운해제天運解題』, 『주역 64괘 해제』, 『수능엄경』, 『병신하니 등신 하네』, 『금강혜심론』, 『이와 같이(如是): 금강혜심론 증보(金剛慧心論 增補), 벽암록 본칙 설해(碧巖錄 本則 說解)』이 있다. 지금은 시발산방始發山房에서 구도에 전념하고 있다.

홈페이지: https://천운해제.com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Klover리뷰 안내
Klover(Kyobo-lover)는 교보를 애용해 주시는 고객님들이 남겨주신 평점과 감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교보문고의 리뷰 서비스입니다.
1.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평점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 운영 원칙 안내
Klover리뷰를 통한 리뷰를 작성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자유로운 의사 표현의 공간인 만큼 타인에 대한 배려를 부탁합니다. 일부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불편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에 해당하는 Klover 리뷰는 별도의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 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 입니다. 교보eBook 앱에서 도서 열람 후 문장 하이라이트 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신간 알림 안내
    대방광불화엄경 2 웹툰 신간 알림이 신청되었습니다.
    신간 알림 안내
    대방광불화엄경 2 웹툰 신간 알림이 취소되었습니다.
    리뷰작성
    •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최초1회)
    • 리워드 제외 상품 : 마이 > 라이브러리 > Klover리뷰 > 리워드 안내 참고
    • 콘텐츠 다운로드 또는 바로보기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
    감성 태그

    가장 와 닿는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해주세요.

    사진 첨부(선택) 0 / 5

    총 5MB 이하로 jpg,jpeg,png 파일만 업로드 가능합니다.

    신고/차단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신고 내용은 이용약관 및 정책에 의해 처리됩니다.

    허위 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이 글을 작성한 작성자의 모든 글은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문장수집 작성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eBook 문장수집은 웹에서 직접 타이핑 가능하나, 모바일 앱에서 도서를 열람하여 문장을 드래그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P.
    대방광불화엄경 2
    저자 모두보기
    낭독자 모두보기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프리미엄 이용권입니다.
    선물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
    sam 열람권 선물하기
    • 보유 권수 / 선물할 권수
      0권 / 1
    • 받는사람 이름
      받는사람 휴대전화
    • 구매한 이용권의 대한 잔여권수를 선물할 수 있습니다.
    • 열람권은 1인당 1권씩 선물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이 ‘미등록’ 상태일 경우에만 ‘열람권 선물내역’화면에서 선물취소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의 등록유효기간은 14일 입니다.
      (상대방이 기한내에 등록하지 않을 경우 소멸됩니다.)
    • 무제한 이용권일 경우 열람권 선물이 불가합니다.
    이 상품의 총서 전체보기
    네이버 책을 통해서 교보eBook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교보e캐시 1,000원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네이버 책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
    구글바이액션을 통해서 교보eBook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교보e캐시 1,000원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구글바이액션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