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쁨나라 보는 경
2025년 03월 01일 출간
국내도서 : 2025년 02월 01일 출간
- eBook 상품 정보
- 파일 정보 PDF (37.96MB)
- ISBN 9791187305545
- 쪽수 350쪽
-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
교보eBook App
듣기(TTS) 가능
TTS 란?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DF 필기가능 (Android, iOS)

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극락 9품은 어떻게 해야 갈 수 있는가?
불교 사상가 서길수가 쉬운 우리말로 옮긴
기쁨나라와 기쁨나라 가는 법에 대한 고갱이
『기쁨나라 보는 경』은 『관무량수경』을 우리말로 옮긴 것으로 기쁨나라 뿌리 경전(소의경전) 3가지 가운데 하나이다. 붇다시대 가장 큰 나라였던 마가다 나라 왕비가 괴로운 사하(사바)세계를 벗어나고 싶다고 할 때 붇다가 안내한 곳이 바로 기쁨나라이고, 이어서 기쁨나라를 가는 16가지 방법을 전해 준다. 16가지 가운데 13가지는 ‘보는 법(관법)’을 닦아 싸마디를 얻는 방법이고, 나머지 3가지는 범부들이 갈 수 있는 방법을 9단계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이 경 2편에는 기쁨나라에 관한 주요 곁뿌리 경전(방의경전)을 실었는데, ①『바로 붇다 보는 싸마디 경(반주삼매경)』, ② 『대불정수능엄경』, ③ 『꽃으로 꾸민 붇다 경(화엄경)』 ④ 참법 연꽃 경(법화경) 같은 곁뿌리 4경과 ⑤ 곁뿌리 1론인 『기쁨나라경 강론(무량수경 우바데사)』을 우리말로 옮겨 실었다.
이 경전은 일생 동안 역사를 연구하며 닦은 한문 실력과 7개 나라말을 배우고 산스크리트와 빨리어까지 익힌 옮긴이가 스스로 ‘기쁨나라’에 갈 목적으로 수행하면서 한 글자 한 글자 온 힘을 다해 옮겼다.
『기쁨나라 보는 경(觀無量壽經)』과 곁뿌리 4경 1론에 관한 풀이
1편 『기쁨나라 보는 경(觀無量壽經)』
Ⅰ. 마가다 나라 왕궁의 슬픈 이야기와 기쁨나라(極樂)
1. 붇다 모임에 참석한 제자와 보디쌑바들
2. 가르침 인연 : 아버지 임금과 어머니를 가둔 왕
3. 괴로움을 벗어나는 길, 기쁨나라(極樂)
Ⅱ. 생각하여 보아(想觀) 기쁨나라(極樂) 가는 길
1. 기쁨나라 해를 생각하고 본다(日想觀)
2. 기쁨나라 물을 생각하고 본다(水想觀)
3. 기쁨나라 땅을 생각하고 본다(地想觀)
4. 기쁨나라 나무를 생각하고 본다(樹想觀)
5. 기쁨나라 연못을 생각하고 본다(池想觀)
6. 기쁨나라 다락집을 생각하고 본다(樓想觀)
7. 기쁨나라 꽃자리를 생각하고 본다(花座想觀)
8. 기쁨나라 붇다의 모습을 생각하고 본다(佛像想觀)
9. 기쁨나라 아미따바 붇다를 생각하고 본다(無量壽佛想觀)
10. 기쁨나라 소리 보는 보디쌑바 모습을 본다(觀世音菩薩相觀)
11. 기쁨나라 큰 힘 이룬 보디쌑바 모습을 본다(大勢至菩薩相觀)
12. 기쁨나라에 스스로 나는 것을 생각하고 본다(普想觀)
13. 기쁨나라 아미따바 붇다와 두 보디쌑바를 함께 생각하고 본다(雜想觀)
Ⅲ. 기쁨나라(極樂) 9가지 품에 가는 길
1. 상품 상(上品上)에서 나는 사람
2. 상품 중(上品中)에서 나는 사람
3. 상품 하(上品下)에서 나는 사람
4. 중품 상(中品上)에서 나는 사람
5. 중품 중(中品中)에서 나는 사람
6. 중품 하(中品下)에서 나는 사람
7. 하품 상(下品上)에서 나는 사람
8. 하품 중(下品中)에서 나는 사람
9. 하품 하(下品下)에서 나는 사람
Ⅳ. 마무리
2편 곁뿌리 4경 1론
Ⅰ. 『바로 붇다 보는 싸마디 경(般舟三昧經)』
1. 「묻는 품(問事品)」
2. 「닦는 품(修行品)」
Ⅱ. 『 대불정수능엄경』 5권
「큰 힘 이룬 보디쌑바(大勢至菩薩)의 염불로 깨달음(念佛圓通)」
Ⅲ. 『크넓은 꽃으로 꾸민 붇다 경(大方廣佛華嚴經)』
「두루 어진 보디쌑바의 10가지 바램 품(普賢行願品)」
Ⅳ. 『참법 연꽃 경(妙法蓮華經)』과 아미따바 붇다(3품)
1. 3권 7장 「화성에 비유하는 품(化城譬喩品)」
2. 6권 23장 「약임금 보디쌑바 이야기 품(藥王菩薩本事品)」
3. 7권 25장 「소리 보는 보디쌑바 너른 문 품(觀世音菩薩普門品)」
Ⅴ. 곁뿌리 1론
『기쁨나라경 강론(無量壽經講論)과 기쁨나라 가기 바라는 게송(願生偈)』
1. 게송(偈頌)
2. 강론(講論)
이번 기쁨나라 3경을 옮기면서 3경의 이름을 한문으로 옮길 때 지은 그대로 쓰는 것보다 경전 안에 붇다가 이미 지어 주신 이름을 존중하고, 산스크리트 원문이 있는 것은 산스크리트 경 이름도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알맞은 경 이름을 지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아미따경』은 경 안에 이미 있는 『모든 붇다가 보살피는 경(一切諸佛所護念經)』을 반영해 『모든 붇다가 보살피는 아미따경』이라 했고, 『무량수경』은 산스크리트 본을 바탕으로 『기쁨나라 경(Sukhā-vati vyūha sūtras)』이라고 옮겼다.
p.28
아자따사뜨루(Ajātaśatru, Ajātasattu, 阿闍世): 붇다가 가르침을 펼 때 마가다국은 빔비싸라(Bimbisāra, 頻婆娑羅)왕과 아들 아자따사뜨루가 지배했으며, 『기쁨나라 보는 경(觀無量壽經)』에는 빔비싸라 왕의 왕비인 바이데히(Vaidehī, Vedehī, 韋提希) 부인의 이야기가 나온 곳으로도 유명하다. 아자따(Ajāta)는 아직 태어나지 않은(unborn, not yet born)이란 뜻이고, 사뜨루(śatru)는 무너뜨리는 사람(overthrower), 원수(an enemy), 적(foe), 경쟁자(rival), 적군의 왕(a hostile king)이라는 뜻이니 ‘아직 태어나지 않은 원수’라고 옮길 수 있다.
p.85
아시띠(aśīty)는 80을 뜻하고, 아누뱐자나니(anuvyañjanāni)는 아누(anu) + 뱐자나(vyañjana)의 복수형이다. 아누(anu)는 여러 가지로 쓰이지만, 여기처럼 이름씨 앞가지, 특히 어찌씨 꼴 겹씨를 만들 때는(When prefixed to nouns, especially in adverbial compounds), ~에 따라서(according to), 몇몇(severally), 각각(each by each), 순서대로(orderly) 같은 뜻이 있고, 뱐자나(vyañjana)는 비유적ㆍ화려한(figurative) 품위(style)라는 뜻이다.
p.140
중품 중(中品中)에 난다는 것은 어떤 중생이 하루 밤낮 8가지 계를 지니고, 하루 밤낮 사미계를 지니고, 하루 밤낮 구족계를 지녀 몸가짐에 흠이 없는 경우로, 이 공덕을 기쁨나라 가서 나는 데 회향하는 것이다. 계의 향이 몸에 밴 닦는 사람은 목숨이 다할 때 아미따바 붇다와 여러 대중이 황금빛을 내며 7가지 보석 연꽃을 가지고 닦는 사람 앞에 이른다.
p.194
바드라 빨(Bhadra-pāl)이여, 이처럼 보디쌑바나 스라마나(沙門)나 재가신도가 서녘 아미따 붇다 나라에 관해 들으면, 반드시 그 나라 붇다를 염하고 계를 어기지 말아야 한다. 한 마음(一心)으로 하루 밤낮이나 7일 밤낮을 염(念)하면, 7일이 지난 뒤 아미따바 붇다를 볼 것이며, 깨어 있을 때 보지 못한다면 꿈속에서 볼 것이다. 비유하면, 사람이 꿈속에서 보는 것처럼 밤인지 낮인지 알지 못하고 안인지 밖인지도 알지 못하며, 어둠 속에 있어도 보지 못하는 것도 아니고 막혀 있어 장벽이 있다고 보지 못하는 것도 아니다.
p.237
학자들에 의해 산스크리트와 빨리어로 된 문헌이 발굴되고 연구되면서 비로소 1,500년 전 한자로 옮긴 본디 소리가 밝혀지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불타ㆍ불ㆍ부텨ㆍ붓다ㆍ붇다 같은 갖가지 바뀐 소리들의 본디 소리가 붇다(Buddha)라는 것도 밝혀졌다.
p.260
작가정보
저자(글) 서길수
단국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서경대학교에서 30년 넘게 경제사를 강의하고, ‘고구리(高句麗)연구회’를 창립하여 고구리사 연구에 힘썼으며, 세계에스페란토협회 임원을 맡아 140개국을 여행하였다.
『고구리 축성법 연구』, 『세계 속의 고리(高句麗) - 막북(몽골) 초원에서 로마까지』, 『백두산 국경 연구』,『동북공정백서』, 『아시아의 진주 알타이』, 『시베리아 횡단열차』와 같은 30권의 책, 「공자의 경제사상」,「이자사 연구」 같은 경제사 논문 22편, 「평양지역 고분벽화의 분포 현황과 보존 방향」 같은 고구리사 논문 80여 편을 썼다.
1983년 불교에 입문하여, 1990년부터 ‘늘 놓치지 않고 보는’ 공부를 하다가, 2009년 정년퇴직하자 모든 것을 내려놓고 강원도 산사에 들어가 3년간 산문을 나오지 않고 관법과 염불 수행을 했다. 2012년 하산하여 현재 ‘맑은나라불교연구소’를 세워 계속 닦아 나가며, 틈나는 대로 정토 관련 집필을 하고, 불교 강좌를 하고 있다.
이메일: kori-koguri@naver.com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