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시선
2025년 02월 07일 출간
- eBook 상품 정보
- 파일 정보 PDF (9.04MB)
- ISBN 9791193990230
- 쪽수 1464쪽
-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
교보eBook App
듣기(TTS) 불가능
TTS 란?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DF 필기가능 (Android, iOS)

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2
신라 시대와 통일 신라 시대의 시문학/나종혁
49
신라 시대 고대시 30수
89
동경(東京)/작자 미상
91
안압지 주령구 명문(雁鴨池酒令具 銘文)/작자 미상
94
남암투게(南庵投偈)/어린 처녀(少娘子)
98
성간택지가(聖簡擇地歌)/악신(岳神)
101
울주 천전리 각석 명문(蔚州川前里刻石 銘文)/갈문왕(葛文王) 김입종(金立宗)
104
임신서기석 이인 병서기(壬申誓記石 二人幷誓記)/신라인 학도 2인(二人)
112
신라 진흥왕 순수비 북한산비(新羅 眞興王巡狩碑 北漢山碑)/진흥왕(眞興王)
115
송사다함가(送斯多含歌)/미실
120
청조가(靑鳥歌)/김사다함(金斯多含)
124
신라 진흥왕 순수비 황초령비(新羅 眞興王巡守碑 黃草嶺碑)/진흥왕(眞興王)
130
서동요(薯童謠)/서동(薯童)
135
비형랑 주사(鼻荊郞 呪辭)/작자 미상
138
혜성가(彗星歌)/융천(融天)
141
신라승 게송(新羅僧 偈頌)/신라승
145
태을산인 2구(太乙山人路次雲際寺 二句)/박앙(朴昻)
148
풍요(風謠)/양지(良志) 스님
152
지귀 주사(志鬼 呪辭)/모(某) 술사(術師)
155
치당태평송(致唐太平頌)/진덕왕(眞德王)
158
인심(仁心)은 터가 되고/설총(薛聰)
163
몰부가(沒斧歌)/고승(高僧) 원효(元曉)
168
대승기신론소 게송(大乘起信論疏 偈頌)/고승(高僧) 원효(元曉)
170
미타증성가(彌陀證性歌)―제1게송/고승(高僧) 원효(元曉)
172
미타증성가(彌陀證性歌)―제2게송/고승(高僧) 원효(元曉)
175
미타증성가(彌陀證性歌)―제3게송/고승(高僧) 원효(元曉)
178
오도송(悟道頌)/고승(高僧) 원효(元曉)
180
법계도(法界圖)/고승(高僧) 의상(義湘)
183
오관석(五觀釋)/표훈(表訓)
189
반속요(返俗謠)/설요(薛瑤)
193
장모게(葬母偈)/승려 사복(蛇福)
196
신라 시대 고대문 52편
199
신라 경와편(新羅 經瓦片)/작자 미상
201
제천 점말동굴 각석 명문(堤川龍窟刻石 銘文)/작자 실명 또는 미상
206
천전리 서석 신해명 기타 명문(川前里書石辛亥銘 其他銘文)/주배랑(主陪朗)
254
천전리 서석 을묘명 기타 명문(川前里書石乙卯銘 其他銘文)/작자 미상
257
천전리 서석 계해명 기타 명문(川前里書石癸亥銘 其他銘文)/작자 미상
260
천전리 서석 임오명 기타 명문(川前里書石壬午銘 其他銘文)/작자 미상
262
천전리 서석 을미명 기타 명문(川前里書石乙未銘 其他銘文)/도안혜(道安兮)
264
천전리 서석 정유명 기타 명문(川前里書石丁酉銘 其他銘文)/작자 미상
266
천전리 서석 신해명 기타 명문(川前里書石辛亥銘 其他銘文)/예웅(芮雄)
269
천전리 서석 술년명 기타 명문(川前里書石戌年銘 其他銘文)/영랑(永郎)
272
천전리 서석 을사명 기타 명문(川前里書石乙巳銘 其他銘文)/아랑(阿郞)•도부지(徒夫知)
275
천전리 서석 기명 기타 명문(川前里書石記名 其他銘文)/김자랑•부수랑
278
천전리 서석 마멸 기타 명문(川前里書石磨滅 其他銘文)/사부지
323
포항 중성리 신라비(浦項中城里 新羅碑)/작자 미상
339
영일 냉수리 신라비/작자 미상
343
천전리 각석 계사명(川前里書石 癸巳銘)/작자 미상
350
수력지명 각석편/작자 미상
354
울진 봉평 신라비(蔚珍鳳坪 新羅碑)/작자 미상
356
천전리 서석 을묘명(川前里書石 乙卯銘)/안급(安及) 외
361
영천청제비 병진명(永川菁堤碑 丙辰銘)/작자 미상
364
성류굴 석각 명문/작자 미상
369
천전리 서석 계해명(川前里書石 癸亥銘)/능지소사(凌智小舍)
374
천전리 서석 을축명(川前里書石 乙丑銘)/피진간지(佊珎干支)
377
단양 적성비(丹陽 赤城碑)/진흥왕(眞興王)
381
경주 명활산성 작성비(慶州明活山城 作城碑)/원흔리(源欣利) 아척
386
경주 명활산성비(慶州明活山城碑)/작자 미상
391
경주 황룡사지 신수문동경 명문/작자 미상
394
진흥왕 척경비 창녕비(眞興王拓境碑 昌寧碑)/진흥왕(眞興王)
397
계미명 금동삼존불입상/조보화(趙寶華)
403
진흥왕 순수비 마운령비(眞興王巡狩碑 磨雲嶺碑)/진흥왕(眞興王)
406
대구 무술명 오작비(大邱戊戌銘 塢作碑)/일리혜(壹利兮) 일척
413
경주 남산 신성비 제1비(慶州南山新城碑 第一碑)/작자 미상
417
경주 남산 신성비 제2비(慶州南山新城碑 第二碑)/작자 미상
421
경주 남산 신성비 제3비(慶州南山新城碑 第三碑)/작자 미상
425
경주 남산 신성비 제4비(慶州南山新城碑 第四碑)/작자 미상
428
경주 남산 신성비 제5비(慶州南山新城碑 第五碑)/작자 미상
432
경주 남산 신성비 제6비(慶州南山新城碑 第六碑)/작자 미상
435
경주 남산 신성비 제7비(慶州南山新城碑 第七碑)/작자 미상
438
경주 남산 신성비 제8비(慶州南山新城碑 第八碑)/작자 미상
441
경주 남산 신성비 제9비(慶州南山新城碑 第九碑)/작자 미상
444
경주 남산 신성비 제10비(慶州南山新城碑 第十碑)/작자 미상
448
영주 순흥 어숙묘 명문(榮州順興於宿墓 銘文)/작자 미상
451
영주 순흥벽화 묵서 명문(榮州順興壁畵墨書 銘文)/작자 미상
454
신선사 마애불상군 석각(神仙寺磨崖佛像群 石刻)/작자 미상
457
함안 성산산성 사면 묵서 목간(咸安城山山城四面墨書 木簡)/작자 미상
462
경산 임당동 고비(慶山林堂洞 古碑)/작자 미상
468
경산 소월리 토지 문서 목간(慶山所月里土地文書 木簡)/작자 미상
471
이성산성 무진년명 목간(二聖山城戊辰年銘 木簡)/작자 미상
478
아도비(我道碑)/김용행(金用行)
483
경주 태종무열왕릉 비편(慶州太宗武烈王陵 碑片)/작자 미상
487
천전리 서석 상원 2년명(川前里書石 上元二年銘)/작자 미상
492
청주 운천동 신라사적비(淸州雲泉洞 新羅事蹟碑)/작자 미상
495
통일 신라 시대 고대시 275수
503
법계도기총수록(法界圖記叢髓錄) 게송 1/의상(義湘)
505
법계도기총수록(法界圖記叢髓錄) 게송 2/의상(義湘)
508
계유명 삼존천불비상 명문(癸酉銘三尊千佛碑像 銘文)/미차내 외 화랑도 250인(彌次乃 外 花郞徒 二百五十人)
511
계유명 전 씨 아미타불비상 명문(癸酉銘全氏阿彌陀佛碑像 銘文)/전 씨(全氏), 술황우(述況右), 이혜개(二兮介)
515
경주 안압지 우욕가 목간(慶州雁鴨池憂辱歌 木簡)/작자 미상
527
만신가(万身歌)/작자 미상
530
야증악관(夜贈樂官)/최고운(崔孤雲)
532
여행에서 만난 벗(亂後旅中遇友人)/최치원(崔致遠)
535
변하의 옛 생각(汴河懷古)/최치원(崔致遠)
539
신축년 진사 오첨에게 보내다(辛丑年寄進士吳瞻)/최치원(崔致遠)
543
율수 최소부에게 보내는 증시(贈凓水崔少府)/최치원(崔致遠)
546
이전 장관의 겨울날 산사 방문 화답시(和李展長官冬日遊山寺)/최치원(崔致遠)
550
재헌계(再獻啓)/최치원(崔致遠)
554
원왕생가(願往生歌)/광덕(廣德)
558
경주 문무왕릉비(慶州文武王陵碑)/작자 미상
562
금강삼매경론(金剛三昧經論) 제1게송/고승(高僧) 원효(元曉)
570
금강삼매경론(金剛三昧經論) 제12게송/고승(高僧) 원효(元曉)
574
회소곡(會蘇曲)/고승(高僧) 원효(元曉)
578
모죽지랑가(慕竹旨郞歌)/득오(得烏)
581
울주 천전리 영랑각문(蔚州川前里 永郞刻文)/화랑(花郞) 영랑(永郞)
584
영랑명 석구(永郞銘 石臼)/화랑(花郞) 영랑(永郞)
587
수혜미시(酬惠米詩)/승려 김지장(金地藏)
590
귀경송(歸敬頌)/명효(明曉)
593
해인삼매론 게송(海印三昧論 偈頌)/명효(明曉)
596
회향송(廻向頌)/명효(明曉)
601
경주 석장사지 출토 탑상문 전명(慶州錫杖寺址塔像紋 塼銘)/작자 미상
604
해가(海歌)/작자 미상
607
헌화가(獻花歌)/견우 노옹(牽牛老翁)
610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 제1게송/고승(高僧) 혜초(慧超)
613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 제2게송/고승(高僧) 혜초(慧超)
617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 제3게송/고승(高僧) 혜초(慧超)
621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 제4게송/고승(高僧) 혜초(慧超)
625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 제5게송/고승(高僧) 혜초(慧超)
629
원가(怨歌)/신충(信忠)
633
보살계본종요 게송/고승(高僧) 태현(太賢)
636
도솔가(兜率歌)/월명사(月明師)
639
제망매가(祭亡妹歌)/월명사(月明師)
642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충담(忠談)
646
안민가(安民歌)/충담(忠談)
650
성덕대왕신종 명문(聖德大王神鍾 銘文)/김필오(金弼奧)
654
과해연구(過海聯句)―전연구(前聯句)/고려사(高麗使)
662
과해연구(過海聯句)―전후연구(前後聯句)/고려사(高麗使)가도
667
사부시(四浮詩)/거사(居士) 부설(浮雪)
670
팔죽시(八竹詩)/거사(居士) 부설(浮雪)
674
오도송(悟道頌)/거사(居士) 부설(浮雪)
677
열반송(涅槃頌)/거사(居士) 부설(浮雪)
680
양진게(養眞偈)/도반 영희(靈熙)•도반 영조(靈照)•거사(居士) 부설(浮雪)
682
1. 영희게/도반 영희(靈熙)
682
2. 영조게/도반 영조(靈照)
685
3. 부설게/거사(居士) 부설(浮雪)
688
영암 정원명 석비(靈岩貞元銘 石碑)/작자 미상
691
사설봉화상(辭雪峰和尙)/도윤(道允)
694
우적가(遇賊歌)/영재
697
송동자하산(送童子下山)/승려 김지장(金地藏)
701
도천수관음가(禱千手觀音歌)/희명 여인(希明女人)
704
선림원종 명문(禪林院鐘 銘文)/작자 미상
708
간자가(簡子歌)/심지(心地)
712
증청용사승(贈靑龍寺僧)/김입지(金立之)
715
숙풍덕사(宿豊德寺)/김입지(金立之)
718
증승(贈僧)/김입지(金立之)
721
추석(秋夕)/김입지(金立之)
724
조춘(早春)/김입지(金立之)
727
백률사 석당기(栢栗寺 石幢記)―이차돈 순교비/작자 미상
730
진루선(秦樓仙)/김운경(金雲卿)
738
추야망월(秋夜望月)/김입지(金立之)
741
현산사완월(峽山寺翫月)/김입지(金立之)
744
조춘(早春)/김입지(金立之)
747
꿈에 쓰다(夢中作)/최치원(崔致遠)
750
제유선사(題遊仙寺)/김가기(金可紀)
753
월영대(月影臺)/중국인 두 학사(學士)•주인공 신라 동자(童子) 최치원(崔致遠) 원작(『최고운전』 등장인물)
755
신라인 동자 최치원 월영대 오언 이구(新羅人童子崔致遠 月影臺五言二句)/신라인 동자(童子) 최치원(崔致遠) 원작(『최고운전』 주인공)
760
나운영 칠언시 1구(羅雲英 七言詩 一句)/소저(小姐) 나운영(羅雲英) 원작(『최고운전』 여주인공)
764
최치원 칠언시 1구(崔致遠 七言詩 一句)/파경노(破鏡奴) 최치원(崔致遠) 원작(『최고운전』 주인공)
766
나운영•최치원 칠언시 2구(羅雲英•崔致遠 七言詩 二句)/소저(小姐) 나운영(羅雲英)•파경노(破鏡奴) 최치원(崔致遠) 원작(『최고운전』 남녀주인공)
768
나 승상 오언 절구(羅丞相 五言絶句)최치원(崔致遠) 원작(/『최고운전』 주인공)
771
나운영 이별시(羅雲英 離別詩)/최치원(崔致遠)의 처(妻) 나운영(羅雲英) 원작(『최고운전』 여주인공)
774
최치원 화답시(崔致遠 和答詩)/나운영(羅雲英)의 부군(夫君) 최치원(崔致遠) 원작(『최고운전』 주인공)
777
화려천화상 송(和麗天和尙 頌)/영조(靈照)
780
곡성 대안사 적인선사 탑비명문(谷城大安寺寂忍禪師 塔碑銘文)/극일(克一)
783
석문시(石門詩)/최치원(崔致遠)
787
석문시 답시 1(石門詩 答詩一)/최치원(崔致遠)
790
석문시 답시 2(石門詩 答詩二)/최치원(崔致遠)
793
석문시 답시 추시(石門詩 答詩追詩)/최치원(崔致遠)
796
최치원 회시(崔致遠 回詩)/최치원(崔致遠)
799
최치원 회시추시(崔致遠 回詩 追詩)/최치원(崔致遠)
802
율수현시(溧水縣詩)/최치원(崔致遠)
805
칠언시 6수(七言詩 六首)/최치원(崔致遠)
808
쌍녀연시(雙女緣詩) 2수(二首)/최치원(崔致遠)
813
최치원 화답시(崔致遠 和答詩)/최치원(崔致遠)
816
팔낭자 이별시(八娘子 離別詩)/최치원(崔致遠)
819
구낭자 이별시(九娘子 離別詩)/최치원(崔致遠)
822
최치원 이별시(崔致遠 離別詩)/최치원(崔致遠)
825
귀동국(歸東國)/최치원(崔致遠)
834
강남여(江南女)/최치원(崔致遠)
837
병기(兵機)/최치원(崔致遠)
841
필법(筆法)/최치원(崔致遠)
844
성잠(性箴)/최치원(崔致遠)
847
설영(雪詠)/최치원(崔致遠)
850
사조(射鵰)/최치원(崔致遠)
853
안화(安化)/최치원(崔致遠)
856
연병(練兵)/최치원(崔致遠)
859
반계(磻溪)/최치원(崔致遠)
862
진성(秦城)/최치원(崔致遠)
865
사호(射虎)/최치원(崔致遠)
868
생사(生祠)/최치원(崔致遠)
871
사편(射鞭)/최치원(崔致遠)
874
안남(安南)/최치원(崔致遠)
877
천위경(天威徑)/최치원(崔致遠)
880
작구경(岝口徑)/최치원(崔致遠)
883
수성비(收城碑)/최치원(崔致遠)
886
집금오(執金吾)/최치원(崔致遠)
889
천평(天平)/최치원(崔致遠)
892
조어정(釣魚亭)/최치원(崔致遠)
895
상인(相印)/최치원(崔致遠)
898
서천(西川)/최치원(崔致遠)
901
평만(平蠻)/최치원(崔致遠)
904
축성(築城)/최치원(崔致遠)
907
형남(荊南)/최치원(崔致遠)
910
조운(漕運)/최치원(崔致遠)
913
절서(浙西)/최치원(崔致遠)
916
항구(降寇)/최치원(崔致遠)
919
회남(淮南)/최치원(崔致遠)
922
조상청(朝上淸)/최치원(崔致遠)
925
진정(陳情)/최치원(崔致遠)
928
우흥(寓興)/최치원(崔致遠)
931
접시꽃(蜀葵花)/최치원(崔致遠)
934
고의(古意)/최치원(崔致遠)
937
장안의 여사에서 이웃에 거하는 우신미 장관에게 주다(長安旅舍與于愼微長官接隣)/최치원(崔致遠)
940
운문 난야의 지광 상인에게 주다(贈雲門蘭若智光上人)/최치원(崔致遠)
943
운봉사에 제하다(題雲峯寺)/최치원(崔致遠)
946
당성에 나그네로 노닐면서 선왕의 악관에게 주다(旅遊唐城贈先王樂官)/최치원(崔致遠)
949
바다에 배를 띄우고(泛海)/최치원(崔致遠)
952
여지도에 제하다(題輿地圖)/최치원(崔致遠)
955
고소대(姑蘇臺)/최치원(崔致遠)
957
벽송정(碧松亭)/최치원(崔致遠)
959
호원 상인에게 부치다(寄顥源上人)/최치원(崔致遠)
961
희랑 화상에게 증정하다(贈希朗和尙)/최치원(崔致遠)
964
순응 화상에 대한 찬(順應和尙 贊)/최치원(崔致遠)
969
대화엄종 불국사의 아미타불상에 대한 찬병서(大華嚴宗佛國寺阿彌陀佛像 讚竝序)/최치원(崔致遠)
973
이정 화상에 대한 찬(利貞和尙 贊)/최치원(崔致遠)
977
좌주 상서가 난을 피하며 유양에 들러 보여 준 절구 세 수에 화운하다(奉和座主尙書避難過維陽寵示 絶句三首)/최치원(崔致遠)
980
귀연음을 지어서 태위에게 바치다(歸燕吟獻太尉)/최치원(崔致遠)
984
행차산양속몽(行次山陽續蒙太尉寄賜衣段令充歸覲續壽信物謹以詩謝)/최치원(崔致遠)
987
초주 장 상서가 수곽에서 영접하기에 시를 지어 사례하다(楚州張尙書水郭相迎因以詩謝)/최치원(崔致遠)
991
오만 수재의 석별 시에 답한 절구 두 수(酬吳巒秀才惜別 二絶句)/최치원(崔致遠)
994
석봉(石峯)/최치원(崔致遠)
997
조수 물결(潮浪)/최치원(崔致遠)
1001
바닷가 모래톱(沙汀)/최치원(崔致遠)
1004
바다 갈매기(海鷗)/최치원(崔致遠)
1007
우인이 제야에 보낸 시에 화운하다(和友人除夜見寄)/최치원(崔致遠)
1010
바닷가를 한가로이 거닐며(海邊閒步)/최치원(崔致遠)
1013
김 원외가 참산의 청 상인에게 준 시에 화운하다(和金員外贈巉山淸上人)/최치원(崔致遠)
1015
해문의 난야에 있는 버들을 읊다(題海門蘭若柳)/최치원(崔致遠)
1018
산꼭대기의 아슬아슬한 바윗돌(山頂危石)/최치원(崔致遠)
1021
바위 위의 작은 소나무(石上矮松)/최치원(崔致遠)
1024
단풍나무(紅葉樹)/최치원(崔致遠)
1027
바위 위에 흐르는 샘물(石上流泉)/최치원(崔致遠)
1030
해동으로 돌아올 즈음에 참산의 봄 경치를 바라보며(將歸海東巉山春望)/최치원(崔致遠)
1033
합천 홍류동 석각(陜川紅流洞 石刻)―전 최치원 석각/최치원(崔致遠)
1036
등윤주자화사상방(登潤州慈和寺上房)/최치원(崔致遠)
1039
송오진사만귀강남(送吳進士巒歸江南)/최치원(崔致遠)
1043
추일재경우이현기이장관(秋日再經盱眙縣寄李長官)/최치원(崔致遠)
1047
춘효우서(春曉偶書)/최치원(崔致遠)
1051
모춘즉사화고운우사(暮春卽事和顧雲友使)/최치원(崔致遠)
1055
진정상태위(陳情上太尉)/최치원(崔致遠)
1059
화장진사교촌거병중견기교자송년(和張進士喬村居病中見寄喬字松年)/최치원(崔致遠)
1063
수양섬수재(酬楊贍秀才)/최치원(崔致遠)
1067
야소(野燒)/최치원(崔致遠)
1071
추야우중(秋夜雨中)/최치원(崔致遠)
1075
우정야우(郵亭夜雨)/최치원(崔致遠)
1078
도중작(途中作)/최치원(崔致遠)
1081
요주파양정(饒州鄱陽亭)/최치원(崔致遠)
1084
산양여향우화별(山陽與鄕友話別)/최치원(崔致遠)
1087
제우강역정(題芋江驛亭)/최치원(崔致遠)
1090
춘일요지우불지인기 절구(春日邀知友不至因寄 絶句)/최치원(崔致遠)
1093
유별서경김소윤준(留別西京金少尹峻)/최치원(崔致遠)
1097
증금천사주(贈金川寺主)/최치원(崔致遠)
1100
증재곡란약독거승(贈梓谷蘭若獨居僧)/최치원(崔致遠)
1103
황산강임경대(黃山江臨鏡臺)/최치원(崔致遠)
1106
제가야산독서당(題伽倻山讀書堂)/최치원(崔致遠)
1109
진달래꽃(杜鵑)/최치원(崔致遠)
1112
유별녀도사(留別女道士)/최치원(崔致遠)
1115
수진사양섬송별(酬進士楊贍送別)/최치원(崔致遠)
1118
화우인제야견기(和友人除夜見寄)/최치원(崔致遠)
1121
봄바람(東風)/최치원(崔致遠)
1124
해변춘망(海邊春望)/최치원(崔致遠)
1127
춘효한망(春曉閒望)/최치원(崔致遠)
1130
화엄불국사 수석가여래상 번찬병서(華嚴佛國寺繡釋迦如來像 幡贊幷序)/최치원(崔致遠)
1133
가야산 독서당(題伽倻山讀書堂)—「둔세시」(遁世詩)/최치원(崔致遠)
1138
연주에서 이원외에게 보내는 헌시(兗州留獻李員外)/최치원(崔致遠)
1141
자화산에 오르다(登慈和山)/최치원(崔致遠)
1144
장안의 버드나무(長安柳)/최치원(崔致遠)
1146
낙양에서 벗에게 보내는 증시(留贈洛中友人)/최치원(崔致遠)
1148
동생 엄부를 집으로 보내며(送舍第嚴府)/최치원(崔致遠)
1150
봄날(春日)/최치원(崔致遠)
1152
진사 전인의에게(成名後酬進士田仁義見贈)/최치원(崔致遠)
1154
강물 위에서 봄을 생각하며(江上春懷)/최치원(崔致遠)
1156
처용가(處容歌)/처용(處容)
1158
처용가(處容歌)/이익(李瀷) 실전작
1161
신인가(神人歌)/4인의 신인(神人)
1166
환동국(還東國)/최치원(崔致遠)
1168
증별시(贈別詩)―고운편(孤雲篇) 1수/발해인 당나라 학사 고운(顧雲)
1171
송최치원서유장환(送崔致遠西遊將還)―고운편(孤雲篇) 2수/고운(顧雲)
1174
향악잡영(鄕樂雜詠)/최치원(崔致遠)
1178
교거정지기(郊居呈知己)/최광유(崔匡裕)
1183
노사(鷺鷥)/최광유(崔匡裕)
1186
송향인급제환국(送鄕人及第還國)/최광유(崔匡裕)
1189
상산로작(商山路作)/최광유(崔匡裕)
1192
세우(細雨)/최광유(崔匡裕)
1195
어구(御溝)/최광유(崔匡裕)
1198
억강남리처사거(憶江南李處士居)/최광유(崔匡裕)
1201
장안춘일유감(長安春日有感)/최광유(崔匡裕)
1204
정매(庭梅)/최광유(崔匡裕)
1207
조행(早行)/최광유(崔匡裕)
1210
산승에게(贈山僧)/최치원(崔致遠)
1213
천학(天鶴)/최치원(崔致遠)
1215
새벽의 노래(詠曉)/최치원(崔致遠)
1217
진감선사 비명(有唐新羅國故雙谿寺敎益眞鑑禪師大空塔 碑銘幷序)/최치원(崔致遠)
1226
분원시(憤怨詩)/은자(隱者) 왕거인(王巨人)
1231
낭혜화상 비명(有唐新羅國兩朝國師敎謚大朗慧和尙白月葆光塔 碑銘幷序)/최치원(崔致遠)
1234
경호(鏡湖)/최승우(崔承祐)
1240
관중송진책선배부빈주막(關中送陳策先輩赴邠州幕)/최승우(崔承祐)
1243
독요경운전(讀姚卿雲傳)/최승우(崔承祐)
1246
별(別)/최승우(崔承祐)
1249
송조진사송입나부(送曹進士松入羅浮)/최승우(崔承祐)
1252
억강서구유인기지기(憶江西舊遊因寄知己)/최승우(崔承祐)
1255
업하화리수재여경(鄴下和李秀才與鏡)/최승우(崔承祐)
1258
증설잡단(贈薛雜端)/최승우(崔承祐)
1261
춘일송위대위자서천제회남(春日送韋大尉自西川除淮南)/최승우(崔承祐)
1264
헌신제중서이사인(獻新除中書李舍人)/최승우(崔承祐)
1267
지증대사 비명(大唐新羅國故曦陽山鳳嚴寺敎謚智證大師寂照之塔 碑銘幷序)/최치원(崔致遠)
1270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 탑비추명(南原實相寺秀澈和尙 塔碑追銘)/작자 미상
1275
해인사 운양대 길상탑기(海印寺雲陽臺 吉祥塔記)/최치원(崔致遠)
1279
오대산사 길상탑사•곡치군(五臺山寺吉祥塔詞哭緇軍)/승 훈
1284
숭복사 비명(有唐新羅國初月山大崇福寺 碑銘幷序)/최치원(崔致遠)
1290
강행정장준수재(江行呈張峻秀才)/박인범(朴仁範)
1295
경주용삭사각겸간운서상인(涇州龍朔寺閣兼柬雲栖上人)/박인범(朴仁範)
1298
구성궁회고(九成宮懷古)/박인범(朴仁範)
1301
기향암산예상인(寄香巖山睿上人)/박인범(朴仁範)
1304
마외회고(馬嵬懷古)/박인범(朴仁範)
1307
상은원외(上殷員外)/박인범(朴仁範)
1310
상풍원외(上馮員外)/박인범(朴仁範)
1313
송엄상인귀건축국(送儼上人歸乾竺國)/박인범(朴仁範)
1316
조추서정(早秋書情)/박인범(朴仁範)
1319
증전교서(贈田校書)/박인범(朴仁範)
1322
범일국사 영찬(梵日國師 影贊)/박인범(朴仁範)
1325
무애지국사 영찬(無㝵智國師 影贊)/박인범(朴仁範)
1328
구룡폭포(九龍瀑布)/최치원(崔致遠)
1331
공산성(公山城)/최치원(崔致遠)
1333
해인사 선안주원 벽기 절구 삼 수(海印寺善安住院壁記 絶句三首)/최치원(崔致遠)
1336
지리산(智異山)—8수/최치원(崔致遠)
1342
지리산(智異山)―제9수/최치원(崔致遠)
1358
신라고경 명문(新羅古鏡 銘文)/신라의 사신 최치원(崔致遠)
1361
계림요(鷄林謠)/최치원(崔致遠)
1364
천태지게(天台之偈)/경명왕(景明王)
1367
번화곡(繁花曲)/경애왕(景哀王)
1371
인제 가면 언제 오나(麟蹄歌)/마의태자(麻衣太子)
1374
통일 신라 시대 고대문 16편
1379
천전리 서석 상원 4년명(川前里書石 上元四年銘)/작자 미상
1381
천남생 묘지명(泉男生 墓誌銘)/왕덕진(王德眞)
1384
부여융 묘지명(扶餘隆 墓誌銘)/작자 미상
1393
고현 묘지명(高玄 墓誌銘)/작자 미상
1399
천헌성 묘지명(泉獻誠 墓誌銘)/양유충
1405
고자 묘지명(高慈 墓誌銘)/작자 미상
1413
천남산 묘지명(泉男産 墓誌銘)/작자 미상
1420
흑치준 묘지명(黑齒俊 墓誌銘)/작자 미상
1427
순장군 공덕비(珣將軍 功德碑)/곽겸광(郭謙光)
1432
천비 묘지명(泉毖 墓誌銘)/천은(泉隱)
1437
천전리 서석 병술명 기타 명문(川前里書石丙戌銘 其他銘文)/관랑(官郞)
1441
천전리 서석 병신명 기타 명문(川前里書石丙申銘 其他銘文)/도곡형(道谷兄)
1444
사천 선진리 신라비(泗川船津里 新羅碑)/작자 미상
1447
고진 묘지명(高震 墓誌銘)/양경
1451
영천청제비 정원명(永川菁堤碑 貞元銘)/작자 미상
1455
천전리 서석 개성 3년명(川前里書石 開成三年銘)/작자 미상
1460
한국의 고대시(古代詩)는 우리나라 고대 국가(古代國家)에서 발생되어 불리어진 노래들이다. 고대 국가는 한반도에서 최초의 국가 형태였으며, 이들 국가들에서 발생된 고대시들은 우리나라 최초의 시였다. 고대시는 향가(鄕歌) 이전의 고대시와 향가 이후의 고대시로 이분된다. 향가 이전의 고대시가 전기 고대시이며, 향가 이후의 고대시는 후기 고대시에 속한다. 고대시의 융성기는 삼국 시대(三國時代)이며, 삼국 시대 이후에는 고대시 쇠퇴기에 속한다. 그러므로 고대시는 고대 국가를 기초로 향가 이전의 삼국 시대 전후에 발생하여 전래된 민요와 가요를 통틀어 고대시라고 하며, 특별히 형식상, 내용상 제한이 없는 자유로운 노래라고 정의된다.
[신라 시선 <제4판>]은 저자의 [한국 고대시 선집]에서 신라 시대와 통일 신라 시대의 시와 문을 선별해서 수록했다. [고구려 시선], [백제 시선], [발해 시선]에 연이어지는 고대시 시선집이다. 특히 대부분의 신라 향가와 고대 한시가 포함되었으며, 이두문과 비문 등의 명문이 수록되었다. 진흥왕 순수비, 천전리 각석, 신라 불교의 게송, 설총의 시조, 그리고 최치원, 최광유, 최승우, 박인범 등의 한시인들의 고대 시문을 엿볼 수 있다. 제2판과 제3판에서는 신라 한시 2수와 최치원 관련 한시 28수가 추가되었고, 제4판에서는 신라와 통일 신라 이두문 2편과 통일 신라 고대 가요 1편이 수록되었다.
작가정보
저자(글) 나종혁
편역자 나종혁은 충남 아산 생으로, 영문학으로 문학 박사를 수료했으며, 서남대 전임 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저술가로 [한국 고대시 선집] 1~3, [고구려 시선], [백제 시선], [발해 시선], [신라 시선]. [최치원 한시집], [신라 향가집], [고려 가요집], [나계종 한시집], [조선 시조], [나식 한시집], [나세찬 시문집], [나해봉 한시집], [고산 윤선도 시조집], [어부가계 시조집] 등을 저술했다.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