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예도보통지 범례 준수 실기해법 본국검·예도
2024년 11월 21일 출간
- eBook 상품 정보
- 파일 정보 PDF (14.14MB)
- ISBN 9791142105234
- 쪽수 249쪽
-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
교보eBook App
듣기(TTS) 가능
TTS 란?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DF 필기가능 (Android, iOS)

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무예도보통지』의 24기예를 재연하고 복원하고자 한다면 각 무예, 무도 단체의 수련목표, 수련체계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무예도보통지』의 범례(凡例:사전 일러두기, 참고사항)에 준한 해석을 해야한다. 해석은 각 기예에 해당되는 『기효신서』, 『무비지』, 무예서 등을 고찰하고 보(譜: 원문, 총보)와 도(圖:총도, 원문 아래 그림)를 연결하며 종합한 해석을 뜻한다. 본 교본은 유일무이(唯一無二)한『무예도보통지』의 범례 내용들을 최초로 적용한 해석 교본이다.
그동안 비기(秘技)로 알려진 환집(換執)기법의 서로 다른 조천세 원문과 그림의 진실을 찾게되며, 범례의 내용중 분합(分合)으로 작성된 보(譜)와 도(圖) 내용을 쉽게 설명하였고, 아직까지 확실하게 밝히지 않은 무예 관련 한자 선(旋),전(纏),회(回,廻)字에 관련된 기법을 구분할 수 있게 되어 무예 24기를 해석하는데 해박한 지혜를 얻게 된다. 또한 기존에 발간된 교본과 다르게 독자들이 쉽게 이해하고 확인․점검할 수 있도록 본국검보의 원문 한자에 음훈(音訓)을 넣었다. 그리고 검보 아래 제시된 그림, 총보, 총도, 언해본의 종합적인 해석과 판독(判讀)이 가능하도록 되어있어 현존하는 실기해석 중 독보적(獨步的)인 교재이다.
『무예도보통지』 범례에 따른 해석은 후학자, 무예인, 수련자들로 하여금 혼돈(混沌)과 혼선(混線)을 방지하고 『무예도보통지』와 관련된 전통무예 단체의 전통성을 회복하며 전통군영무예의 보존 및 표준화, 세계화하는데 초석(礎石)이 될 것이다.
1. 군영무예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의 이해
2. 해석방법의 기준은 범례
3. 서로 다른 그림에 대한 선행 사례
Ⅱ. 본국검 잃어버린 자세 고찰
1. 본국검의 한문본과 언해본, 총보, 단락 비교
2. 선행연구자와 단락비교 결과
3. 조천세(朝天勢)의 고찰 및 기법 재연
1) 조천세의 종류와 의미, 기법
2) 좌쌍수파지법의 이해와 이점
3) 조천세의 본국검보, 본국검총보, 본국검총도 비교
4) 좌쌍수 파지법, 좌우 환집기법
5) 조천세 원문의 양수(兩手) 의미와 기법
6) 조천세 재연
4. 전기세(展旗勢)의 고찰 및 기법 재연
1) 전기세의 본국검보와 본국검총도 그림비교
2) 전기세의 의미와 기법
3) 전기세의 내략과 외략
5. 후일격세(後一擊勢)의 고찰 및 기법 재연
1) 본국검보의 원문과 언해본의 전일격세, 후일격세
2) 후일격세의 본국검보의 그림과 본국검총도의 그림 비교
3) 전일격세의 본국검보의 그림과 본국검총도의 그림 비교
4) 격법과 타법
6. 선작(旋作) 좌우전(左右纏) 일자(一刺)의 기법
1) 무예도보통지 기예에서 선(旋)과 전(纏)의 예시
2) 무예한자 선(旋)과 전(纏)의 기법
3) 일자와 좌우전 일자 종류
Ⅲ. 본국검 재연 및 제언
1. 본국검 재연 및 제언
[예도]
1. 예도
1). 예도(銳刀)와 조선세법(朝鮮勢法) 요약
2. 예도보
1). 거정세(擧鼎勢)
2). 점검세(點劒勢)
3). 좌익세(左翼勢)
4). 표두세(豹頭勢)
5). 탄복세(坦腹勢)
6). 과우세(跨右勢)
7). 요략세(撩掠勢)
8). 어거세(御車勢)
9). 전기세(展旗勢)
10). 간수세(看守勢)
11). 은망세(銀蟒勢)
12). 찬격세(鑽擊勢)
13). 요격세(腰擊勢)
14). 전시세(展翅勢)
15). 우익세(右翼勢)
16). 게격세(揭擊勢)
17). 좌협세(左夾勢)
18). 과좌세(跨左勢)
19). 흔격세(掀擊勢)
20). 역린세(逆鱗勢)
21). 염시세(斂翅勢)
22). 우협세(右夾勢)
23). 봉두세(鳳頭勢)
24). 횡충세(橫冲勢)
25). 태아도타세(太阿倒拖勢)
26). 여선참사세(呂仙斬蛇勢)
27). 양각적천세(羊角弔天勢)
28). 금강보운세(金剛步雲勢)
29). 선행연구자 해석 비교의 예
3. 예도총보(銳刀總譜)
4. 예도총도(銳刀總圖)
1). 총보와 총도 비교결과
5. 예도총보 언해본
1). 언해본과 비교결과
6. 예도총도와 예도총보 언해본 종합연결 해석
1). 예도총보(銳刀總譜)* 언해본, 총도, 총보 종합연결 요약
2). 예도 총보 자세분석
참고문헌
부 록: 무예도보통지 범례(武藝圖譜通志 凡例)
작가정보
저자(글) 노병일
문무쌍전(文武雙全)을 염원(念願)한 많은 무예인 중 하나로 태권도, 합기도, 궁중무술, 특공무술, 해동검도, 경당, 십팔기를 수련하였으며 선죽검도 경호무술, 천무도, 단동무예, 단동기공, 전통진검무예, 실버 봉술기공, 스틱 테라피 등을 창시하였다. 세계 기네스와 연관된 한국기록원의 진검베기 관련 기록보유자로 각 지역 축제장의 무대와 군부대 전통무예 교관으로 활동하였으며 MBC, KBS, SBS, OBS 등 TV 다수 출연과 청주교육대학원의 레저승마를 8년 강의하였다. 2006년 인문분야의 대한명인 제130호로 추대, 2024년 세계명인 제WM-24431호 선정, 현재 충남 대한명인회 지회장과 충청남도 전통무예 연합회, 전통 진검무예 진흥원, 무예도보 24기 보존회, 남한산성 무예도보통지 협회 고문을 맡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전통진검무예 숙련자와 비숙련자의 사선 내려베기 시 두뇌 영역별 뇌파특성의 변화(대한무도학회지. 2015, 제17권 제3호, pp71~85) 무예도보통지 본국검보 조천세의 좌쌍수파지법과 환집기법 고찰(한국무예학회. 2021, 제15권 제4호, pp59~80) 무예도보통지의 범례에 따른 본국검보에 관한 연구(2022.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등이 있다.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