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광개토태왕릉비 연구
2024년 05월 09일 출간
- eBook 상품 정보
- 파일 정보 pdf (182.84MB)
- ISBN 9791193626344
-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
교보eBook App
듣기(TTS) 불가능
TTS 란?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DF 필기가능 (Android, iOS)
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 而倭以를 그대로 놓고 주어가 太王임을 밝히기 위한 사전 검토
Ⅰ. 광개토태왕릉비문의 원형 탐구를 위한 문제 제기
Ⅱ. 신묘년 기사에 대한 입론과 해석
1. 한일의 신묘년조 기사에 대한 논란과 일본의 공작
2. 신미년조 기사에 대한 새로운 시도
Ⅲ. 북한과 중일의 신묘 병신년조 해석 비교
1. 박시형의 연구에 대한 분석
2. 손영종 연구에 대한 분석
3. 연변 박진석의 연구와 그에 대한 분석
4. 중국 왕건군王健群의 연구와 그에 대한 비판적 분석
5. 일본 다케다武田幸男의 연구분석
Ⅳ. 連侵연침 보결과 그 해석의 한계
1. 이유립의 연구분석
2. 聯侵연침과 連侵연침-百殘 連 侵 新羅백잔연침신라
Ⅴ. 결론-태왕太王을 주어로 보는 방안의 의의와 한계
참고도표 / 참고문헌
제2부 태왕을 주어로 본 광개토태왕릉비의 신묘년조
기사에 대한 새로운 고찰
- 而倭以를 而帝以로 바로잡는 경우
Ⅰ. 비문 변조에 대한 전면적 문제제기
Ⅱ. ‘而倭以이왜이’의 위작변조설에 대한 검토
1. 이형구의 신묘년조(由來朝貢而倭以辛卯) 倭자 위작설
2. 서영수, 김영하의 신묘년조(來渡海破) 王자 변상설
Ⅲ. ‘而倭以이왜이’의 위작변조설의 실체적 입증
1. 한국 정인보의 문제 제기와 고구려 주어설
2. 신묘년조 倭자 위작과 새 주어 帝자 찾기
3. 渡海破百殘連倭도해파백잔연왜의 문제
4. 新羅以爲臣民신라이위신민에 대한 해석 문제
Ⅳ. 결론 - 而帝以에 의한 새로운 해석
참고문헌
제2부의 보유補遺 ··· 구로다 탁본으로 본 而帝以이제이
제3부 광개토태왕릉비 탁본들
Ⅰ. 겨레얼 탁본
Ⅱ. 겨레얼 탁본 및 석문(이찬구)
Ⅲ. 비문 해설(이찬구)
Ⅳ. 여러 탁본들
-구로다 탁본(1876)
-쌍구가묵본(1889)
-샤반느 탁본(1907)
-이룡본
-금자구정 탁본
-주운대 탁본(1981)
Ⅴ. 석문들
-정인보鄭寅普(1930)
-수곡제이랑水谷悌二郞(1959)
-박시형朴時亨(1966)
-왕건군王健群(1984)
-이형구李亨求(1986)
-류승국柳承國(2004)
[부록]
광개토태왕 관련 논저 연구 목록(한중일)
[기존 학설]
광개토태왕릉비는 현재의 중국 집안에 세워져 있다. 이 비는 고구려 장수왕(長壽王)이 아버지인 광개토태왕의 공덕을 기리기 위해 건립했다. 건립 연대는 지금으로부터 1600여 년전인 장수왕 2년(414)이다. 응회암(凝恢岩)으로 만든 이 비석은, 높이 6.39m에 무게가 39톤에 달한다. 울퉁불퉁한 표면에 바둑판처럼 선을 반듯하게 그은 뒤 14×15㎝ 정도의 손바닥만 한 크기의 한자를 새겨 넣었다. 글씨는 고풍스러우면서도 힘이 넘치는 예서체(隸書體)이다. 동양 최대의 거석기념물이며, 가장 오래된 실물 사료이다. 김부식의 『삼국사기』보다 730 여년 앞선 중요한 기록물이다. 지금은 중국의 주도로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어 있다. ‘고구려 왕국의 수도와 무덤군'이라는 이름으로 광개토태왕릉비, 장군총, 국내성, 무용총 등 43건이 일괄 등록되어 있다.
내용은 고구려의 창건과 왕계(王系)의 유래와 비석을 세운 이유, 광개토대왕 생전의 대내외 업적, 왕릉을 지키는 수묘인(守墓人)에 관한 규정 등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뉜다. 이 가운데 국제적인 관심을 모으며 논의되었던 부분은 신묘년조(辛卯年條)의 해석과 이를 둘러싼 비문에 대한 일제의 변조 여부였다.
이른바 신묘년조 기사로 알려진 "이왜이신묘년래 도해파백잔□□ 신라이위신민(而倭以辛卯年來渡海破百殘□□新羅以爲臣民)"이라는 구절의 해석을 놓고 동양 삼국이 논쟁을 벌였다. 특히 일본은 1883년에 사카와[酒句景信]중위가 처음으로 입수해온 쌍구가묵본을 집중연구하여 1889년에 자국에 유리한 해석을 내놓았다.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비문이 세상에 알려진 것이다. 일본 군국주의자들은 그 해석을 토대로 조선에 대한 침략과 식민지 지배를 정당화하려는 사료로 활용하였다. 왜가 백제와 신라를 신민(臣民)으로 삼았다고 억지로 해석하여 ‘임나일본부설(任那日本府說)’의 근거로 삼아왔던 것이다. 지금도 일본은 그런 침략적 해석을 유지하고 있고, 청소년들에게 과거에 일본이 한반도를 점령하여 식민지를 경영하였다고 왜곡해 가르치고 있다.
그러나 정인보(鄭寅普)은 이 구절 중에 도해파(渡海破)의 주체를 고구려 광개토태왕으로 보고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여 신민(臣民)의 주체는 왜가 아니고 고구려라고 주장하였다.
이 신묘년조 기사를 비롯한 비문의 해석은 1970년대 재일(在日)동포 사학자인 이진희(李進熙)에 의해 일제 군부의 비문 변조설이 제기되어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그의 석회도부설은 설득력을 얻었으며, 중국학자 왕건군(王健群)도 부분적으로 인정하고 말았다.
[결론]
1889년 이래 이제까지 일본측이 주장해온 원문과 해석이다.
(일본측 주장) 而倭以辛卯年來渡海破百殘□羅以爲臣民
(일본측 해석) 우리 일본이 신묘년(AD 391)에 바다를 건너가 백제와 신라를 파(破)하고 신민(臣民)을 삼았다.
이에 대해 저자가 바로 잡은 신묘년조는 "이제이 신묘년래 도해파백잔연왜 신라이위신민(而帝以 辛卯年來 渡海破百殘連倭 新羅以爲臣民)"이며, 그 원문과 해석은 다음과 같다.
(원문)而帝以 辛卯年來 渡海破百殘連倭 新羅以爲臣民
(해석)임금(태왕)께서 신묘년에 등극한 이래로 수년 동안에 바다를 건너 백제에 이어 왜를 격파하고 신라를 신민으로 보호하고자 하였다.
이로써 비문의 주어가 고구려 광개토태왕이라는 것과 당시 삼국과 왜와의 국제적 친소 관계를 분명히 알 수 있게 된 것이다. 고구려는 백제와 왜를 공격의 대상으로 보았고, 신라를 보호의 대상으로 보았다. 이것이 당시 고구려 대외 정책의 골간이다.
작가정보
저자(글) 이찬구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1,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5,000원 이상 상품으로 변경 예정,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1,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5,000원 이상 eBook으로 변경 예정,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