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중용
2023년 04월 20일 출간
국내도서 : 2023년 04월 06일 출간
- eBook 상품 정보
- 파일 정보 ePUB (29.34MB)
- ISBN 9788931023138
-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
교보eBook App
듣기(TTS) 가능
TTS 란?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중용의 이상을 통한 삶의 향유를 꿈꾼 『중용』
정통 유가 사상의 진수를 쉽고 바르게 읽는다
★★유려한 번역, 상세한 주석, 명쾌한 해설
★★고금의 여러 판본을 두루 참고한 『대학ㆍ중용』 번역의 완성판!
사서(四書)의 시작과 끝인 『대학』과 『중용』
유교 사상의 근간과 정수를 담아내다
『대학』과 『중용』은 『논어』, 『맹자』와 함께 유학자의 필독 경전인 사서로 꼽히는 책이다. 사서의 목록을 확정한 주자는 『대학』과 『중용』을 각각 사서 중 가장 먼저 읽어야 할 책과 나중에 읽어야 할 책이라 말했다. 이 두 책에 유가 사상의 근간과 정수가 오롯이 담겨 있다는 의미다.
원래 『대학』, 『중용』은 유가 경전 『예기』에 수록된 글월로, 독립된 서책이 아니었다. 그 때문에 당나라 이전까지는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그러나 당, 북송 때 이르러 본격적으로 재조명되어 ‘위로는 공자의 사상을 잇고 아래로는 맹자의 학설을 열어 유가의 도통을 이어가는 데 중추적 기여를 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리고 이런 흐름을 바탕으로 마침내 주자가 『대학』과 『중용』을 『예기』에서 분리해 단행본으로 냈고 『논어』, 『맹자』와 함께 사서로 엮었다.
『대학ㆍ중용』은 ‘쉽고 바르게 읽는 고전’ 시리즈(『논어』(상하권), 『노자』, 『장자』, 『손자병법』)를 펴낸 박삼수 교수가 번역한 시리즈의 다섯 번째 책이다. 이전 책과 마찬가지로 고금의 여러 판본을 두루 참고한 유려한 번역과 상세한 주석, 명쾌한 해설에 『대학ㆍ중용』의 총체적 의의를 짚을 수 있는 서문 등으로 책을 구성해 독자에게 ‘쉽고 바르게’ 다가가고자 했다. 또한 직역을 원칙으로 하여 한문 문리(文理)를 알고자 하는 독자에게도 도움이 되고자 했다. 모쪼록 개인의 안녕과 국가의 평화에 이르고자 한 『대학ㆍ중용』의 메시지가 무한 생존경쟁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의 독자들에게 위로와 용기로 다가가길 바란다.
인간의 선한 본성을 되살려 평화로운 세상을 열어가기 위하여
대학
경문
전문
제1장 명명덕
제2장 신민
제3장 지어지선
제4장 본말
제5장 격물ㆍ치지
제6장 성의
제7장 정심ㆍ수신
제8장 수신ㆍ제가
제9장 제가ㆍ치국
제10장 치국ㆍ평천하
중용
제1장~제33장
참고 문헌
ㆍ‘인간의 선한 본성을 되살려 평화로운 세상을 열어가기 위한’ 공자 사상이 후세에 널리 퍼져 영향을 미친 중심에는 『논어』가 있지만, 『대학大學』과 『중용中庸』 역시 지대한 공헌을 했음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5쪽)
ㆍ‘대학’은 사실상 유가 사상의 실천 방법과 이상理想 목표라는 두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다. 우선 그 실천 방법은 ‘격물格物’에서 ‘수신’, ‘제가齊家’에서 ‘치국·평천하平天下’에 이르기까지 그야말로 미치지 않는 바가 없으니, 그야말로 큰〔大〕 학문〔學〕이다. (12~13쪽)
ㆍ사람은 누구나 『대학』의 가르침을 성실히 배우고 깊이 체화함으로써 뛰어난 지성과 고상한 덕성을 갖춘 ‘대인’으로 거듭날 수 있다. (16쪽)
ㆍ『중용』은 기본적으로 ‘천天·도道·인人’ 삼자三者의 관계에 착안하고 근거해 아름다운 삶의 향유를 가능하게 할 ‘중용의 도’의 고귀한 가치를 부각 역설했다. (21쪽)
ㆍ‘중용’은 바로 누구나 충분히 운용·적용할 수 있는 불편부당하고 무과불급하며 적중適中·적정한 원칙이다. 이러한 원칙은 언제 어디서나 변함이 없으며 우리의 일상생활에 두루 적용되고 통용된다. (26쪽)
ㆍ대인지학大人之學의 근본이념은 첫째, 사람의 밝고 선한 천부적 덕성을 밝혀 드러나게 함에 있고, 둘째, 사람들로 하여금 낡은 악습을 버리고 본연의 선성善性을 새롭게 발휘하게 함에 있으며, 셋째, 사람이 궁극적으로 더할 나위 없이 선한 경지에 이르러 머무르게 함에 있다. (43쪽)
ㆍ『상서』 「강고편康誥篇」에서 말했다. “크게 드러나 빛나신 아버지 문왕께서는 천부의 덕성을 한껏 밝혀 만백성에게 널리 은덕을 베푸셨도다.” 「태갑편太甲篇」에서 말했다. “탕왕湯王께서는 항시 이 하늘이 내린 밝고 빛나는 사명使命을 생각하셨소이다.” 「요전편堯典篇」에서 말했다. “요임금께서는 능히 그 위대하고 숭고한 덕성을 밝혀 널리 은덕을 베푸셨도다.” 이는 모두 각기 스스로 자신의 ‘명덕明德’을 밝혀 널리 베풀어야 함을 일깨운 것이다. (58쪽)
ㆍ하늘이 사람에게 부여한 본질이 ‘성性’, 즉 사람의 본성이요, 그 본성을 따르는 것이 ‘도道’, 즉 만사만물의 보편 법칙이며, 그 법칙을 닦아 널리 밝힘으로써 사람들이 따르게 하는 것이 ‘교敎’, 즉 교화敎化이다. (129쪽)
ㆍ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의 언행은 중용의 도에 들어맞고, 소인의 언행은 중용의 도에 어긋난다. 군자의 언행이 중용의 도에 들어맞는 것은 군자는 언제 어디서나 그에 맞게 적중과 조화를 추구하기 때문이요, 소인의 언행이 중용의 도에 어긋나는 것은 소인은 언제 어디서나 기탄없이 함부로 말하고 행동하기 때문이다.” (137쪽)
수신을 바탕으로 제가ㆍ치국ㆍ평천하를 꿈꾼 『대학』
중용의 이상을 통한 삶의 향유를 꿈꾼 『중용』
정통 유가 사상의 진수를 쉽고 바르게 읽는다
★★유려한 번역, 상세한 주석, 명쾌한 해설
★★고금의 여러 판본을 두루 참고한 『대학ㆍ중용』 번역의 완성판!
사서(四書)의 시작과 끝인 『대학』과 『중용』
유교 사상의 근간과 정수를 담아내다
『대학』과 『중용』은 『논어』, 『맹자』와 함께 유학자의 필독 경전인 사서로 꼽히는 책이다. 사서의 목록을 확정한 주자는 『대학』과 『중용』을 각각 사서 중 가장 먼저 읽어야 할 책과 나중에 읽어야 할 책이라 말했다. 이 두 책에 유가 사상의 근간과 정수가 오롯이 담겨 있다는 의미다.
원래 『대학』, 『중용』은 유가 경전 『예기』에 수록된 글월로, 독립된 서책이 아니었다. 그 때문에 당나라 이전까지는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그러나 당, 북송 때 이르러 본격적으로 재조명되어 ‘위로는 공자의 사상을 잇고 아래로는 맹자의 학설을 열어 유가의 도통을 이어가는 데 중추적 기여를 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리고 이런 흐름을 바탕으로 마침내 주자가 『대학』과 『중용』을 『예기』에서 분리해 단행본으로 냈고 『논어』, 『맹자』와 함께 사서로 엮었다. 주자가 각각 『대학』과 『중용』을 두고 남긴 말을 들어보자.
“『대학』은 공자께서 옛사람들이 학문한 큰 이치와 방도를 말씀하신 것을 증자가 기술한 후, 증자의 문인이 다시 전술해 그 기본 논지를 설명했다. 이 책의 내용을 깊이 완미하노라면 옛사람들이 학문하며 지향한 바가 무엇인지를 분명히 알 수 있어 『논어』와 『맹자』를 읽고 이해하는 단계에도 쉽게 들어갈 수 있다.”
“학계에 이단 사설이 일어나자 자사께서는 세월이 오래되면 될수록 더욱 도학의 진의에서 벗어날 것을 두려워하셨고, 그래서 요·순임금 이래 대대로 전해진 그 깊은 뜻의 본원을 탐구하는가 하면, 평소에 들은 스승의 말씀으로 대조 확인한 후 다시 상호 연역 추론해 『중용』을 지어서 후세의 학인들을 가르치셨다.”
유가 사상의 기틀을 다진 『대학』
공자의 사상을 훌륭히 심화한 『중용』
『대학』은 공자 만년의 수제자인 증자가 쓴 글로, 유가 사상의 실천 방법과 이상을 모두 다룬다. 『대학』은 사물의 이치를 꼼꼼히 따져 질문하는 격물을 시작으로 수신, 제가, 치국, 평천하로 이어지는 여정을 제시한다. 천하의 일을 자기 소임으로 여기며 더할 나위 없는 경지인 ‘지선’을 추구해야 할 필요성을 역설하기도 한다. 자기 몸에서 시작해 천하를 아우르는 『대학』의 방법론이 특정 계층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사실에 주목하자. 공자는 “천자부터 서민에 이르기까지 사람은 누구나 다 수신을 근본으로 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상적인 정치가 특출난 지도자 한 명에 의해 구현되는 것이 아니라 모두의 자기 수양을 바탕으로 도달할 수 있는 상태라는 점, 즉 유가의 가르침이 천하 만민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을 되새겨야 한다. 우리는 누구나 ‘대인’으로 거듭날 수 있다.
『중용』의 저자는 공자의 손자인 자사다. 『중용』은 공자의 사상을 훌륭히 심화했다고 평가받는다. 이 책은 왜 ‘중용’이 유가 사상을 실천하고 추구하는 데 핵심적인 원칙인지를 보인다. 자사는 『중용』에서 “순임금이 문제의 양극단을 충분히 파악하고 그 장단을 따져, 가장 적중함을 채택해 백성들에게 적용했다”라고 말했다. 즉 중용은 최고의 도덕적 표준이자 원칙, 지혜라 부를 만한 가치다.
중용의 의미를 더 자세히 살펴보자. 중(中)의 본뜻은 중간, 중앙, 중심이다. 곧 ‘중’이 사물이 한쪽으로 기울거나 치우치지 않은 평형의 상태라는 의미다. 공정하지 못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친 ‘편파’, ‘양극단’과 대립하는 의미로 ‘중’을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중’이 ‘바르다(正)’라는 뜻과 연결될 수 있는 이유다. 한편 용(庸)은 고래로 언제나 변함없는 상태를 일컬어왔다. 다만 주자는 여기에 ‘용’이 통상적이고 일상적인 특징을 가졌다는 새로운 해석을 더했다. 치우치지 않는 ‘중’을 항시 유지하는 것(‘용’)이 아니라 우리의 일상에 깃들어 항상 존재하는 평범한 것으로 중용의 의미를 확장한 것이다. 이러한 해석은 누구나 충분히 운용, 적용할 수 있는 불편부당하고 적정한 원칙으로 중용을 이해할 길을 연다. 중용이 타협, 절충과는 다르다는 점도 유념할 필요가 있다. 전자가 ‘인의(仁義)’에 기반을 둔 데 반해 후자는 기계적 평형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인’과 ‘예’를 관통하는 방법론으로 중용을 이해해야 한다.
유가 사상의 처음과 마지막인 『대학ㆍ중용』
그 고귀한 뜻을 오롯이 풀이하다
『대학ㆍ중용』은 ‘쉽고 바르게 읽는 고전’ 시리즈(『논어』(상하권), 『노자』, 『장자』, 『손자병법』)를 펴낸 박삼수 교수가 번역한 시리즈의 다섯 번째 책이다. 이전 책과 마찬가지로 고금의 여러 판본을 두루 참고한 유려한 번역과 상세한 주석, 명쾌한 해설에 『대학ㆍ중용』의 총체적 의의를 짚을 수 있는 서문 등으로 책을 구성해 독자에게 ‘쉽고 바르게’ 다가가고자 했다. 또한 직역을 원칙으로 하여 한문 문리(文理)를 알고자 하는 독자에게도 도움이 되고자 했다. 모쪼록 개인의 안녕과 국가의 평화에 이르고자 한 『대학ㆍ중용』의 메시지가 무한 생존경쟁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의 독자들에게 위로와 용기로 다가가길 바란다.
작가정보
기원전 483년~기원전 402년
공자의 손자로, 성은 공(孔)이고, 이름은 급(伋)이며, ‘자사’는 그의 자이다. 전국시대 초엽 노나라 사람으로, 증자에게 학문을 배웠으며 노나라 목공(穆公)의 왕사(王師)에 오르기도 했다. 일찍이 송나라에서 곤경에 처한 적이 있는데, 바로 그때 『중용』을 지었다고 한다. 만년에는 고국 노나라로 돌아왔으며, 목공의 극진한 예우를 받았으나 직언을 서슴지 않았다. 당·송대에 이르러 『중용』을 유가의 핵심 경전으로 여기면서부터 그 명성이 드높아졌다. 위로는 증자를 계승하고 아래로는 맹자를 계도하여 공맹 사상을 이어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평가받는다.
경북 예천에서 태어났다. 경북대학교, 타이완대학교, 성균관대학교에서 각각 중문학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울산대학교 중문학과 교수와 출판부장, 미국 메릴랜드대학교 동아시아언어학과 방문교수를 거쳤다. 현재 울산대학교 명예교수로 있으며, 중국 산동사범대학교 대학원 교외 논문 지도교수를 겸임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논어』(상·하), 『노자』, 『장자』, 『손자병법』(이상 ‘쉽고 바르게 읽는 고전’ 시리즈), 『왕유 시전집』, 『왕유 시선』, 『주역』, 『맹자의 왕도주의』 등이 있으며, 지은 책으로는 『공자와 논어, 얼마나 바르게 알고 있는가?』, 『논어 읽기』, 『당시의 거장 왕유의 시세계』, 『고문진보의 이해와 감상』, 『동양의 고전을 읽는다 3』(공저) 등이 있다.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1,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5,000원 이상 상품으로 변경 예정,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1,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5,000원 이상 eBook으로 변경 예정,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