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의 서랍
- eBook 상품 정보
- 파일 정보 ePUB (23.30MB)
- ISBN 9791160409079
-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
교보eBook App
듣기(TTS) 가능
TTS 란?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세상 모든 말의 뿌리는 모어母語다 11
부엌은 우리들의 하늘 16
어머니의 한글 받침 무용론 22
교무수첩에 쓴 연애편지 26
버스는 배추 자루를 닮았다 32
치맛자락은 간간하다 37
그 소가 우리 집에서 오래 산 까닭 41
기적을 믿어라 44
황새울에는 오리가 산다 48
훠어이 훠어이 53
텔레비전과 간첩의 상관관계 56
할머니의 광주리 59
노심초새 64
고무신 69
꼭 필요한 사람이 되어라 87
앞바퀴로 왔다가 뒷바퀴로 가는 자식 95
보랏빛 제비꽃을 닮은 누나 99
사나이끼리라 102
반지는 물방울 소리처럼 구른다 106
2 좁쌀일기
그는 시처럼 산다 117
오늘밤 바람은 어느 쪽으로 부나 124
파리의 추억 131
다 담임 잘못이지유 135
짬뽕과 목탁 138
신 구지가新龜旨歌 142
시인보다 아름다운 경찰 147
자식이 씨눈, 희망이 싹눈 151
내 마음의 신작로에는 155
배고픔과 밀접한 것들 158
‘물끄러미’에 대하여 162
손길과 발길 166
등짝의 무게 168
편지봉투도 나이를 먹는다 171
너도 지금 사랑 중이구나 174
참 좋은 풍경 177
초승달, 물결표, 그믐달 180
처음은 언제나 처음이다 183
날개 188
마음의 꽃물 192
3 시 줍는 사람
이야기 있는 곳으로 내 귀가 간다 199
쓴다는 것 208
다시 태어난다는 것 212
다듬는다는 것 215
품고 산다는 것 220
설렘과 그늘 사이에서 사는 것 225
홀로 전복顚覆을 기도하는 것 230
오래 몬다는 것 235
중심을 잃지 않는 것 239
숲과 집을 닮는 것 246
시간과 공간을 짐작하는 것 251
낚시 바늘과 같은 것 257
수직의 문장을 세우는 것 261
늘 새로이 태어나는 것 263
시의 리듬과 동행하는 것 267
언 우물을 깨는 도끼질 같은 것 270
작가의 말 274
“인생 농사도 그늘 농사라고 혔지. 아내 그늘, 자식 그늘, 지 가슴속 그늘! 그 그늘을 잘 경작혀야 풍성한 가을이 온다고 말이여.”
“그럴듯하네요.”
“돈이니 여자니 술이니 화투니, 재밌고 따순 햇살만 좇아다니먼 패가망신 쭉정이만 수확허니께, 그늘 농사가 더 중허다고 말이여. 걱정거리 없는 사람이 어디 있겄냐? 그 그늘진 담벼락에서 고추도 나오고 취나물도 나오는 거니께 말이여. 어미 말이 어떠냐? 그늘 농사 잘 지어야 인생 늘그막이 방울토마토처럼 주렁주렁 풍년이 되는 거여.”
_〈세상 모든 말의 뿌리는 모어母語다〉, 14~15쪽
삶이란 게 본시 기름병 주둥이처럼 흘러넘치는 주변머리 없는 것이지만 어머니는 식구들의 열린 병뚜껑을 닫아주시고 거친 손과 투박한 입술로 병 모가지를 훔치고 핥아주셨다. 하지만 당신 자신은 얼마나 많은 상처를 안고 부엌에 드시는가. 핍박이 있는 곳에 피난처도 있는 것, 안으로 부엌문을 지그리고 남몰래 훌쩍이던 어머니. 그러나 곧 언제 그랬냐는 듯 김이 풀풀 오르는 밥상을 차리시고 쇠죽이며 개밥까지 일일이 다 챙기셨다. 부엌은 우리들의 하늘이었던 것이다. 어머니는 어리석기만 한 식솔들의 하느님이셨던 것이다.
_〈부엌은 우리들의 하늘〉, 20쪽
이제는 내가 누구의 책방이 되어주고, 누구의 하숙집 냉장고가 되어주고, 누구의 뜨거운 밥솥이 되어줄 것인가? 생각하노니, 손과 지갑이 차갑고도 얇기만 하다.
_〈배고픔과 밀접한 것들〉, 161쪽
시인이란 모름지기 그때그때 데리고 사는 어떤 생각이 있어야 합니다. 시정신이나 시대정신을 말하는 게 아닙니다. 시상을 말하는 것입니다. 좋은 시의 씨앗이 싹을 들이면, 그 시상의 뿌리와 오래도록 놀아야 합니다. 전광석화처럼 치고 들어온 시상을 쓰다듬으며 오래 데리고 살면, 시는 물렁뼈를 억세게 세우고 비곗덩어리에서 기름을 빼내는 것입니다. 어느 때는 버드나무의 상처로 살고, 어느 때는 짜장면 그릇을 덮고 있는 오후 세시의 신문지로 살아가야 하는 것이지요. 그리하여, 내 시에 모셔둘 그 무엇들과 십 년 이십 년을 동고동락하는 것이지요. _〈쓴다는 것〉, 209쪽
세상에 파지는 없지요. 흔적 없는 사랑이 없듯이 말이에요. 구겨 쓰레기통에 버리거나 태워버려도 먹물이 지나간 자리는 어떻게든 붓 잡았던 손길을 타고 올라가 필력이 되지요. 그 어떤 파경의 사랑도 서로의 가슴 저층에 고여 들어가 지하수가 되죠. 그 물은 때로 울컥울컥 솟구쳐 눈물이 되고 한숨을 꽃피우죠. 사랑을 겪는 자의 눈물과 한숨은 애송이들의 숨결이나 칭얼거림과는 그 염도鹽度와 파고波高가 다릅니다. 개펄과 염전이 있느냐 없느냐? 아니, 바다 그 자체의 있고 없음이죠. _〈중심을 잃지 않는 것〉, 244쪽
어머니의 아궁이에서, 아버지의 술잔에서
웃음과 눈물이 뒤엉키며 시는 피어난다
1부 〈밥상머리〉는 시인과 시인의 가족 이야기다. 형제들의 죽음으로 평생 절망과 술을 달고 살았던 아버지, 그리고 그런 아버지를 생의 궤도로 자꾸 끌어당기며 집안의 대소사를 책임져야 했던 어머니의 이야기가 담겼다. 장남인 시인 때문에 학교를 다니지 못한 누나를 향한 미안함, 반지를 팔아 피아노값을 대는 아내에 대한 애정은 시인의 개인사를 넘어 386세대의 애환을 드러낸다. 애증과 달관, 해학이 한데 섞인 이야기에서 독자들은 생이 주는 희로애락애오욕을 온 마음으로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돈이니 여자니 술이니 화투니, 재밌고 따순 햇살만 좇아다니먼 패가망신 쭉정이만 수확허니께, 그늘 농사가 더 중허다고 말이여. 걱정거리 없는 사람이 어디 있겄냐? 그 그늘진 담벼락에서 고추도 나오고 취나물도 나오는 거니께 말이여. 어미 말이 어떠냐? 그늘 농사 잘 지어야 인생 늘그막이 방울토마토처럼 주렁주렁 풍년이 되는 거여.”
_〈세상 모든 말의 뿌리는 모어母語다〉, 14~15쪽
2부 〈좁쌀일기〉는 시인의 어린 시절부터 지금까지의 이야기다. 때론 치기 어린 눈물을 흘리며, 때론 황당한 사건을 통과하며 인간 이정록은 깨달음을 얻고 한 발 앞으로 나아간다. 누구나 겪을 법한 소소한 일상에서 시인은 시를 건져 올리고, 삶의 도랑 곳곳에 시의 씨앗을 심는다.
“이건 아냐. 이렇게 살아서는 안 되지. 그래 새로 시작하는 거야.”
이를 악물고 두 주먹을 불끈 쥐는 순간, 세상은 다시 나를 향해 어머니가 되고 추위를 녹여줄 옷감이 된다. 마음속 넝마는 저절로 벗겨지지 않는다.
_〈처음은 언제나 처음이다〉, 185쪽
3부 〈시 줍는 사람〉은 시를 대하는 시인의 자세가 녹아 있다. 시인은 그럴싸한 ‘왕년의 빵모자’로 시인입네 하지 않고 온몸으로 시를 줍는다. 언제고 가슴을 겨누고 들이닥칠지 모르는 시상을 향해 가슴을 내밀고, 어느 때는 짜장면 그릇을 덮고 있는 오후 세 시의 신문지가 되어 시를 쓴다. 30년이 넘는 시간 동안 마음으로 시를 벼려낸 이정록 시인의 진심이 문장 구석구석에서 느껴진다.
간혹 쓸 것이 없어서 못 쓰겠다고 하소연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나는 그에게 간곡하게 말합니다. 지금 전화하는 곳에서 손에 잡힐 듯 가까이 있는 것을 말해보라고 합니다. 그걸 쓰라고 합니다. 곁에 있는 것부터 마음속에 데리고 살라 합니다. 단언컨대, 좋은 시는 자신의 울타리 문지방 너머에 있지 않습니다. 문지방에 켜켜이 쌓인 식구들의 손때와 그 손때에 가려진 나이테며 옹이를 읽지 못한다면 어찌 문밖 사람들의 애환과 세상의 한숨을 그려낼 수 있겠는지요.
_〈쓴다는 것〉, 209쪽
작가정보

1964년 충남 홍성에서 태어나 1989년 〈대전일보〉 신춘문예와 1993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시로 등단했다. 2001년 김수영문학상, 2002년 김달진문학상, 2013년 윤동주문학대상을 받았다. 주요 도서로 산문집 《시가 안 써지면 나는 시내버스를 탄다》, 시집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은 것들의 목록》, 《어머니 학교》, 《정말》, 《의자》, 《제비꽃 여인숙》, 《버드나무 껍질에 세들고 싶다》, 《풋사과의 주름살》, 《벌레의 집은 아늑하다》, 동화책 《나무 고아원》, 《황소바람》, 《달팽이 학교》, 《대단한 단추들》, 《미술왕》, 《십 원짜리 똥탑》, 청소년시집 《까짓것》, 동시집 《지구의 맛》, 《콧구멍만 바쁘다》 등이 있다.
작가의 말
산문집을 꾸리며 느낀 한 가지만 뽑으라면, ‘이짓, 정말 못 하겠다’였습니다. 옷이 다 벗겨진 느낌이랄까요. 산문 어디에서나 왕따가 된 아이가 훌쩍이고 있었습니다. 한구석에서 오소소 떨고 있는 어린 정록이가 안쓰럽게 느껴졌습니다. 그 애가 자라서 시인이 되고 아버지가 되고 선생이 되어 이 글을 묶습니다. 혹, 보탬이 됐으면 하고 제 시와 시작詩作의 비밀 서랍을 몽땅 드러내보였습니다. 제 시를 조금이나마 좋아했던 분들이 이 글을 읽고 다 달아날까봐 걱정이 듭니다만, 시집보다 이 책을 먼저 펼쳐본 이들이 제 시를 찾아 읽는 행운도 있었으면 하고 욕심을 내봅니다.
저는 더 좋은 시를 줍기 위해 꽃샘추위 속 꽃망울처럼 다시 실눈을 뜰 겁니다.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