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고대시 선집 III―나종혁 고대시 완독 시집
2021년 07월 17일 출간
- eBook 상품 정보
- 파일 정보 PDF (3.77MB)
- ISBN 9791190188364
- 쪽수 678쪽
-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
교보eBook App
듣기(TTS) 불가능
TTS 란?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DF 필기가능 (Android, iOS)

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25
한국 고대시 III 187
65
I. 고조선 시대 고대시
67
지덕가(至德歌)/작자 미상 원작
69
지덕가(至德歌)/이유원 실전작
72
하수가(河水歌)/기자 원작
75
II. 삼국 시대 고대시
77
1. 낙랑 시대 고대시
79
2. 고구려 시대 고대시
81
연양가(延陽歌)/연양의 위인 원작
83
연양가(延陽歌)/이유원 실전작
86
내원성가(來遠城歌)/작자 미상 원작
89
3. 백제 시대 고대시
93
정읍사(井邑詞)/행상인의 처 원작
95
정읍사(井邑詞)/이익 실전작
99
백제요(百濟謠)/작자 미상 원작
102
완산아(完山兒)/작자 미상 원작
104
산유화(山有花)/작자 미상 원작
106
4. 가야 시대 고대시
113
5. 신라 시대 고대시
115
동경(東京)/작자 미상 원작
117
안압지 주령구 명문(雁鴨池酒令具銘文)/작자 미상 원작
120
신라승 게송(新羅僧偈頌)/신라승 원작
124
태을산인 2구(太乙山人路次雲際寺二句)/박앙 원작
126
몰부가(沒斧歌)/원효 원작
129
III. 통일 신라 시대 고대시
131
경주 석장사지 출토 탑상문전명(慶州錫杖寺址塔像紋塼銘)/작자 미상 원작
133
수혜미시(酬惠米詩)/김지장 원작
135
과해연구(過海聯句)―전연구(前聯句)/고려사 원작
138
과해연구(過海聯句)―전후연구(前後聯句)/고려사?가도 원작
142
사설봉화상(辭雪峰和尙)/도윤(道允) 원작
145
추야망월(秋夜望月)/김입지 원작
148
현산사완월(峽山寺翫月)/김입지 원작
151
증청용사승(贈靑龍寺僧)/김입지 원작
154
숙풍덕사(宿豊德寺)/김입지 원작
157
증승(贈僧)/김입지 원작
160
추석(秋夕)/김입지 원작
163
조춘(早春)/김입지 원작
166
꿈에 쓰다(夢中作)/최치원 원작
169
화려천화상송(和麗天和尙頌)/영조 원작
171
병기(兵機)/최치원 원작
174
필법(筆法)/최치원 원작
176
성잠(性箴)/최치원 원작
179
설영(雪詠)/최치원 원작
182
사조(射?)/최치원 원작
184
안화(安化)/최치원 원작
186
연병(練兵)/최치원 원작
188
반계(磻溪)/최치원 원작
190
사호(射虎)/최치원 원작
193
진성(秦城)/최치원 원작
196
생사(生祠)/최치원 원작
199
사편(射鞭)/최치원 원작
201
안남(安南)/최치원 원작
203
천위경(天威徑)/최치원 원작
206
작구경(?口徑)/최치원 원작
209
수성비(收城碑)/최치원 원작
212
집금오(執金吾)/최치원 원작
215
천평(天平)/최치원 원작
218
조어정(釣魚亭)/최치원 원작
221
상인(相印)/최치원 원작
224
서천(西川)/최치원 원작
227
평만(平蠻)/최치원 원작
230
축성(築城)/최치원 원작
233
형남(荊南)/최치원 원작
236
조운(漕運)/최치원 원작
239
절서(浙西)/최치원 원작
241
항구(降寇)/최치원 원작
243
회남(淮南)/최치원 원작
246
조상청(朝上淸)/최치원 원작
249
진정(陳情)/최치원 원작
252
가야산 독서당(題伽倻山讀書堂)―「둔세시」(遁世詩)/최치원 원작
255
연주에서 이원외에게 보내는 헌시(?州留獻李員外)/최치원 원작
258
자화산에 오르다(登慈和山)/최치원 원작
260
장안의 버드나무(長安柳)/최치원 원작
262
낙양에서 벗에게 보내는 증시(留贈洛中友人)/최치원 원작
264
동생 엄부를 집으로 보내며(送舍第嚴府)/최치원 원작
266
봄날(春日)/최치원 원작
268
진사 전인의에게(成名後酬進士田仁義見贈)/최치원 원작
270
강물 위에서 봄을 생각하며(江上春懷)/최치원 원작
272
야증악관(夜贈樂官)/최고운 원작
274
처용가(處容歌)/처용 원작
276
처용가(處容歌)/이익 실전작
279
환동국(還東國)/최치원 원작
283
증별시(贈別詩)―고운편(孤雲篇) 1수/고운 원작
289
송최치원서유장환(送崔致遠西遊將還)―고운편(孤雲篇) 2수/고운 원작
292
---------------------
한국의 고대시(古代詩)는 우리나라 고대 국가(古代國家)에서 발생되어 불리어진 노래들이다. 고대 국가는 한반도에서 최초의 국가 형태였으며, 이들 국가들에서 발생된 고대시들은 우리나라 최초의 시였다. 고대시는 향가(鄕歌) 이전의 고대시와 향가 이후의 고대시로 이분된다. 향가 이전의 고대시가 전기 고대시이며, 향가 이후의 고대시는 후기 고대시에 속한다. 고대시의 융성기는 삼국 시대(三國時代)이며, 삼국 시대 이후에는 고대시 쇠퇴기에 속한다. 그러므로 고대시는 고대 국가를 기초로 향가 이전의 삼국 시대 전후에 발생하여 전래된 민요와 가요를 통틀어 고대시라고 하며, 특별히 형식상, 내용상 제한이 없는 자유로운 노래라고 정의된다.
고대시의 종류에는 전자계(篆字系) 고대시, 가요계(歌謠系) 고대시, 한시계(漢詩系) 고대시, 향가계 고대시로 세분화된다. 고대 민요(民謠)와 고대 가요, 향가, 한시가 각기 계통을 이루어 고대시로 발전했다. 전자계 고대시는 고조선 시대(古朝鮮時代)에 갑골문 한자가 전래되기 전의 단군(檀君)의 고유 문자로서 전자가 존재하던 당시 고조선 단군 시대의 고대시이다. 가요계 고대시는 구전 전통에 근거한 민요와 가요이며, 이들도 녹도문 등의 전자로 창작되거나 기록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기존의 사언시(四言詩) 형태를 취한 다수의 고대 가요(古代歌謠)들은 실전(失傳)이 아니라 실제 고대부터 유래하는 고유의 형식이었을 것으로 해석된다. 참고로, 통일 신라 시대(統一新羅時代)에는 사언시보다 더 짧은 이행연구나 이행시(二行詩)도 종종 발견된다. 한시계 고대시는 동아시아의 광범위하고 자유로운 고체시 전통을 기준으로 문명사적으로 중국 및 동아시아와 한반도 문화가 교차하면서 고대시가 되었다. 향가계 고대시는 주로 신라 시대(新羅時代)에 융성해서 통일 신라 시대에까지 이른 이두(吏讀)와 향찰(鄕札)로 표기된 고대시 전통이다. 덧붙여, 실전계 고대시는 후대의 특정한 한역자(漢譯者)가 제목이나 내용만 알려진 고대 가요들을 사언시 등으로 한역한 경우에만 한정된다.
본 선집 시리즈는 한국 고대시의 영역을 확충하는 계기를 제공하는 역할을 충분히 하고 있다. 고대시를 포괄하고 재발견할 뿐만 아니라 고조선부터 고구려, 신라, 백제와 통일 신라를 섭렵해서 고대 가요와 고대 한시 그리고 각종 명문과 목간 등을 재해석하는 데 성공했다. 한국 고대 문학사와 한국 문학사 전체에 기념비적인 저술이라고 할 수 있다.
작가정보
저자(글) 나종혁
편역자 나종혁은 충남 아산 생으로 천안북일고, 서강대를 졸업하고, 서강대 대학원 박사를 수료했다. 서남대에서 전임을 지냈으며, 한신대 강사를 역임했다. 현 디지털컨설팅 대표, 도서출판 DRM연구원 대표, 진로학습상담연구소 소장이다. 대표 저서로 [한국 고대시 선집] I권과 II권, [신라 향가집], [고려 가요집], [최치원 한시집]이 있고, 개인 시집 6권이 있다.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